$\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학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구기자 재배지에서 해충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충남청양군 일원 친환경 구기자 재배지에서 2년간 해충의 발생상을 조사하고 주요 해충에 대한 친환경 방제제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구기자나무의 초엽기인 5월 하순과 6월 초순에는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이 피해가 심하며, 6월 중순부터는 열점박이잎벌레(Lema decempunctata)의 피해가 심하고, 구기자혹응애(Eriophys macrodonis),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뿔나방류(Hedma spp.)의 피해는 연중 계속되었다. 열매가 열리는 7월 하순부터는 열매를 흡즙하는 노린재류의 밀도가 급증하여 피해가 심해지는데, 특히 갈색날개노린재(Plautia stali)와 썩덩나무노린재(Halyomorpba balys) 의 피해가 점차 증가하게 된다. 구기자의 주요 해충인 복숭아혹진딧물, 열점박이잎벌레, 구기자혹응애에 대한 친환경유기농자재의 효과에서는 고삼, 멀구슬나무, 양명아주, 쿠아시아, 백부근, 너삼 등의 식물추출물로 이루어진 친환경유기농자재를 선발하여 사용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과 열점박이잎벌레의 경우 고삼과 멀구슬이 혼합된 제제에서 각각 84.0%, 86.6%의 방제가를 보여 다른 제제에 비해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혹응애의 경우 고삼과 멀구슬나무, 양명아주 식물추출물이 혼합된 제제에서 낮은 혹형성률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sect pests damages are increasing on the field of Lycium chinense under environment- friendly management Thus, we was to monitor the occurrence of pests on organic L. chinense in Chungnam Cheongyang and, insecticidal effect of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EFAMs) were tested against major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들어 구기자는 그 열매가 한방에서 약제로써 많이 사용되는 만큼 소비자들의 요구에 의해서 유기농 재배농가가 확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친환경 구기자재배지에 발생하는 해충의 계절적 발생양상을 조사하여 주요해충으로서의 판단과 방제시기를 결정하고, 친환경유기농자재에 대한 주요해충의 방제효과 등을 통한 친환경유기농자재의 선발 및 방제전략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기자의 효능은 무엇인가? )가 주로 재배되며(Lee, 1998), 주로 약용을 목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구기자는 간 독성보호효과, 노화억제 효과, 면역증진효과, 항산화 효과, 혈당강하 작용, 고혈압예방 효과, 심혈관 관련 질환 예방, 갱년기 장애 유도시 골중 collagen 합성 효과, 항우울효과, 근력향상 효과, 주름개선효과, 미백효과 등 다양한 효능이 보고되고 있다(Lee 등, 2008, Kim 등, 2011).
우리나라 구기자 재배 지역과 그 면적은 어느정도인가? 우리나라에서는 청양 및 진도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총 재배면적은 1990년도에 119 ha에서 2001년도에 157 ha로 증가하였으나, 재배농가의 고령화 및 한약재 수입개방 등에 의해 2006년도에는 119 ha로 감소되었다(Lee 등, 2008). 현재 구기자에 발생하는 해충은 총채벌레류, 진딧물류, 잎벌레류, 나방류, 노린재류, 응애류, 깍지벌레류, 가루이류, 매미충류등 약 14종이 보고되어 있지만(Lee 등, 2011), 아직까지 국내에서 구기자해충에 대한 조사결과는 많지 않으며, 구기자의 작기에 따라 발생하는 해충의 발생 조사 연구가 되어있지 않아 농민들이 방제시기를 결정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구기자에 발생하는 해충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는 청양 및 진도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총 재배면적은 1990년도에 119 ha에서 2001년도에 157 ha로 증가하였으나, 재배농가의 고령화 및 한약재 수입개방 등에 의해 2006년도에는 119 ha로 감소되었다(Lee 등, 2008). 현재 구기자에 발생하는 해충은 총채벌레류, 진딧물류, 잎벌레류, 나방류, 노린재류, 응애류, 깍지벌레류, 가루이류, 매미충류등 약 14종이 보고되어 있지만(Lee 등, 2011), 아직까지 국내에서 구기자해충에 대한 조사결과는 많지 않으며, 구기자의 작기에 따라 발생하는 해충의 발생 조사 연구가 되어있지 않아 농민들이 방제시기를 결정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rnason, J. T., B. J. R. Philogene, P. Morand, K. Imrie, S. Iyengar, F. Duval, C. Soucy-Breau, J. V. Scaiano, N. H. Werstiuk, B. Hasspieler and A. E. R. Downe (1989) Naturally occurring and synthetic thiopenes as photoactivated insecticides. pp. 164-172. In Insecticides of Plant Orgin. (Eds. J. T. Arnason, B. J. R. Philogene and P. Morand) ACS symposium series no. 387,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2. Ausher, R. (1997)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in Israel. In: Bemisia. 1995: Taxonomy, biology, damage, control and management. Ed. by Gerling, D.; Mayer, R. T. Andover, UK: Intercept. 171-176. 

  3. CARES (Chungnam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2003) Lycium chinense Mill. 26-30. 

  4. Choi, H. K., I. Y. So and K. H. Park (1984) Stud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virus diseases and aphid vectors in radish fields. Kor J. Appl. Entomol. 23:28-36 

  5. Hwang, I. C., J. Kim, H. M. Kim, D. I. Kim, S. G. Kim, S. S. Kim and C. Jang (2009) Evaluation of toxicity of plant extract made by neem and matrine against main pests and natural enemies. Kor. J. Appl. Entomol. 48(1):87-94. 

  6. Isman, M. B. (2000) Plant essential oils for pest and disease management. Crop Protec. 19(8-10):603-608. 

  7. Isman, M. B. (2006) Botanical insecticides, deterrents, and repellents in modern agriculture and an increasingly regulated world. Ann. Rev. Entomol. 51:45-66. 

  8. Jun, H. Y., Y. D. Jang, I. S. Woo and M. S. In (1989) Life history of Lema decempunctata Gebler. Kor. Soc. Appl. Entomol. 28:38. 

  9. Kim, C. H. (1965) The injured conditions of Eriophys kuko Kishida. Kor J. Appl. Entomol. 4:65-66. 

  10. Kim, C. H. (1968) Some biological notes on Eriophys kuko Kishida(1) Its biology and life history. Kor J. Appl. Entomol. 5/6:59-63. 

  11. Kim, D. H., S. Y. Lee, N. K. Kim, B. K. Youn, D. S. Jung, E. Y. Choi, S. R. Hong, J. Y. Yoon, M. H. Kang and J. Y. Lee (2011) Moderating effects of skin hyperpigmentation from Lycii fructus and Lycii folium extracts. J. Appl. Biol. Chem. 54(4):270-278. 

  12. Kim, D. I., J. D. Park, S. G. Kim, H. Kuk, M. S. Jang and S. S. Kim (2005a) Screening of some crude plant extracts for their acaricidal and insecticidal efficacies. J. Asia-Pacific Entomol. 8(1):93-100. 

  13. Kim, S. H., S. W. Lee, I. S. Kim and M. H. Lee (1986) Colonizing aphid species and their seasonal fluctuations on some fruit trees in Suweon. Kor J. Appl. Entomol. 25:209-213. 

  14. Kim, S. K., J. H. Jin, C. K. Lim, J. H. Hur and S. Y. Cho (2009). Evaluation of insecticidal efficacy of plant extracts against major insect pests. Kor. J. Pest. Sci. 13(3):165-170. 

  15. Kim, T. S., T. J. An, J. K. Jung, J. K. Bang and H. G. Chung (2005b)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repellents and pesticidal materials originated by natural products. Treat. Crop. Sci. 6:615-619. 

  16.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KCPA) (2013) Book of pesticide testing staff training. p. 529. 

  17. Koshihara, T. (1988) Chemical control of the diamondback moth in Japan. Pestic. Infor. 53:14-17. 

  18. Kwon, M., J. I. Kim and J. S. Kim (2010)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28-spotted larger lady beetle, 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Motschulsky) (Coleoptera: Coccinellidae) and its seasonal fluctuation in Gangneung, Korea. Kor. J. Appl. Entomol. 49(3):199-204. 

  19. Kwon, O. K., S. K. Lim, K. S. Seong and B. R. Choi (1997) Screening of pesticidal active compounds from various domestic wild plants. Kor. J. Environ. Agricul. 16(4):347-355. 

  20. Lee, B. C. (1998) Physio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components in boxthorn (Lycium chinense Mill.). Graduate School, Ph. D. Thesis, Sang Ji Univ. 3-6. 

  21. Lee, B. H., Y. C. Park, S. S. Kim, Y. G. An and S. H. Yu (2011) Studies on outbreak of diseases and pests and effect of environmental friendly control materials in boxthorn (Lycium chinense Mill.) organic cultivation. Kor. J. Org Agri. 19(3):385-396. 

  22. Lee, B. H., D. S. Yoon, S. W. Beak, I. S. JO, S. W. La and K. S. Lee (2000) Disease and insect pests of medicinal crops. Agrisul. Res. & Exten. Chungcheongnamdo, Test Res. Rep. 2000:453-464. 

  23. Lee, H. C., B. C. Lee, S. D. Kim, S. W. Paik, S. S. Lee, K. S. Lee and S. M. Kim (2008) Changes in composition of gugija (Lycii fructus) species according to harvest time. Kor. J. Med. Crop Sci. 16(5):306312. 

  24. Lee, H. S. and B. K. Chung (2011) Occurrences of major pests in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Siebold & Zucc. in Gyeongnam Province. Kor. J. Appl. Entomol. 50(1):21-27. 

  25. Lee, S. H. (2010) The study on ecology of Eriophyes macrodonis Keifer and Lema decempunctata Gebler in a Lycium chinense Mill field. Dep. Plant Reso., The Graduate School, Master's Dissertation, KongJu Nat'l Univ. 49. 

  26. Lee, S. K., J. K. Yu, I. H. Choi, K. H. Park and J. U. Lee (1994) Damage and control of Eriophys macrodonis Keifer. Book Agricul. Res. Rep. 36:362-365. 

  27. Malik, M. M. and S. H. Mujtaba Naqvi (1984) Screening of some indigenous plants as repellents or antifeedants for stored grain insects. J. Stored Prod. Res. 20:41-44. 

  28. Park, J. H., K. Y. Ryu, H. J. Jee, B. M. Lee and H. G. Gho (2008) Evaluation of insecticidal activity of plant extracts against three insect pests. Korean J. Appl. Entomol. 47(1):59-64. 

  29. Saxena, R. C. (1989) Insecticides from neem. In: Insecticides of Plant Origin (J.T. Arnason, B.J.R. Philogene and P. Morand, eds.). ACS Symp. Ser. No. 387. Am. Chem. Soc. Washington, D.C., pp. 110-135. 

  30. Schmutterer, H. (1980) Natural pesticides from the neem tree. Proc. 1st Int'l. Neem Conf. pp. 33-259. 

  31. Seo, M. J., J. K. Jang, E. J. Kang, M. K. Kang, N. S. Kim, Y. M. Yu and Y. N. Youn (2005) Feeding behavior in the plant tissues with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Aphididae; Homoptera) using EPG technique. Kor. J. Appl. Entomol. 44(4):271-276. 

  32. Shim, J. Y., J. S. Park, W. H. Paik and Y. B. Lee (1977) Studies on the life history of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Sulzer (Homoptera). Kor. J. Pl. Prot. 16(3):139-144. 

  33. Tapondjoua, L. A., C. Adlerb, H. Boudaa and D. A. Fontemc (2002) Ecacy of powder and essential oil from Chenopodium ambrosioides leaves as post-harvest grain protectants against six-stored product beetles. J. Stor. Prod. Res. 38:395-402. 

  34. Wink, M. (1993)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phytochemicals from an agricultural perspective. pp.171-213. In Phytochemistry and Agriculture. (Eds. Van T. A. Beek and H. Breteler) vol. 34. Clarendon, Oxford, UK. 

  35. Yang, Y. C., I. K. Park, E. H. Kim, H. S. Lee and Y. J. Ahn (2004) Larvicidal activity of medicinal plant extracts against Aedes aegypti, Ochlerotatus togoi, and Culex pipiens pallens (Diptera: Culicidae). J. Asia-Pacific Entomol. 7(2):227-2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