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서해연안 실뱀장어의 먹이 습성
Food Habits of the Glass eel Anguilla japonica in the West Coast Estuaries of Korean Peninsula Determined by Using C and N Stable Isotopes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8 no.4, 2013년, pp.206 - 213  

김정배 (국립수산과학원) ,  이원찬 (국립수산과학원) ,  김대중 (국립수산과학원) ,  성기백 (국립수산과학원) ,  최희구 (국립수산과학원) ,  최우정 (국립수산과학원) ,  황학빈 (국립수산과학원) ,  홍석진 (국립수산과학원) ,  김형철 (국립수산과학원) ,  박성은 (국립수산과학원) ,  심정희 (국립수산과학원) ,  강창근 (포항공과대학교 해양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실뱀장어는 산란장인 마리아나해구에서 산란 및 부화과정을 거쳐, 뱀장어 자어인 렙토세팔루스 단계에서 북적도 해류와 쿠로시오 해류를 따라 회유하면서 변태과정을 거치게 된다. 변태된 실뱀장어는 동중국해를 지나 우리나라 연안으로 올라오는데 실뱀장어의 먹이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었다. 실뱀장어 먹이원은 안정동위원소 비값을 측정하여 수서 생태계에 존재하는 먹이망에 의한 단계별 증가율을 해석함으로써 가능하다. 2012년 4월에 채집된 자연산 실뱀장어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를 측정하여 먹이원을 밝히기 위하여 실뱀장어 ${\delta}^{13}C$${\delta}^{15}N$를 분석하고 서해안 및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가용 가능한 입자유기물질에 대한 값들을 분석, 비교하였다. 우리나라 서해안에서 채집된 실뱀장어의 ${\delta}^{13}C$값은 $-20.7{\pm}0.1$‰, ${\delta}^{15}N$값은 $5.0{\pm}0.2$‰로 나타났다. 실뱀장어의 가용 먹이원으로 추정되는 입자유기물질 중 서해안의 ${\delta}^{13}C$값은 $-24.0{\pm}0.3$‰이고, ${\delta}^{15}N$값은 $2.8{\pm}0.4$‰이었고,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delta}^{13}C$값은 $-24.5{\pm}0.5$‰이고, ${\delta}^{15}N$값은 $0.8{\pm}0.3$‰이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영양단계에 따른 동위원소 분별 비값 증가율을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나타난 서해안과 동중국해의 POM과 서해안에서 채집된 실뱀장어의 ${\delta}^{13}C$${\delta}^{15}N$값의 차이는 서해안과 동중국해의 입자유기물질이 자연산 실뱀장어의 먹이원으로써 이용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연안에서 채집되는 실뱀장어는 뱀장어 자어인 렙토세팔루스에서 변태과정을 거친 이후에는 먹이를 섭이하지 않고 회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lass eels (Anguilla japonica) are caught in the west coast of Korea on their migratory route from the breeding grounds in the Mariana Trench along the North Equatorial Current and the Kuroshio Current. To identify the food source of natural glass eels, we analyzed the stable C and N isotopes of g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실뱀장어의 안정동위원소인 탄소와 질소의 비를 측정하고, 가용 가능한 먹이원과 비교를 통하여 실제 먹이원을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실뱀장어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채집한 실뱀장어의 먹이원을 분석하고, 난에서 부화한 뱀장어 자어와 변태 후 실뱀장어의 먹이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가설 설정

  • 식물플랑크톤 넷트로 시료 채취시 망목 크기 20 µm의 네트에는 식물플랑크톤이 대부분 포함될 수 있지만 그외 유기쇄설물과 원생동물, 박테리아가 포함될 수있어 식물플랑크톤 안정동위원소 비라고 가정하여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정동위원소는 어떤 도구로 이용되는가? 안정동위원소는 자연에 존재하는 물질의 동위원소 분포와 존재량을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생물학적 현상을 해석하는 도구로 이용되는데, 안정동위원소비를 이용하여 물질의 기원을 규명하고, 동위원소의 분별을 이용하여 물질의 생성환경을 해석하는데 유용하다(Fry, 2008). 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뱀장어의 연구현황을 보면 하구에서의 유럽산 실뱀장어의 먹이섭이(Bardonnet and Riera, 2005), 뱀장어의 산란회유에 따른 성어의 먹이섭이(Chow et al.
실뱀장어의 먹이원으로 추정되는 것은? 실뱀장어의 먹이원으로 추정되는 입자유기물질(POM) 및 식물플랑크톤은 금강 및 영산강 하구에서 2012년 4월에 채집하였고, 엽상 자어, 실뱀장어 및 뱀장어 성어의 이동 경유지로 판단되는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조사 정선 315 및 317선에서 2012년 8월에 입자유기물질을 채집하였다(Fig. 1).
실뱀장어의 탄소와 질소의 비를 측정하는 이유는? , 2011) 등으로 주로 먹이원 연구에 이용되었다. 탄소와 질소는 생물체의 필수 구성원소로 각각의 안정동위원소 자연 존재비를 이용하여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하는데 유용한 원소이다. 따라서 실뱀장어의 안정동위원소인 탄소와 질소의 비를 측정하고, 가용 가능한 먹이원과 비교를 통하여 실제 먹이원을 추정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be, T., S. Ijiri, S. Adachi and K. Yamauchi, 2010. Development of an in vitro culture system for producing eel larvae from immature ovarian follicles in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Fish. Sci., 76: 257-265. 

  2. Bardonnet, A. and P. Riera, 2005. Feeding of glass eels(Anguilla Anguilla) in the course of their estuarine migration: New insights from stable isotope analysis. Estuar. Coast. Shelf Sci., 63: 201-209. 

  3. Bunn, S.E., N.R. Loneragan and M.A. Kempster, 1995. Effects of acid washing on stable isotope ratios of C and N in penaeid shrimp and seagrass: Implication for food-web studies using multiple stable isotopes. Limnol. Oceanogr., 40: 622-625. 

  4. Bureau du Colombier, S., P. Lambert and A. Bardonnet, 2008. Is feeding behaviour related to glass eel propensity to migrate? Estuar. Coast. Shelf Sci., 80: 323-329. 

  5. Choi, J.Y., 1993. Seasonal variations of suspended matters in the Keum Estuary and its adjacent coastal area. J. Oceanol. Soc. Korea, 28: 272-280. 

  6. Chow, S., H. Kurogi, S. Katayama, D. Ambe, M. Okazaki, T. Watanabe, T. Ichikawa, M. Kodama, J. Aoyama, A. Shinoda, S. Watanabe, K. Tsukamoto, S. Miyazaki, S. Kimura, Y. Yamada, K Nomura, H. Tanaka, Y. Kazeto, K. Hata, T. Handa, A. Tawa and N. Mochioka, 2010.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do not assimilate nutrition during the oceanic spawning migration: evidence from stable isotope analysis. Mar. Ecol. Prog. Ser., 402: 233-238. 

  7. DeNiro, M.J. and S. Epstein, 1978. Influence of diet on the distribution of carbon isotopes in animals. Geochim. Cosmochim. Acta, 42: 495-506. 

  8. DeNiro, M.J. and S. Epstein, 1981. Influence of diet on the distribution of nitrogen isotopes in animals. Geochim. Cosmochim. Acta, 45: 341-351. 

  9. Folch, J., M. Lees and G.H.S. Stanley,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 J. Biol. Chem., 226: 497-509. 

  10. Fukuda N., M. Kuroki, A. Shinoda, Y. Yamada, A. Okamura, J. Aoyama and K. Tsukamoto, 2009.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and feeding regime on otolith growth in Anguilla japonica glass and elvers: does otolith growth cease at low temperatures? J. Fish Bio., 74: 1915-1933. 

  11. Fry, B., 2008. Stable isotope ecology. Springer, New York, USA., 308 pp. 

  12. Han, Y.-S., 2011. Temperature-dependent recruitment delay of the Japanese glass eel Anguilla japonica in East Asia. Mar. Biol., 158: 2349-2358. 

  13. Kang, C.K., 2005. Ecological modeling. Pusan University. Busan. 69 pp. 

  14. Kang, C.K., J.B. Kim, J.B. Kim, P.-Y. Lee and J.-S. Hong, 2001. The importance of intertidal benthic autotrophs to the Kwangyang Bay (Korea) food webs: ${\delta}^{13}C$ analysis. J. Oceanol. Soc. Korea, 36: 109-123. 

  15. Kaeakami, Y., N. Mochioka, R. Kimura and A. Nakazono, 1999. Seasonal changes of the RNA/DNA ratio, size and lipid contents and immigration adaptability of Japanese glass-eels, Anguilla japonica, collected in northern Kyushu, Japan. J. Exp. Mar. Biol. Ecol., 238: 1-9. 

  16. Lee, Y.J., B.-K. Jeong, Y.-S. Shin, S.-H. Kim and K.-H. Shin, 2013. Determination of the origin of particulate organic matter at the estuary of Youngsan river using stable ratios ( ${\delta}^{13}C$ , ${\delta}^{15}N$ ). KJEE 46: 175-184. 

  17. Miller, M.J., T. Otake, J. Aoyama, S. Wouthuyzen, S. Suharti, H.Y. Sugeha and K. Tsukamoto, 2011. Observations of gut contents of leptocephali in the North Equatorial Current and Tomini Bay, Indonesia. Coasta. Mar. Sci., 35: 277-288. 

  18. Miller M.J., Y. Chikaraishi, N.O. Ogawa, Y. Yamada, K. Tsukamoto and N. Ohkouchi, 2012. A low trophic position of Japanese eel larvae indicates feeding on marine snow. Biol. Lett. Doi: 10.1098/rsbl.2012.08.26, Published online 7 Novermber. 

  19. Minagawa, M. and E. Wada, 1984. Stepwise enrichment of ${\delta}^{15}N$ along food chain: Further evidence and the relation between ${\delta}^{15}N$ and animal age. Geochim. Cosmochim. Acta, 48: 1135-1140. 

  20. Miyazzki, S., H.-Y. Kim, K. Zenimote, T. Kitagawa, M.J. Miller and S. Kimura, 2011. Stable isotope analysis of two species of anguilliform leptocephali (Anguilla japonica and Ariosoma major) relative to their feeding depth in the North Equatorial Current region. Mar. Biol., 158: 2555-2564. 

  21. Mochioka, N. and M. Iwamizu, 1996. Diet of anguilloid larvae: leptocephali feed selectively on larvacean houses and fecal pellets. Mar. Biol., 125: 447-452. 

  22. Mochioka, N., 2003. Leptocephali. In: Eel biology, edited by Aida, K., K. Tsukamoto and K. Yamauchi, Springer-Verlag, Tokyo, pp. 51-60. 

  23. Moon, H.T., 2002. The early life history of eel Anguilla japonica determined by otolith microstructure and catch data of glass eels. Ph.D. Thesis, Chungnam University, Taejon, 111 pp. 

  24. NFRDI, 2012a. Development of Rearing Technique in Eel, Anguilla japonica. 2011 Report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53 pp. 

  25. NFRDI, 2012b. Oceanographic information in the east Chana Sea august 2012. Oceanographic information 59ho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17 pp. 

  26. Okamura, A., Y. Yamada, N. Horie, T. Utoh, N. Mikawa, S. Tanaka and K. Tsukamoto, 2007.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on early development of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Fisheries Science, 73: 1241-1248 

  27. Otake T., K. Nogami and K. Maruyama, 1993. Dissolved and particulate organic matter as possible food sources for eel leptocephali. Mar. Ecol. Prog. Ser., 92: 27-34. 

  28. Post, D.M., 2002. Using stable isotopes to estimate trophic position: models, methods, and assumptions. Ecology, 83: 703-718. 

  29. Rau, G.H., A.J. Mearns, D.R. Young, R.J. Olson, H.A. Schafer and I.R. Kaplan, 1983. Animal $^{13}C/^{12}C$ correlates with trophic level in pelagic food webs. Ecology, 64: 1314-1318 

  30. Shinoda, A., J. Aoyama, M.J. Miller, T. Otake, N. Mochioka, S. Watanabe, Y. Minegishi, M. Kuroki, T. Yoshinaga, K. Yokouchi, N. Fukuda, R. Sudo, S. Hagihara, K. Zenimoto, Y. Suzuki, M. Oya, T. Inagaki, S. Kimura, A. Fukui, T.W. Lee and K. Tsukamoto, 2011. Evaluation of the larval distribution and migration of the Japanese eel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Rev Fish Biol Fisheries, 21: 591-611. 

  31. Tanaka, H, H. Kagawa, H. Ohta, T. Unuma and K. Momura, 2003. The first production of glass eel in captivity: fish reproductive physiology facilitates great progress in aquaculture. Fish Physiol. Biochem., 28: 493-497. 

  32. Tsukamoto, K., 2006. Spawning of eels near a seamount. Nature, 439: 929. 

  33. Yu, O.K., S.-G. Paik, H.-G. Lee, C.-K. Kang, D.-S. Kim, J.-H. Lee and W.S. Kim, 2008. A preliminary study of the effect of pelagic organisms on the macrobenthic community in the adjacent East Sea and Korea strait. Ocean and Polar Res., 30: 303?3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