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진강 하구역의 어류 군집과 실뱀장어 소상
Fish Community and Upstream of Glass Eels (Anguilla japonica) in the Imjin River Estuary, Korea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7 special issue, 2014년, pp.31 - 38  

변화근 (서원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임진강 하구역에서 어류 군집과 실뱀장어 소상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채집된 어류는 총 18과 42종이었으며 이 중 한국고유종은(Microphysogobio jeoni) 1종으로 고유화빈도가 0.04%이었다. 국외에서 도입된 외래어종은 떡붕어(Carassius cuvieri)와 초어(Ctenophayngodon idellus) 2종이 출현하였고 개체수 비교풍부도는 0.06%로 매우 낮았다. 출현한 어종 중 순수담수어에 속하는 종은 17종(40.5%), 회유성 6종 (14.2%), 기수성 8종 (19.1%), 해산어 11종(26.1%) 등 이었다. 개체수 구성비가 높은 종은 뱀장어(Anguilla japonica (glass eels, 49.8%)), 웅어 (Coilia ectens, 23.3%), 두우쟁이 (Saurogobio dabryi, 8.1%), 강주걱양태(Repomucenus olidus, 3.3%), 점농어(Lateolabrax maculata, 2.9%), 가숭어(Chelon haematocheilus, 2.8%)등 이었으며 생체량에 있어서는 C. ectens (33.6%), C. haematocheilus (14.2%), 잉어(Cyprinus carpio, 10.5%), 숭어(Mugil cephalus, 9.1%), S. dabryi (7.6%) 등이 풍부하였다. 우점종은 개체수에 있어 A. japonica (glass eels)이었고 C. ectens가 아우점종이었다. 파주시에서 연간 어획된 양은 83.6~240.3 t이었으며 2011년과 2012년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어획된 어류 중 생체량에 있어 M. cephalus (48.0~80.0%), C. carpio (6.7%), 붕어(Carassius auratus, 4.9%), 메기 (Silurus asotus, 3.9%), 황복(Takifugu obscurus, 2.5%), A. japonica (adult, 2.2%), 동자개(Pseudobagrus fulvidraco, 2.1%) 등의 순으로 풍부하였다. 연간 포획된 A. japonica (glass eels)는 양은 0.03~1.13 t이었고 연평균 212.0 kg이었으며 개체당 평균 체중이 0.16 g으로 약 1,325,000개체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ish community and upstream of glass eels (Anguilla japonica) in the Imjin River estuary Gyeonggi-do, Korea was investigated from 2008 to 2012. During the surveyed period 43 species belonging to 18 families were collected. Korean endemic species was Microphysogobio jeoni which showed a ration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상류역과 달리 임진강 하류역은 댐이나 대형보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회유성어류의 이동이 자유롭고 수환경이 잘 보전되어 매우 안정적인 어류 군집을 유지하고 있다 (Byeon and Lee, 2006). 따라서 본 연구는 민간인 출입 통제지역이며 자연성이 매우 잘 보전되어 있고 어류에 대한 학술조사가 진행된 바 없는 임진강 하구에서 어류군집과 실뱀장어 소상 실태를 밝혀 어족자원 관리와 보호를 위한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진강이란? 임진강은 함경남도 마식령에서 발원하여 황해로 유입 되는 강으로 유로길이 254 km, 유역면적 8,118 km2이다(Byeon and Lee, 2006). 상류역과 중류역은 북한에 위치하며 휴전선을 통과한 후 연천군에서 남한으로 유입되며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에서 한강하류로 합류된다.
임진강 하류와 하구역의 특징은? , 2009; Hwang, 2010). 임진강 하류와 하구역은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어 있고 수변부에 제방이나 수변공원을 조성하지 않아 자연형의 하도를 유지하고 있다. 상류역과 달리 임진강 하류역은 댐이나 대형 보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회유성어류의 이동이 자유롭고 수환경이 잘 보전되어 매우 안정적인 어류 군집을 유지하고 있다 (Byeon and Lee, 2006).
본 연구에서 실뱀장어 이외 어종을 채집하기 위해 얕은 수변부에서는 어떤 도구를 사용했는가? 5 m)을 설치 후 6시간 이후에 수거하였다. 수심이2 m 이내로 얕은 수변부에서는 투망(망목 6×6 mm)과 족대(망목 4×4 mm) 등을 사용하였다. 채집된 대부분의 표본은 현장에서 동정 확인 및 측정 후 즉시 방류하였고, 일부 표본은 현장에서 10% formalin액으로 고정하여 실험실에서 동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yeon, H.K. and W.O. Lee. 2006. The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in the Lower Course of the Imjin River.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39: 32-40. 

  2. Choi, J.K. and H.K. Byeon. 1999. Fish Community in the Lower Course of Han River.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32: 49-57. 

  3. Choi, K.C., S.R. Jeon, I.S. Kim and Y.M. Son. 2002. Coloured Illustrations of The Freshwater Fishes of Korea. Hyangmunsa Press Co. Seoul. pp. 22-218. 

  4. Chyung, M.K. 1977. The Fishes of Korea. Ilji-Sa, Korea. 727 pp. 

  5. Hwang, H.B. 2010. Sex ratio, age growth and habitat use patterns of Anguilla japonica in the Geum River and Mangyeong River estuaries. Doctoral thesis of Chunnam National Univ. pp. 52. 

  6. Hwang, H.B., T.W. Lee, S.W. Hwang and B.J. Kim. 2008. Monthyly Species Composition of Upstream-Migrating Fish in the Cheonjeyeon Estuary of Jeju,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20: 210-219. 

  7. Hwang, S.D. and J.G. Rhow. 2010.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Estuarine Fauna Collected by a Stow Net in the Han River Estuary on the mid-western coast of Korea. Korean Journal of Society of Oceanography 15: 72-85. 

  8. Hwang, S.D., J.G. Rhow, S.H. Lee, J.Y. Park, H.J. Hwang and Y.J. Im. 2010. Community Structure of Fauna Collected by a Fence Net on Ganghwa Tidal Flat in the Han River Estuary, Korea. Korean Journal of Society of Oceanography 15: 166-175. 

  9. Hwang, S.D., T.W. Lee, H.B. Hwang, I.S. Choi and S.J. Hwang. 2009. Upstream Behavior of Glass Eels (Anguilla japonica) in an Experimental Eel-ladder.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21: 262-272. 

  10. Jeon, S.R. 1980.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fresh-water fishes from Korea. Doctoral thesis of Chungang Univ. 91 pp. 

  11. Kim, E.B. 1974. Studies on the Upstream Status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Glass-Eel Collected in the Jeju Island,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7: 1-22. 

  12. Kim, I.S. 1997.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n Vol. 37 Freshwater Fishes. Ministry of Education. 518 pp. 

  13. Kim, I.S. and J.Y. Park.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Press. Co. Seoul. 465 pp. 

  14. Kim, I.S., Y. Choi, C.L. Lee, Y.J. Lee, B.J. Kim and J.H. Kim. 2005. Ills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ress. Co. Seoul. 515 pp. 

  15.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ics 3: 36-71. 

  16.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114-168. 

  17. Moon, B.R., S.L. Jeon, M.S. Hyun, J.S. Hwang and J.K. Choi. 2011. A Study on Fish Fauna and Fish Habitat - Downstream of Singok Submergerd Weir in Han River Estuary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0: 757-764. 

  18. Nelson, J.S. 2006. Fishes of the world (4th ed). John Wiely & Sons, New York, 601 pp. 

  19. Pielou, E.C. 1975.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Journal Theoret Biology 13: 131-144. 

  20. Uchida, K. 1939. The fishes of Tyosen. Part 1. Nematognathi, Eventognathi. Bulletin Fishes Express State Goverment-General of Tyosen 6. 458 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