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측방유동 발생 시 성토사면에 시공된 교대의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nfluence of Constructed Bridge Abutment in Landfill Slope under Laterally Displacing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14 no.12, 2013년, pp.31 - 41  

이한규 (Dongbu Corporation) ,  홍종욱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 Hanyang University) ,  천병식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 Hanya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 지반의 측방유동으로 인한 피해가 가장 빈번하고 극명하게 나타나는 사례는 주로 연약지반에 교대 및 옹벽을 시공하고 배면에 성토를 진행하는 경우로서 측방유동으로 인한 교대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연약지반에서의 연구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측방유동은 연약지반뿐만 아니라 성토사면에서도 발생하며, 이로 인해 인접구조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국내에서 시공되는 교량 중에는 연약지반 위에 시공되는 경우보다 산지에 시공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단면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성토사면의 측방유동으로 인한 지반거동을 분석하였고, 그에 따른 적절한 보강 공법의 결과 분석을 통해 성토사면에 설치된 교대설계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압성토와 사면에 억지말뚝으로 보강하였을 경우에는 측방유동은 4~3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대 교좌부의 변위는 2~1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EPS로 보강하였을 경우에 측방유동은 약 97% 감소하였고, 교대 교좌부의 최대수평변위는 약 95% 정도 감소하였다. 향후, 국내 여러 현장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실험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보다 국내 여건에 부합하는 설계 기법의 도출이 요구되며, 수치해석 및 실측치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지금보다 신뢰성 있는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amage caused by lateral movement occurs frequently on site where abutment or retaining wall was built on soft ground along with embankment behind and the study on stability of abutment against lateral movement has been mostly focused on soft ground. However lateral movement occurs not only on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고성토 사면에 시공되어 측방유동 가능성이 있는 교대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현장조건과 지반 조사 자료를 참고하여 경험적인 방법과 수치해석을 통해 측방유동, 교대의 변위, 사면의 안정성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또한, 보강공법 3개를 선정하여 수치해석을 통해 현장에 적용한 후, 보강 시에 발생하는 측방유동의 결과분석을 실시하여 적절한 보강대책 수립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고성토 사면에 시공된 교대는 강우 및 동결・융해 등의 외부영향으로 인해 측방 유동이 발생하며, 교대에 상대변위를 발생시켜 교량 구조물 전체의 안정성과 사용성을 크게 저해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고성토 사면에 시공되어 측방유동 가능성이 있는 교대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현장조건과 지반 조사 자료를 참고하여 경험적인 방법과 수치해석을 통해 측방유동, 교대의 변위, 사면의 안정성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또한, 보강공법 3개를 선정하여 수치해석을 통해 현장에 적용한 후, 보강 시에 발생하는 측방유동의 결과분석을 실시하여 적절한 보강대책 수립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고성토 사면에 시공된 교대는 강우 및 동결・융해 등의 외부영향으로 인해 측방 유동이 발생하며, 교대에 상대변위를 발생시켜 교량 구조물 전체의 안정성과 사용성을 크게 저해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고성토 사면에 시공되어 측방유동 가능성이 있는 교대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현장조건과 지반 조사 자료를 참고하여 경험적인 방법과 수치해석을 통해 측방유동, 교대의 변위, 사면의 안정성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또한, 보강공법 3개를 선정하여 수치해석을 통해 현장에 적용한 후, 보강 시에 발생하는 측방유동의 결과분석을 실시하여 적절한 보강대책 수립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반의 측방유동은 어떤 현상인가? 지반의 측방유동은 연약지반 상에 교대나 옹벽 등을 설치하고 뒷채움을 할 경우, 구조물 전면부와 배면부의 성토차로 인하여 편차토압이 발생하여 하부의 연약지반이 수평 방향의 압력을 받아 유동하는 현상을 말한다(Peck, 1969). 성토에 인접한 교대 말뚝기초, 기존 구조물에 근접한 토류벽 및 말뚝 항타시공, 활동사면 내의 억지말뚝, 불안정한 해저사면에 설치된 횡잔교 말뚝기초, 연약지반의 편차 성토하중 등에 의해 빈번히 발생하는데, 측방유동은 연약지반뿐만 아니라 성토사면에서도 발생하며, 이로 인해 인접구조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성토사면에 설치된 교대설계에 관한 기초자료에 대한 결과는 어떠한가?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단면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성토사면의 측방유동으로 인한 지반거동을 분석하였고, 그에 따른 적절한 보강 공법의 결과 분석을 통해 성토사면에 설치된 교대설계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압성토와 사면에 억지말뚝으로 보강하였을 경우에는 측방유동은 4~3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대 교좌부의 변위는 2~1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EPS로 보강하였을 경우에 측방유동은 약 97% 감소하였고, 교대 교좌부의 최대수평변위는 약 95% 정도 감소하였다.
측방유동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국내에서 지반의 측방유동으로 인한 피해가 가장 빈번하고 극명하게 나타나는 사례는 주로 연약지반에 교대 및 옹벽을 시공하고 배면에 성토를 진행하는 경우로서 측방유동으로 인한 교대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연약지반에서의 연구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측방유동은 연약지반뿐만 아니라 성토사면에서도 발생하며, 이로 인해 인접구조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국내에서 시공되는 교량 중에는 연약지반 위에 시공되는 경우보다 산지에 시공되는 경우가 많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高速道路調査會 (1989), 軟弱地盤の側方變形豫測に關する硏究報告書, 日本道路公團, pp. 22-47. 

  2. 高速道路調査會 (1981), 軟弱地盤上の橋臺移動に關する調査 硏究報告書, 日本道路公團, pp. 36-51. 

  3. De Beer, E. E. (1977), Piles subjected to static lateral loads, Proc.,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Tokyo, pp. 1-14. 

  4. Hong, W. P., Kwon, O. H., Han, J. G. and Cho, S. H. (1994), A study on lateral movement of bridge abutment on soft ground, The Journal of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10, No. 4, pp. 53-65 (in Korean). 

  5. Hong, W. P., Song, Y. S., Shin, D. S. and Son, K. M. (2001), Stability of bridge abutments on soft ground undergoing lateral flow, Journal of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17, No. 4, pp. 199-208 (in Korean). 

  6.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1995), Study on protection method for lateral movement of abutment, pp. 18-67 (in Korean). 

  7. Peck, R. B. (1969), Deep excavations and tunneling in soft ground, Proc.,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Mexico, pp. 225-290. 

  8. Shin, G. N. (2008), Cause and measurement of lateral movement on bridge abutment through case study, Master's thesis, Incheon University, p. 19 (in Korean). 

  9. Tschebotarioff, G. P. (1973), Foundations retaining and earth structures 2nd ed., McGraw-Hill, New York, pp. 365-4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