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구성타당도 평가에 있어서 요인분석의 활용
A Guide on the Use of Factor Analysis in the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5, 2013년, pp.587 - 594  

강현철 (호서대학교 정보통계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researchers with a simplified approach to undertak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the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Methods: All articles published in 2010, 2011, and 2012 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were reviewed and other releva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의 목적은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의 수행과 관련된 여러 가지 사항에 대하여 간호학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통합된 관점의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 평가와 관련하여 요인분석을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하는 주요 사항들에 대하여 여러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논의하였다.
  • 따라서, 연구자는 다양한 옵션들과 기준들을 조합하여 가급적 다양한 형태의 결과를 얻고 그들을 세심하게 비교하여, 연구분야의 이론과 경험에 부합하는 합리적인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의 수행과 관련된 여러 가지 사항에 대하여 통합된 관점의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논의된 내용들이 요인분석을 수행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자들에게 실제적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가설 설정

  • ”와 “대립가설: 공통요인이 존재한다.
  • 첫째, 연구자는 모든 요인들이  서로 상관되어 있지 않거나(직교회전의 경우) 모두 상관되어 있는(사각회전의 경우) 것으로 가정해야 한다.
  • 즉, 특정한 요인들 사이에만 상관성을 두거나 없앨 수 없다. 둘째, 모든 측정변수들은 모든 요인에 적재된다고 가정해야 한다. 즉, 특정 측정변수를 특정 요인에 배정하거나 다른 요인에 배정할 수 없다.
  • 반영적 지표(reflective indicator)는 측정변수의 값이 잠재변수의 영향을 받아 결정되는 구조로 잠재변수가 측정변수의 원인임을 가정한다. 행동과학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지능이나 성격과 같이 이론적이며 추상적인 개념들이 반영적 지표에 해당한다.
  • 형성적 지표(formative indicators)는 측정변수가 잠재변수의 값을 결정하는 구조로 측정변수가 잠재변수를 형성하는 원인임을 가정한다. 사회경제적 지위(SES)와 같은 지표(index)가 대표적인 형성적 지표에 해당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타당도란? 타당하고 신뢰성있는 측정도구는 모든 연구에 있어서 필수적인 구성요소이며, 연구 결과에 대한 해석은 측정도구의 타당성에 의존하므로 연구자는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해야 한다(Tafreshi & Yaghmaei, 2006). 타당도(validity)란 그 측정도구(검사)가 원래 측정하려 했던 것을 실제로 잘 측정하는가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타당도 분석 방법은 크게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준거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로구분된다.
타당도 분석 방법은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타당도(validity)란 그 측정도구(검사)가 원래 측정하려 했던 것을 실제로 잘 측정하는가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타당도 분석 방법은 크게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준거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로구분된다.측정도구의 특성과 측정도구가 사용되는 상황에 따라 더 중요한 타당도 분석 방법이 존재할 수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이들 중 일부의 타당도만 의미를 가질 수도 있다.
요인분석에서의 잠재변수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인자분석)은여러관찰가능한특성(측정변수)들로부터 소수의 일반적인 잠재변수(latent variable)를 발견해내거나 만들어 내는 통계적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잠재변수는 측정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생성시키는 이론적인, 관찰할 수 없는, 저변에 깔려 있는 요인(factor)을 의미한다. 즉, 요인분석은 상관(혹은 공분산)행렬의 구조에 관한 통계적 모형을 구축하고, 그와 같은 구조를 생성시키는 소수 몇 개의 요인을 유도하여, 측정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해석하는 자료 분석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Kang, Han,Kim,&Jhun,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rrindel, W. A., & van der Ende, J. (1985). An empirical test of the utility of the observations-to-variables ratio in factor and components analysis.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9(2), 165-178. http://dx.doi.org/10.1177/014662168500900205 

  2. Barrett, P. T., & Kline, P. (1981). The observation to variable ratio in factor analysis. Personality Study and Group Behavior, 1, 23-33. 

  3. Bollen, K., & Lennox, R. (1991). Conventional wisdom on measurement: A structural equation perspective. Psychological Bulletin, 110(2), 305-314. 

  4. Cartell, L., & Harman, A. (1966). The scree test for the number of factor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1, 245-276. 

  5. Chin, W. W. (1998). Issue and opinion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IS Quarterly, 22(1), 1-10. 

  6. Cho, H. D. (2011). A study on issues of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 in education stud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7. Comrey, A. L., & Lee, H. B. (1992). A first course in factor analysis (2nd ed.). Hillsdale, NJ: Erlbaum. 

  8. Guilford, J. P. (1956). Psychometric methods (2nd ed.). New York, NY: McGraw-Hill. 

  9. Hair, J. F. Jr., Anderson, R. E., Tatham, R. L., & Black, W. C. (1995). Multivariate data analysis (4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10. Hogarty, K. Y., Hines, C. V., Kromrey, J. D., Ferron, J. M., & Mumford, K. R. (2005). The quality of factor solution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influence of sample size, communality, and overdetermination.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5(2), 202-226. http://dx.doi.org/10.1177/0013164404267287 

  11. Jarvis, C. B., MacKenzie, S. B., & Podsakoff, P. M. (2003). A critical review of construct indicators and measurement model misspecification in marketing and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0(2), 199-218. http://dx.doi.org/10.1086/376806 

  12. Kaiser, H. F. (1974). An index of factorial simplicity. Psychometrika, 39(1), 31-36. 

  13. Kang, H. (2013). Discussions on the suitable interpretation of model fit indices and the strategies to fit model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2), 653-668. 

  14. Kang, H., Han, S. T., Kim, K., & Jhun, M. (2005). Multivariate data analysis using SAS by examples. Paju: Freedom Academy. 

  15. Lawley, D. N., & Maxwell, A. E. (1971). Factor analysis as a statistical method (2nd ed.). New York, NY: American Elsevier Pub. Co. 

  16. Lee, H., & Kim, J. H. (2013).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AMOS 20.0. Seoul: JypHyunJae Publishing Co. 

  17. MacCallum, R. C., Browne, M. W., & Sugawara, H. M. (1996). Power analysis and determination of sample size for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Psychological Methods, 1(2), 130-149. 

  18. MacCallum, R. C., Widaman, K. F., Zhang, S., & Hong, S. (1999). Sample size in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4(1), 84-99. 

  19. Munro, B. H. (2005). Statistical methods for health care research (5th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NY: McGraw-Hill. 

  21. Seong, T. J. (2002). Validity and reliability (2nd ed.). Seoul: Hakjisa Publisher. 

  22. Shin, H. S., Hyun, M. S., Ku, M. O., Cho, M. O., Kim, S. Y., Jeong, J. S., et al. (2010). Analysis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Nursing-focused on research trends, intervention studies, and level of evidence in the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1), 139-149. http://dx.doi.org/10.4040/jkan.2010.40.1.139 

  23. Snook, S. C., & Gorsuch, R. L. (1989). Component analysis versus common factor analysis: A Monte Carlo study. Psychological Bulletin, 106(1), 148-154. http://dx.doi.org/10.1037/0033-2909.106.1.148 

  24. Tabachnick, B. G., & Fidell, L. S. (2007).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5th ed.). Boston, MA: Pearson/Allyn & Bacon. 

  25. Tafreshi, M. Z., & Yaghmaei, F. (2006). Factor analysis of construct validity: A review of nursing articles.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10(1), 19-26. 

  26. Tak, J. K. (2007). Psychological testing: An understanding of development and evaluation method (2nd ed.). Seoul: Hakjisa Publisher. 

  27. Williams, B., Brown, T., & Onsman, A. (2012).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five-step guide for novices. Journal of Emergency Primary Health Care, 8(3), Article 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