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도구개발 간호연구에서의 타당도에 대한 고찰
Validity of Instrument Development Research in Korean Nursing Research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6, 2013년, pp.697 - 703  

이경희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과학부) ,  신수진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integrative review study was done to analyze methods used for validation studies in Korean nursing research. Methods: In this study, the literature on instrument development in nursing research from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and major nursing journal databases in Ko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으로 뒤를 이었다. 171편의 연구가 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18편의 연구는 번역 도구의 표준화를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였다(Table 1).
  • 본 연구는 국내 간호학 분야의 도구개발 및 타당화 연구에서 보고되어온 타당도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도구개발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분석 결과 간호학 분야의 국내학술지에 도구 개발 연구가 최초로 게재된 것은 1977년도였으며, 본격적으로 도구 개발 연구가 증가한 시기는 2000년대 이후임을 알 수 있다.
  • 본 연구는 국내의 간호학연구 분야에서 도구 개발 및 타당도 연구경향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안하기위해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 도구 개발 연구자들은 도구의 타당도를 입증하기위해 75%에서 두 가지 이상의 타당도 검증을 하고 있었으며, 개별타당도로는 내용타당도와 구성타당도를 주로 보고하고 있어 다양한 증거를 포함하는 타당도연구 및 개발된 도구와 도구가 측정하는 개념을 설명하는 이론과의 관련성을 입증하는 구성타당도가 점차 중요하게 여겨지는 추세를 반영하고 있어 고무적인 듯 보인다.
  • 본 연구는 도구 타당화에 대한 간호연구 동향 및 타당도 관련 자료 분석 및 결과 보고 동향에 대한 문헌 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도구개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이들 중 도구의 타당화 과정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 추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이며, 그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주로 개발된 도구에 대한 타당도 연구 동향은 청소년 우울이나 소아통증같이 특정한 대상에서 한 가지 개념을 측정하는 다양한 도구들을 대상으로 주로 어떠한 타당도 검증들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와 같이 제한된 범위에서 동향파악을 하고 있으며(Carnevale, 2011; Foster&Park, 2012), 영문으로 출간된 임상 연구를 대상으로 간호학분야에서 타당도의 경향연구(Ribeiro, Vedovato, de Moraes Lopes, Monteiro, & de Brito Guirardello, 2013)가 극히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제한점 때문에 국내의 간호학분야에서 도구 개발 연구의 타당도동향에 대한 선행연구가 없어 본 연구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뢰도란 무엇인가? 신뢰도란 피험자들에게 동일한 검사를 반복 실시하였을 때 측정의 일관성(consistency)이라고 정의하고 있다(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ER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 National Council on Measurement in Education [NCME],1999). 즉,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얼마나 정확하게 오차없이 측정하였는지에 관한 검사도구의 일관성을 말하며, Cronbach’s α를 이용한 내적일관성 신뢰도와 Pearson 상관계수 추정 공식에 의한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일반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측정의 대상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사물의 성질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수를 부여하는 절차인 측정(measurement)은 다양한 사회과학 연구에서 중요한 관심사이며(DeVellis, 2003), 다른학문에서와 마찬가지로 측정은 간호학 연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Park, 2005). 측정의 대상은 직접 측정이 가능한 것과 직접 측정이 불가능하여 간접 측정만이 가능한 대상으로 구분하며(Seong, 2002), 간호학에서 주요 연구개념인 스트레스, 우울, 삶의 질, 자신감등의 개념은 주로 추상적이고 주관적이며, 잠재적인 특성이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측정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도구를 이용한 측정이 필수적이다.
신뢰도가 높다고 반드시 타당도가 높은 것은 아니다를 보여주는 예시에는 무엇이 있는가? 한편,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다른 개념이라 할지라도 분리하기 보다 연관성을 두고 분석하는 것이 두 개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타당도가 높기 위해서는 신뢰도가 높아야 하지만 신뢰도가 높다고 반드시 타당도가 높은 것은 아니다(Seong, 2002). 예를 들면 신뢰도가 높은 우울 측정도구로 불안을 측정한 경우 타당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듯이 신뢰도가 높은 도구로 측정하였다고 해서 타당도가 반드시 높다고볼 수는 없다. 따라서, 도구의 타당성을 증명하는 과정 또한 필수적인 과정이지만, 증명된 공식에 의해 수치를 산출하는 비교적 일반화된 신뢰도 검증과정에 비해 타당도를 증명하는 과정은 상대적으로 매우 다양한 접근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ER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 National Council on Measurement in Education [NCME]. (1999). The standards f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testing. Washington, DC: AERA Publications. 

  2. Campbell, D. T., & Fiske, D. W. (1959).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ation by the multitrait-multimethod matrix. Psychological Bulletin, 56(2), 81-105. http://dx.doi.org/10.1037/h0046016 

  3. Carnevale, T. (2011). An integrative review of adolescent depression screening instruments: Applicability for use by school nurses.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Nursing, 24(1), 51-57. http://dx.doi.org/10.1111/j.1744-6171.2010.00256.x 

  4. Choi, S. H., Lee, E. J., Park, M. J., Kim, H. S., Kim, M. H., & Choi, J. Y. (2012). Nursing outcomes measurement indicators.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ress. 

  5. Choi, S. J., Bae, S. Y., Choi, J. Y., & Bang, H. J. (2006). Development and predictive validity of pressure ulcer predicting scale for patients with neurologic condition. Clinical Nursing Research, 11(1), 95-108. 

  6. Cronbach, L. J., & Meehl, P. E. (1955). Construct validity in psychological tests. Psychological Bulletin, 52(4), 281-302. 

  7. DeVellis, R. F. (2003).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8. DeVellis, R. F. (2011).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3rd ed.).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Inc. 

  9. Foster, R. L., & Park, J. H. (2012). An integrative review of literature examining psychometric properties of instruments measuring anxiety or fear in hospitalized children. Pain Management Nursing, 13(2), 94-106. http://dx.doi.org/10.1016/j.pmn.2011.06.006 

  10. Gronlund, N. E., & Linn, R. L. (1990).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teaching (6th ed.). New York, NY: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1. Hopfenbecka, T. N., & Maul, A. (2011). Examining evidence for the validity of PISA learning strategy scales based on student response processes. International Journal of Testing, 11(2), 95-121. http://dx.doi.org/10.1080 /15305058.2010.529977 

  12. Ju, H. O., Lee, N. Y., Park, I. S., Lee, S. O., & Kim, S. H. (2009). Development & validation of a checklist for infant and child developmental screen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5(1), 34-41. http://dx.doi.org/10.4094/jkachn.2009.15.1.34 

  13. Kane, M. T. (2000). Current concerns in validity theory.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38(4), 319-342. http://dx.doi.org/10.1111/j.1745- 3984.2001.tb01130.x 

  14. Kang, H. (2013). A guide on the use of factor analysis in the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5), 587- 594. http://dx.doi.org/10.4040/jkan.2013.43.5.587 

  15. Kim, K. N., Kim, C. H., Kim, K. I., Yoo, H. J., Park, S. Y., & Park, Y. H.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nursing delirium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3), 414-423. http://dx.doi.org/10.4040/jkan.2012.42.3.414 

  16. Lee, E. O., Im, N. Y., Park, H. A., Lee, I. S., Kim, J. I., Bae, J., et al. (2009).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4th ed.). Paju: Soomoonsa. 

  17. Lee, I., Park, Y. I., Park, E., Lee, S. H., & Jeong, I. S. (2011). Validation of instruments to classify the frailty of the elderly in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2(3), 302-314. 

  18. Lee, W. (2008). Unified view on validity.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1(4), 67-79. 

  19. Park, H. A. (2005). Problem and issues in developing measurement scales in nursing. Journal of Nursing Query, 14(1), 46-72. 

  20. Pett, M. A., Lackey, N. R., & Sullivan, J. J. (2003). Making sense of factor analysis: The use of factor analysis for instrument development in health care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21. Ribeiro, M. A. S., Vedovato, T. G., de Moraes Lopes, M. H. B., Monteiro, M. I., & de Brito Guirardello, E. (2013). Validation studies in nursing: Integrative review. Rev Rene, 14(1), 218-228. 

  22. Seong, T. J. (2002). Validity and reliability. Seoul: Hakjisa Publisher. 

  23. Shin, H., Kim, J., & Lim, S. (2007). A study to validate the Korean child development review.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3(2), 222-229. 

  24. Shin, H., Kwon, B., & Lim, S. (2005).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denver II in screen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risk.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1(3), 316-321. 

  25. So, A. Y., & Cho, B. H. (2002). Development of a home care need assessment tool: Focused on home care nursing diagnoses based on self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3(3), 433-443. 

  26. Waltz, C. F., Strickland, O. L., & Lenz, E. R. (2010). Measurement in nursing and health research (4th ed.).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