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간호학 분야 메타분석 논문의 질 평가
A Quality Assessment of Meta-Analyses of Nursing in South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6, 2013년, pp.736 - 745  

김정희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  김애경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ssess the quality of meta-analyses on nursing published in South Korea. Methods: Relevant meta-analyses were identified through searches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the DBpia and RISS4U databases f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간호학회지에서 출간된 메타분석 연구의 질 평가를 실시하고 간호학에서의 메타분석 연구의 질 향상 방안을 제시하며 더 나아가 근거 기반에 기초한 간호실무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간호학 분야에서 출간된 메타분석 연구물을 AMSTAR 기준에 따라 평가 분석하여 메타분석의 방법론적인 질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간호 분야에서는 1992년부터 출판되었으며, 특히, 최근 2010년부터 2013년 5월까지는 13개의 논문(31.
  • 본 연구는 국내 간호학 분야에서 출간된 메타분석의 논문을 질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내 간호학 분야에서 출간된 메타분석의 질 평가를 실시하고 간호학에서의 메타분석연구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나아가서는 근거 기반에 기초한 간호실무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1992년부터 2013년 5월까지 출판된 42개의 메타분석연구를 분석한 결과, 질 평가점수는 5.
  • 이상의 논의를 통해서 메타분석을 이용한 출간된 국내 간호학 분야에서 연구의 동향 및 문제점을 개괄적으로 평가해보았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간호학분야의 메타분석의 질 평가를 실시한 연구로 AMSTAR 기준에 따라 방법론적인 질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메타분석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상의 논의를 통해서 메타분석을 이용한 출간된 국내 간호학 분야에서 연구의 동향 및 문제점을 개괄적으로 평가해보았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간호학분야의 메타분석의 질 평가를 실시한 연구로 AMSTAR 기준에 따라 방법론적인 질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메타분석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수행의 근거는 무엇에 기초해야 하는가? 간호수행의 근거는 관찰과 실험 등을 통해 확립된 과학적 근거에 기초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간호수행을 위한 근거는 연구에 기반하며, 간호학 연구는 조사 연구, 실험 연구, 메타분석 연구 등을 포함하여 매우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다.
메타분석이란? 메타분석은 특정 중재와 관련해 기존에 출판되었거나 출판되지 않은 모든 결과물을 융합하고자 하는 통계적인 연구 방법론으로 (Borenstein, Hedges, Higgins, &Rothstein, 2009; Leandro, 2005)각각의 연구로부터 바로 효과크기를 얻어낼 수 있으며 중재에 대한 결과를 객관적으로 도출하여 근거기반의 실제에 대한 결과를 이끌어내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Conn & Rantz, 2003; Craig & Smyth, 2007; Leandro).또한,기존의 연구나 관찰 결과를 종합하여 임상적인 활용성 및 위해성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진단과 치료에 대한 임상적 결정에 도움을 준다(Shin, Han, Pae, &Patkar, 2011).
메타분석 연구의 체계적 괄을 위해 필요한 것은? 체계적 고찰을 위한 원칙으로, 연구 질문이 명확해야 하고 사전에 포함 및 제외기준이 정의 되어야 하며 폭넓고 잘 정제된 검색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포함된 연구의 질 평가, 문헌 선택 및 자료추출의 정확성,연구 결과 주의깊은 분석과 기술, 동질성 검정 등이 기술되어야 한다(Borenstein et al., 2009; Egg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orenstein, M., Hedges, L. V., Higgins, J. P. T., & Rothstein, H. R. (2009).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West Sussex, UK: Wiley. 

  2. Braga, L. H., Pemberton, J., Demaria, J., & Lorenzo, A. J. (2011). Methodological concerns and quality appraisal of contemporary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in pediatric urology. The Journal of Urology, 186(1), 266-271. http://dx.doi.org/10.1016/j.juro.2011.03.044 

  3. Brown, S. J. (2013). Evidence-based nursing: The research-practice connection (3rd ed.). Burlington, MA: Jones & Bartlett Learning. 

  4. Conn, V. S., & Rantz, M. J. (2003). Research methods: Managing primary study quality in meta-analyse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6(4), 322-333. http://dx.doi.org/10.1002/nur.10092 

  5. Craig, J. V., & Smyth, R. L. (2007). The evidence-based practice manual for nurses (2nd ed.). Edinburgh, UK: Churchill Livingstone. 

  6. De Vito, C., Manzoli, L., Marzuillo, C., Anastasi, D., Boccia, A., & Villari, P. (2007). A systematic review evaluating the potential for bias and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meta-analyses in vaccinology. Vaccine, 25(52), 8794-8806. http://dx.doi.org/10.1016/j.vaccine.2007.10.034 

  7. Dijkman, B. G., Abouali, J. A., Kooistra, B. W., Conter, H. J., Poolman, R. W., Kulkarni, A. V., et al. (2010). Twenty years of meta-analyses in orthopaedic surgery: Has quality kept up with quantity? The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American Volume, 92(1), 48-57. http://dx.doi.org/10.2106/jbjs.i.00251 

  8. Egger, M., & Smith, G. D. (1998). Bias in location and selection of studies. BMJ: British Medical Journal, 316(7124), 61-66. 

  9. Egger, M., Smith, G. D., & Altman, D. G. (2001). Systematic reviews in health care: Meta-analysis in context (2nd ed.). London, UK: BMJ Books. 

  10. Higgins, J. P. T., & Green, S. (2011, March).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Retrieved December 1, 2011, from www.cochrane-handbook.org 

  11. Kim, S. Y., Park, J. E., Seo, H. J., Lee, Y. J., Jang, B. H., Son, H. J., et al. (2011).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12. Kjaergard, L. L., Villumsen, J., & Gluud, C. (2001). Reported methodologic quality and discrepancies between large and small randomized trials in meta-analyse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35(11), 982-989. 

  13. Leandro, G. (2005). Meta-analysis in medical research: The handbook for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meta-analysis. Malden, MA: BMJ Books. 

  14. Lee, J. (2008). Meta-analysis. Journal of Korean Endocrine Society, 23(6), 361-378. http://dx.doi.org/10.3803/jkes.2008.23.6.361 

  15. Liberati, A., Altman, D. G., Tetzlaff, J., Mulrow, C., Gøtzsche, P. C., Ioannidis, J. P., et al. (2009). The PRISMA statement for report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of studies that evaluate health care interventions: Explanation and elaboration.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62(10), e1-e34. http://dx.doi.org/10.1016/j.jclinepi.2009.06.006 

  16. Lim, S. M., Shin, E. S., Lee, S. H., Seo, K. H., Jung, Y. M., & Jang, J. E. (2011). Tools for assessing quality and risk of bias by levels of evidenc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4(4), 419-429. http://dx.doi.org/10.5124/jkma.2011.54.4.419 

  17. MacDonald, S. L., Canfield, S. E., Fesperman, S. F., & Dahm, P. (2010). Assessment of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systematic reviews published in the urological literature from 1998 to 2008. The Journal of Urology, 184(2), 648-653. http://dx.doi.org/10.1016/j.juro.2010.03.127 

  18. Melchiors, A. C., Correr, C. J., Venson, R., & Pontarolo, R. (2012). An analysis of quality of systematic reviews on pharmacist health interven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34(1), 32-42. http://dx.doi.org/10.1007/s11096-011-9592-0 

  19. Moher, D., Cook, D. J., Eastwood, S., Olkin, I., Rennie, D., & Stroup, D. F. (1999). Improving the quality of reports of meta-analyses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The QUOROM statement. Quality of Reporting of Meta-analyses. Lancet, 354(9193), 1896-1900. 

  20. Papageorgiou, S. N., Papadopoulos, M. A., & Athanasiou, A. E. (2011). Evaluation of methodolog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ystematic reviews in orthodontics. Orthodontics & Craniofacial Research, 14(3), 116-137. http://dx.doi.org/10.1111/j.1601-6343.2011.01522.x 

  21. Shea, B. J., Grimshaw, J. M., Wells, G. A., Boers, M., Andersson, N., Hamel, C., et al. (2007). Development of AMSTAR: A measurement tool to assess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systematic reviews. BMC Medical Research Methodology, 7, 10. http://dx.doi.org/10.1186/1471-2288-7-10 

  22. Shea, B. J., Hamel, C., Wells, G. A., Bouter, L. M., Kristjansson, E., Grimshaw, J., et al. (2009). AMSTAR i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tool to assess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systematic review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62(10), 1013-1020. http://dx.doi.org/10.1016/j.jclinepi.2008.10.009 

  23. Shin, C., Han, C., Pae, C. U., & Patkar, A. A. (2011). Tools for quality evaluation of clinical research reports.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22(2), 67-72. 

  24. Simes, R. J. (1987). Confronting publication bias: A cohort design for metaanalysis. Statistics in Medicine, 6(1), 11-29. 

  25. Song, F., Eastwood, A. J., Gilbody, S., Duley, L., & Sutton, A. J. (2000). Publication and related biases.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Winchester, England), 4(10), 1-115. 

  26. Stroup, D. F., Berlin, J. A., Morton, S. C., Olkin, I., Williamson, G. D., Rennie, D., et al. (2000).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 A proposal for reporting.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 (MOOSE) group. JAMA: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3(15), 2008-2012. 

  27. Suebnukarn, S., Ngamboonsirisingh, S., & Rattanabanlang, A. (2010). A systematic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meta-analyses in endodontics. Journal of Endodontics, 36(4), 602-608. http://dx.doi.org/10.1016/j.joen.2009.12.019 

  28. Sutton, A. J., Abrams, K. R., Jones, D. R., Sheldon, T. A., & Song, F. (2000). Methods for meta-analysis in medical research. New York, NY: Wiley.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