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 환자 가족원의 소진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
Structural Relationship of Burnout and Related Variables among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6, 2013년, pp.812 - 820  

홍민주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  태영숙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structural equational model to explain and predict burnout in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The study was based on the Stress-Appraisal-Coping Model of Lazarus and Folkman (1984) and Family Stress Theory (Hill, 1958). Methods: Data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Lazarus와 Folkman (1984)의 스트레스-평가-대처 이론(stress-appraisal-coping theory)과 Hill (1958)의 가족 스트레스 이론 및 선행 연구 문헌을 토대로 암 환자 가족원의 소진을 설명하는 변인의 인과관계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제시한 후, 모형의 자료에 대한 적합도와 가설을 검증하는 구조모형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문헌 고찰과 Lazarus와 Folkman (1984)의 스트레스-평가-대처 이론(stress-appraisal-coping theory)과 Hill (1958)의 가족 스트레스 이론을 근거로 하여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들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검증하고 모형을 구축하기 위하여 시도되었으며, 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소진을 결과변수로 두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인지, 지각된 건강상태, 희망을 원인변인으로 선정하여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였다. 지금까지 암 환자 가족원의 소진에 대한 연구는 단일 변인을 중심으로 다루어져왔고, 관련변인에 있어서도 인구사회학적인 변인이 많아 암 환자 가족원의 소진을 설명하는 이론적 가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 본 연구는 암 환자 가족원의 소진과 관련 있는 변인들을 기초로 하여 가설적 모형을 제시하고, 관련 변인들 간의 직·간접적 영향력을 검증한 후, 소진 구조모형을 구축하여 암 환자 가족원의 소진을 관리하기 위한 체계적인 간호중재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암 환자 가족원의 소진을 예측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이들 요인들 간의 영향력을 파악하여 소진을 관리할 수 있는 간호중재 전략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인지, 지각된 건강상태, 희망을 원인 변인으로 선정하고 이들 변인 간의 인과관계와 상호작용을 토대로 암 환자 가족원의 소진을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성하여 검증하였고, 현실에 부합되는 모형을 찾기 위해 Lazarus와 Folkman (1984)의 스트레스-평가-대처 이론 (stress-appraisal-coping theory)과 Hill (1958)의 가족 스트레스 이론을 바탕으로 가설적 모형을 수정하여 설명력과 적합도가 높은 소진 모형을 구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이론과 문헌 고찰을 바탕으로 암 환자 가족원의 소진을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제시하고, 소진 관련 변인들 간의 직·간접 효과를 확인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 사회적 지지는 소진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으며, 간접효과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소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변인들을 먼저 논의하고 이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사회적 지지에 대해 세부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 환자로 인한 암 환자를 돌보는 가족원들은 무엇을 겪게 되나? 암은 환자뿐만 아니라 가족에게도 직·간접적으로 삶의 변화를 일으키는 생활사건이며(McDaniel & Allen, 2012), 암 환자 수의 증가는 곧 암 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증가를 의미한다. 최근 몇 년간 암환자 생존률 상승과 암치료 방법의 다양성 증가로 인해 가족의 돌봄 책임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Given & Northouse, 2011), 환자와 가족은 치료과정 동안 증상에 대한 두려움, 진단에 따른 생활양식의 변화, 치료의 부작용, 재발, 전이 등에 지속적으로 대처해야 하는 스트레스를 가지게 된다(Kang & Kim, 2005). 하지만 역할 과중으로 인해 돌봄 제공자 자신의 건강을 돌볼 여유나 휴식이 부족하여, 이로 인한 신체적 불편감과 피로, 고립감 등의 정신적·사회적 문제를 호소하고 있다(Kim, Park, & Hong, 2012).
적극적 참여 대처 전략엔 무엇이 있나? 또한, Hill의 가족 스트레스 이론에서는 가족의 자원이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가족원의 인지와 상호작용하여 부적응의 결과를 유발하며, 가족원의 자원조절능력과 대처전략의 사용이 적응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변수가 됨을 강조하고 있다. 문헌 고찰에 따르면, 암 치료에 대한 적극적인 행동, 낙관성, 자기 조절, 긍정적 해석과 암을 수용하는 것 등이 적극적 참여 대처 전략으로 제시되었으며(Northouse, 2012),이들 대처전략 중 낙관성, 조절감, 의미 발견을 포함하는 희망은 중요한 적극적 대처 전략의 하나로 설명되고 있다(Tae, Heitkemper, & Kim, 2012).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가족자원 중 사회적 자원은 사회적 지지로, 개인적인 자원은 지각된 건강상태로 개념화하였고, 이러한 자원에 대한 평가를 스트레스 인지로, 그리고 그 평가에 대한 대처전략은 희망으로, 부적응의 결과로 소진이 발생하는 것으로 개념화하였다.
2005-2009년 암 발생자의 5년 생존율은? 우리나라에서 2009년 1년 동안 새롭게 암으로 진단받은 암 발생자는 2008년에 비해 6.7% 증가하였고, 2005-2009년 암 발생자의 5년 생존율은 62.0%로 이전 5년 생존율에 비해 8.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MHW],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KCCR],& NationalCancerCenter[NCC],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hn, E. J., & Lee, Y. S. (2005). Burnout and burden of family care-givers for caring of terminal patients with cancer.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5(1), 40-51. 

  2. Benzein, E. G., & Berg, A. C. (2005). The level of and relation between hope, hopelessness and fatigue in patients and family members in palliative care. Palliative Medicine, 19(3), 234-240. 

  3. Choi, Y. S. (2011). Suffering experience of the family with cancer patients: Applied parse's human becoming research methodolog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yang University, Daejeon. 

  4. Duggleby, W., Bally, J., Cooper, D., Doell, H., & Thomas, R. (2012). Engaging hope: The experiences of male spouses of women with breast cancer. Oncology Nursing Forum, 39(4), 400-406. http://dx.doi.org/10.1188/12.onf.400-406 

  5. Feldman, D. B., & Snyder, C. R. (2005). Hope and the meaningful life: Theoretical and empirical associations between goal-directed thinking and life meaning.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4(3), 401-421. http://dx.doi.org/10.1521/jscp.24.3.401.65616 

  6. Given, B. A., & Northouse, L. (2011). Who cares for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5(5), 451-452. http://dx.doi.org/10.1188/11.cjon.451-452 

  7. Herth, K. (1991). Development and refine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hope. Scholarly Inquiry for Nursing Practice, 5(1), 39-51. 

  8. Hill, R. (1958). Generic features of families under stress. Social Casework, 39, 139-150. 

  9. Honea, N. J., Brintnall, R., Given, B., Sherwood, P., Colao, D. B., Somers, S. C., et al. (2008). Putting evidence into practice: Nursing assessment and interventions to reduce family caregiver strain and burden.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12(3), 507-516. http://dx.doi.org/10.1188/08.cjon.507-516 

  10. Hong, M. J., Tae, Y. S., & Noh, M. Y. (2012).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ways of coping and burnout of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Asian Oncology Nursing, 12(1), 92-99. http://dx.doi.org/10.5388/aon.2012.12.1.92 

  11. Kang, K. A., & Kim, S. J. (2005). Content analysis of difficulties in families with terminal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6(3), 270-281. 

  12. Keefe, F. J., Ahles, T. A., Porter, L. S., Sutton, L. M., McBride, C. M., Pope, M. S., et al. (2003). The self-efficacy of family caregivers for helping cancer patients manage pain at end-of-life. Pain, 103(1-2), 157-162. 

  13. Kim, M. G., Park, H. S., & Hong, H. S. (2012). Perceived family support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and burnout in primary family caregivers. Global Health Nursing, 2(1), 8-17. 

  14. Kim, Y. L., & Yoo, M. S. (200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and the social support of family caregivers of breast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3(2), 5-24. 

  15.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6. McDaniel, K. R., & Allen, D. G. (2012). Working and care-giving: The impact on caregiver stress, family-work conflict, and burnout. Journal of Life Care Planning, 10(4), 21-32. 

  17.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 National Cancer Center. (2012).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0.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18. Moon, S. B. (2009). Basic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7.0. Seoul: Hakjisa. 

  19. Northouse, L. L. (2012). Helping patient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cope with cancer. Oncology Nursing Forum, 39(5), 500-506. http://dx.doi.org/10.1188/12.onf.500-506 

  20. Ong, A. D., Edwards, L., & Bergeman, C. S. (2006). Hope as a source of resilience in later adulthood.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1(7), 1263-1273. http://dx.doi.org/10.1016/j.paid.2006.03.028 

  21. Park, J. W. (1985).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2. Pines, A. M., Aronson, E., & Kafry, D. (1981). Burnout: From tedium to personal growth. New York, NY: Free Press. 

  23. Rhee, Y. S. (2009). A study of effect on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caregive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feeling of burden and growth. Korean Jounal of Social Welfare, 61(2), 325-348. 

  24. Shin, G. Y. (2002). Adaptation model for family caregiver of cancer patient.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1), 5-16. 

  25. Shin, G. Y., & Kim, M. J. (2002). Factors influencing stress appraisal of cancer patients' primary caregiv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4(4), 125-134. 

  26. Song, M. S., Lee, E. O., Park, Y. S., Hah, Y. S., Shim, Y. S., & Yu, S. J. (2000). The concept analysis of hope: Among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5), 1279-1291. 

  27. Suh, S. H. (2003). A study of the meaning and the change of familism in Korea.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1(4), 93-101. 

  28. Sung, M. R., Kim, K. A., & Lee, D. Y. (2012). Factors influencing burnout in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elders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4(3), 200-208. 

  29. Swore Fletcher, B. A., Dodd, M. J., Schumacher, K. L., & Miaskowski, C. (2008). Symptom experience of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Oncology Nursing Forum, 35(2), E23-E44. http://dx.doi.org/10.1188/08.onf.e23-e44 

  30. Tae, Y. S., Heitkemper, M., & Kim, M. Y. (2012). A path analysis: A model of depression in Korean women with breast cancer-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hope. Oncology Nursing Forum, 39(1), E49-E57. http://dx.doi.org/10.1188/12.onf.e49-e57 

  31. Teschendorf, B., Schwartz, C., Ferrans, C. E., O'Mara, A., Novotny, P., & Sloan, J. (2007). Caregiver role stress: When families become providers. Cancer Control, 14(2), 183-189. 

  32. van Oostrom, I., Meijers-Heijboer, H., Duivenvoorden, H. J., Brocker-Vriends, A. H., van Asperen, C. J., Sijmons, R. H., et al. (2007). Family system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to cancer susceptibility genetic testing: A prospective study. Clinical Genetics, 71(1), 35-42. http://dx.doi.org/10.1111/j.1399-0004.2007.00731.x 

  33. Yang, K. H., Song, M. R., & Kim, E. K. (1998). The stress and adaptation in family caregiver of chemotherapy patients.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12(1), 118-1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