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험실에서 사육된 고랑가리비 Chlamys swiftii 수정란 발생과 유생 성장
Development and growth in fertilized eggs and larvae of Korea swift's scallop Chlamys swiftii reared in the laboratory 원문보기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29 no.4, 2013년, pp.263 - 272  

이주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김이청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김기승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남명모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랑가리비의 산란을 유도하고 수정난의 발생과 유생의 성장과정을 조사하였다. 산란자극 방법으로 광 자극, 간출 자극, 온도 자극, 그리고 간출 후 온도자극을 수온 $16{\pm}0.5^{\circ}C$에서 각각 실시하였다. 광 자극은 암컷 1마리당 700-900천개, 온도 자극은 700-800천개로 적은 산란량을 보인 반면 간출 자극은 700-1,200천개로 높았으며 간출 자극 후 온도자극이 1,000-1,500천개로 가장 높은 산란량을 보였다. 수정율에 있어 광 자극은 암컷 1마리당 71.7%, 온도자극은 73.4%, 간출 자극이 73.6%이었으며 간출 자극 후 온도자극은 76.3%로 가장 높았으나 자극방법에 따른 수정율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수정란부터 D상 유생으로의 수온별 발생과정을 조사하기 위하여 비이커에 ml당 1,000개의 수정란을 수용하고 각각 $8^{\circ}C$, $12^{\circ}C$, $16^{\circ}C$, $20^{\circ}C$$24^{\circ}C$에서 D상 유생으로 발생하는 생존율을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30분 간격으로 관찰한 결과, $8^{\circ}C$$24^{\circ}C$의 실험군이 4.1%와 3.2%로 생존율이 낮은 편이었으며 $16^{\circ}C$에서 32.7%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여주었다. 수정란의 크기는 $72{\pm}2.1{\mu}m$, 담륜자 유생은 $103{\pm}3.8{\mu}m$, D상 유생은 $129{\pm}10.4{\mu}m$, 각정기 유생은 $145{\pm}16.8{\mu}m$, 후기 유생은 $197{\pm}13.6{\mu}m$이었으며 528시간 후에 각장 $245{\pm}15.8{\mu}m$의 초기 부착종묘로 성장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velopment of swift's scallop Chlamys swiftii, reared in the laboratory, has been examin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fertilized egg, larvae and juvenile. Eggs were fertilized with a dilute sperm solution to improve the survival of fertilized eggs. Develop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고랑가리비에 관한 유생발생, 종묘생산 및 치패유성 등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우리나라 동해안에 서식하는 고랑가리비는 맛이 뛰어나며 공예품에 많이 활용되는 경제적 가치가 아주 높은 품종이나 자원이 점점 고갈되어가고 있으며 산업적 산출량이 전무한 실정이므로 자원회복과 양식산업화 품종으로 개발할 필요성이 높아서 고랑가리비의 성패를 수집하여 산란유발, 유생발생과 성장에 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랑가리비는 어떤 과에 속하는 생물인가? 고랑가리비 (Chamys swiftii) 는 연체동물문 (Mollusca), 이매패강 (Bivalvia), 사새목 (Filibranchia), 가리비과 (Pectinidae) 에 속하며 크기가 12 cm 정도로서 20 cm까지 성장하는 큰가리비 (Patinopecten yessoensis) 보다 작지만 두꺼운 껍질에 고랑모양으로 넓은 방사륵이 5개가 있어서 뚜렷하게 구분된다. 성장이 멈춘 곳에 나이테처럼 성장선이 아주 뚜렷하며 왼쪽 껍질은 옅은 적자색이며 오른쪽 껍질은 흰색이다.
고랑가리비 껍질의 색깔은 무엇인가? 고랑가리비 (Chamys swiftii) 는 연체동물문 (Mollusca), 이매패강 (Bivalvia), 사새목 (Filibranchia), 가리비과 (Pectinidae) 에 속하며 크기가 12 cm 정도로서 20 cm까지 성장하는 큰가리비 (Patinopecten yessoensis) 보다 작지만 두꺼운 껍질에 고랑모양으로 넓은 방사륵이 5개가 있어서 뚜렷하게 구분된다. 성장이 멈춘 곳에 나이테처럼 성장선이 아주 뚜렷하며 왼쪽 껍질은 옅은 적자색이며 오른쪽 껍질은 흰색이다. 껍질 모양이 밭의 고랑처럼 울퉁불퉁하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고랑가리비는 80년대 초에 강원도 주문진에서 많이 발견되어 “주문진가리비”라고도 불리며, 동해를 접한 우리나라 강원도 해역의 수온이 낮은 바다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고랑가리비는 어떤 지역에서 분포하는가? 가리비과 (Pectinidae) 의 패류 중 상업성이 있어 양식이나 어획 대상이 되는 종은 Chlamys, Mimachlamys, Aequipecten, Palliolum, Decatopecten, Pecten 무리에서약 30 종 이상이 있으며, 이 중에서 Chlamys와 Pecten 속에 속하는 종들이 상업적으로 이용성이 높다. 한국에는 가리비과에 24종이 서식하고 있는데 (Lee and Min, 2002) 우리나라의 동해안에 분포하는 고랑가리비는 Chlamys 속에 속하며, 한해성이 강한 종으로서 동해안의 중북부 이상의 연안에서부터 오호츠크, 사할린, 쿠릴열도에까지 분포하고 있다 (Min et al.,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Chang, Y.J., Mori, K. and Nomura, T. (1985) Studies on th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in sowing cultures in Abashiri water- Reproductive periodicity. Tohoku J. of Aquaculture, 35: 91-105. 

  2. Chang, Y.J. (1991) Seasonal variations of digestive diverticula in th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J. of Aquaculture, 4: 19-30. 

  3. Chang, Y.J. (1993) Identification of blood cells and their physiological functions in th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J. of Aquaculture, 6: 1-12. 

  4. Chang, Y.J., Lim, H.K. and Park, Y.J. (1997) Reproductive cycle of the cultured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in eastern waters of Korea. J. of Aquaculture, 10: 133-141. 

  5. Duncan, D.B. (1955) Multiple-range and mutiple F tests. Biometrics, 11: 1-42. 

  6. Feindel, S.C. (2000) Optimization of hatchery culture of the sea scallop, Placopecten magellanicus (Gmelin, 1791): Dietary lipid quality and fatty acid requirements. MSc. Thesis, Memorial University of Newfoundland, St. John's, Newfoundland, Canada. 

  7. Jo, Q., Lee C., Oh, B.S., Bang J.D., Kim, Y., Jeon, I.G. and Ahn, M.M. (2007) Batch-specific quality of the reproductive outputs and nursery acclimation in the seed production of Patinopecten yessoensis - case study on Korean coasts of the East Sea. J. of Aquaculture, 20: 81-84. 

  8. Hall, J.M., Parrish, C.C. and Thompson, R.J. (2002) Eicosapentaenoic acid regulates scallop (Placopecten magellanicus) membrane fluidity in response to cold. Biol. Bull., 202: 201-203. 

  9. Kang, T.G. and Zhang, C.I. (2000) A study on the growth and spawning of Korean scallop (Chlamys farreri) around Wando, Korea. Bulletin of Korean Society and Fisheries Technology, 36(3): 210-221. 

  10. Kuang, S.H., Sun, F.L. and Fang, J. (1997) Feeding and growth of the scallop Chlamys farreri before and after spawning. Marine Fisheries Research. China, 17(2): 80-86. 

  11. Lee, B.H. and Chang, S.I. (1977) A study on the culture of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Jay) (1). Experiment on spat collection and culture by hanging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Bulletin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al Institute. Korea, 16: 165-178. 

  12. Lee, J.S. and Min, D.K. (2002) A Catalogue of molluscan fauna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18: 93-217. 

  13. Li, M.B., Biao, Z.P. and Sun, J. (1989) The use of micro-algae in rearing experiments on larval scallop, Chlamys farreri (Jones and Preston). Transaction of Oceanography and Limnology, 1: 30-37. 

  14. Liao, C., Xu, Y. and Wang, Y. (1983) Reproductive cycle of the scallop Chlamys farreri (Jones and Preston) at Qingdao. Journal of Fisheries. China, 7(1): 1-13. 

  15. Marty, Y., Delaunay, F., Moal, J. and Samain, J.F. (1992)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 of Pecten maximus (L.) during larval development. J. Exp. Mar. Biol. Ecol., 163: 221-234. 

  16. Maru, K. (1978) Studies on the reproduction of a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Jay)-2. Gonad development in 1-year-old scallops. Science Report of the Hokkaido Fisheries Experimental Station, 18: 9-26. 

  17. Milke, L.M., Bricelj, V.M. and Parrish, C.C. (2004) Growth of postlarval sea scallops, Placopecten magellanicus, on microalgal diets, with emphasis on the nutritional role of lipids and fatty acids. Aquaculture, 234: 293-317. 

  18. Min, D.G., (2004) Mollusks in Korea. Min Molluscan Institute, pp. 550. 

  19. Na, G.H., Jeong, W.G. and Cho, C.H. (1995) A study on seedling production of Jicon scallop, Chalmys farreri 1. Spawning, development and rearing of larvae. J. of Aquaculture, 8: 307-316 [in Korean]. 

  20. Naidu, K.S. (1991) Sea scallop, Placopecten magellanicus. In: Shumway, S.E. (Ed.), Scallops: Biology, Ecology, and Aquaculture. Elsevier, New York, pp. 861-898. 

  21. Oh, B.S. and Jung, C.G. (1999) Studies on the growth of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in winter season in south sea of Korea.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15: 71-79. 

  22. Oh, B.S., Jung, C.G., Yang, M.H. and Kim, S.Y. (2000) Effects of rearing density in culture cage on the growth of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Bulletin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al Institute. Korea, 58: 88-95. 

  23. Oh, B.S. (2000) Studies on the seedling production and aquaculture of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Lamarck). Ph. D. thesis. Inha University, pp. 174. 

  24. Oh, B.S., Jung, C.G., Yang, M.H., Kim, S.Y. and Jung, E.Y. (2002a) Reproductive cycle of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transplanted from China.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35: 201-206. 

  25. Oh, B.S., Jung, C.G. and Kim, S.Y. (2002b) Study of the growth on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in differential cultured depths. J. of Aquaculture, 15: 61-68. 

  26. Oh, B.S., Yang, M.H., Jung, C.G., Kim J.J., Kim Y.S. and Kim, S.Y. (2002c) Effect of selected spat on growth of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during aquaculture. J. of Aquaculture, 15: 123-129. 

  27. Oh, B.S., Jung, C.G. and Kim, S.Y. (2003) Artificial spawning, larval and spat developments of the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19: 19-24. 

  28. Park, K.Y., Kim, S.K., Seo, H.C. and Ma, C.W. (2005) Spawning and larval development of the Jicon scallop, Chalmys farreri. J. of Aquaculture, 18(1): 1-6. 

  29. Park, Y.J. (1998) Biological studies on aquaculture of th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Jay). Ph. D. thesis. Cheju National University, pp. 185. 

  30. Park, Y.J., Rho, S. and Lee, J. Y. (2000) Intermediate culture of th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in the east coast of Korea.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13: 339-351. 

  31. Park, Y.J., Rho, S. and Lee, C.S. (2001) Growth of th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in suspended culture in the east coast of Korea. J. of Aquaculture, 14: 181-195 [in Korean]. 

  32. Rhodes, E.W. and Widman, J.C. (1980) Some aspects of the controlled production of the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Proc. World Maricult. Soc., 11: 235-246. 

  33. Son, P.W., Ha, D.S., Rho, S. and Chang D.S. (1996) Studies on the age and growth of sun and moon scallop, Amusium japonicum japonicum (Gmelin). J. of Aquaculture, 9: 409-417. 

  34. Son, P.W. (1997) Biological studies on aquaculture of the sun and moon scallop, Amusium japonicum japonicum. Ph. D. thesis. Cheju National University, pp. 128. 

  35. Soudant, P., Marty, Y., Moal, J., Masski, H. and Samain, J.F. (1998) Fatty acid composition of polar lipid classes during larval development of scallop Pecten maximus. Comp. Biochem. Physiol., 121A: 279-288. 

  36. Whyte, J.N.C, Bourn, N and Hodgson, C.A. (1989) Influence of algal diets on biochemical composition and energy reserves in Patinopecten yessoensis (Jay) larvae. Aquaculture, 78: 333-347. 

  37. Wilson, J.H. (1987) Enviromental parameters controlling growth of Ostrea edulis L. and Pecten maximus L. in suspended culture. Aquaculture, 64: 119-131. 

  38. Yang, H., Zhang, T., Wang, J., Wang, P., He, Y. and Zhang, F. (1999) Growth of characteriitics of and its relation with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intensive raft-culture areas of Sishiliwan Bay, Yantai. Journal of Shellfish Research, 18(1): 71-76. 

  39. Yoo, S.K., Ryu, H.Y. and Park, K.Y. (1981) The growth of the cultur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Bulletin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al Institute. Korea, 14: 221-22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