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 타설 에너지파일을 적용한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의 성능 예측
Performance Prediction of Geothermal Heat Pump(GHP) System Using Cast-in-Place Energy Piles 원문보기

설비공학논문집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25 no.1, 2013년, pp.28 - 36  

손병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그린빌딩연구실) ,  정경식 ((주)에스텍컨설팅그룹) ,  최항석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GHP system with 45 cast-in-place energy piles(CEP) for a commercial building. In order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a sustainable performance of the system, transient simulations were conducted over 1-year and 20-year periods, respe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5의 결과를 부하가 집중적으로 걸리는 1, 2월(난방, 60일)과 7, 8월(냉방, 65일) 로 구분하여 나타낸 것이다. 본 분석에서는 건물 특성을 고려하여 오전 8시부터 오후 10시(14시간)까지 시스템이 가동(간헐 운전 또는 on-off 운전)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따라서 Fig.
  • 본 연구에서는 Fig. 1의 상업용 건물에 현장 타설 에너지파일과 지열 히트펌프를 설치하는 것으로 가정한 후, 동특성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스템 성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의 2009년 외기 데이터를 적용하여 대상 건물의 최대 냉난방 부하와 시간대별 에너지 부하를 계산하였다.
  • 에너지 파일을 적용하기 위해, 대상 건물의 전체 기초 파일중 45개의 파일을 선정하였다. 여기에 파일당 4개의 U자관(U-tube)을 삽입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에너지파일의 평균 깊이와 지름은 각각 20 m와 1.
  • 연구에서는 상업용 건물에 현장 타설 에너지 파일과 지열 히트펌프를 설치하는 것으로 가정한 후, 동특성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대상 건물의 최대 냉난방 부하와 시간대별 에너지 부하 그리고 각종 지중 열물성 데이터를 적용하여 에너지파일 순환수의 온도 변화와 에너지 파일의 열전달 성능 그리고 시스템의 냉난방 성능 등을 예측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이 공기열원 히트펌프와 비교하여 좋은 점은?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의 열원(heat source, 난방)과 히트싱크(heat sink, 냉방)인 땅(ground)의 온도는 거의 일정하기 때문에, 시스템은 연중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한다. 특히 여름철 땅 속 온도는 외기 온도보다 낮고 반대로 겨울에는 높기 때문에, 공기열원 히트펌프보다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지열 시스템은 건물 부문의 냉․난방(급탕)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는 대안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설치 사례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geothermal heat pump system)은 통상 지열 히트펌프(geothermal heat pump)와 지중열교환기(ground heat exchanger) 그리고 관련 부속 설비 등으로 구성된다.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의 열원(heat source, 난방)과 히트싱크(heat sink, 냉방)인 땅(ground)의 온도는 거의 일정하기 때문에, 시스템은 연중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한다.
수직 밀폐형 방식의 단점은?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은 다양한 형상과 용량의 지중열교환기를 활용할 수 있지만, 국내에서는 수직 밀폐형 방식(vertical closed-loop type)을 주로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수직 밀폐형의 초기 투자비가 수평형(horizontal closed-loop)이나 개방형(open type)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이 단점이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들어 유럽과 중국 그리고 일본에서는 건물 기초(building foundation)를 지중 열교환기로 활용하기 위한 기술 개발(1-3)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Laloui, L., Nuth, M., and Vulliet, L., 2006, Experimental and numerical investigations of the behaviour of a heat exchanger pile, Int. J. for Numerical and Analytical Methods in Geomechanics, Vol. 30, pp. 763-781. 

  2. Gao, J., Zhang, X., Liu, J., Li, S. K., and Yang, J., 2008, Thermal performance and ground temperature of vertical pile-foundation heat exchangers : a case study,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28, pp. 2295-2304. 

  3. Hamada, Y., Saitoh, H., Nakamura, M., Kubota, H., and Ochifuji, K., 2007, Field performance of an energy pile system for space heating, Energy and Buildings, Vol. 39, pp. 517-524. 

  4. Brandl, H., 2006, Energy foundations and other thermo-active ground structures, Geotechnique, Vol. 56, No. 2, pp. 81-122. 

  5. Bozis, D., Papakostas, K., and Kyriakis, N., 2011, On the evaluation of design parameters effects on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of energy piles, Energy and Buildings, Vol. 43, pp. 1020-1029. 

  6. Katsura, T., Nagano, K., and Takeda, S., 2008, Method of calculation of the ground temperature for multiple ground heat exchangers,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28, pp. 1995-2004. 

  7. Wood, C. J., Liu, H., and Riffat, S. B., 2010, An investigation of the heat pump performance and ground temperature of a piled foundation heat exchanger system for a residential building, Energy, Vol. 35, pp. 4932-4940. 

  8. Li, M. and Lai, A., 2008, Heat-source solutions to heat conduction in anisotropic media with application to pile and borehole ground heat exchangers, Applied Energy, Vol. 96, pp. 451-458. 

  9. Man, Y., Yang, H., Diao, N., Liu, J., and Fang, Z., 2010, A new model and analytical solutions for borehole and pile ground heat exchangers, International Journal of Heat and Mass Transfer, Vol. 53, pp. 2593-2601. 

  10. Yoo, G. S., Park, I. M., Choi, J. H., and Shin, H. J., 2009, Performance evaluation of large borehole ground-loop heat exchanger, Proceedings of the SAREK, pp. 58-63. 

  11. Baek, S. K., An, H. J., and Lim, S. K., 2007, Development of ground heat exchangers installed in building foundation, Proceedings of the SAREK, pp. 277-282. 

  12. Sohn, B. and Choi, J. M., 2012, Performance prediction of geothermal heat pump(GHP) system with energy pile using simulation approach,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4, No. 2, pp. 155-163. 

  13. Hwang, J. S. and Kim, K. S., 2012,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of a office building using DOE-2 simulation program, Proceedings of the KIAEBS 2009 Autumn Annual Conference, pp. 238-243. 

  14. Pahud, D., Fromentin, A., and Hadorn, J. C., 1996, The duct ground heat storage model (DST) for TRNSYS used for the simulation of heat exchanger piles-user manual, 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in Lausanne, pp. 1-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