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구경 현장타설 에너지파일의 열교환 성능과 시공성 및 경제성 분석
Evaluation on Thermal Performance Along with Constructa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of Large-diameter Cast-in-place Energy Pile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31 no.5, 2015년, pp.5 - 21  

박상우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성치훈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이동섭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정경식 ((주)에스텍컨설팅 그룹) ,  최항석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에너지파일이란 새로운 형식의 지중열교환기로서, 건물의 기초 구조물인 말뚝 내부에 열교환 파이프를 삽입하고 파이프 내부로 유체를 순환시켜 지반과 말뚝 매질사이의 열교환을 유도한다. 에너지파일은 기존의 기초 구조물을 활용하여, 구조물의 지지 기능과 지중열교환기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에너지 구조체이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파일의 실증연구를 위하여 총 6가지 형태의 열교환 파이프가 삽입된 실규모 현장타설 에너지파일을 시험 시공하였다. 열교환 파이프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별 성능 및 시공성 비교를 위해 병렬 U형 3본(5쌍, 8쌍, 10쌍), 코일형 2본(피치간격 200mm와 500mm), S형 1본으로 선정하였다. 총 6가지 형태의 열교환 파이프를 시공하면서 시공 소요시간, 인력 소요, 필요 부대시설, 특이사항 등을 정리하여 각 형태별 시공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시공된 현장타설 에너지파일에 대한 열교환 성능 평가시험을 수행하였다. 열교환 성능 평가시험은 실제 상업 건물의 냉방 부하를 모사하기 위하여 8시간 가동 16시간 휴지의 간헐적 가동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열교환 성능 평가시험 결과를 통하여 각 현장타설 에너지파일의 열교환량을 산정하였으며, 이를 에너지파일 근입 깊이 및 열교환 파이프 길이로 정규화하여 각 형태별 열교환 효율을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장타설 에너지파일의 경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각 형태별 에너지파일의 시공비와 에너지파일 단위 길이 당 열교환 성능을 통해 1W/m 당 소요 비용을 산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energy pile is a novel type of ground heat exchangers (GHEX's) which sets up heat exchange pipes inside a pile foundation, and allows to circulate a working fluid through the pipe for exchanging thermal energy with the surrounding ground stratum. Using existing foundation structure, the energy p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중열교환기로는 일반적으로 수직밀폐형 지중열교환기가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수직밀폐형 지중열교환기의 경우에는 시공을 위한 별도의 부지 필요 및 별도의 시공비 확보 등의 문제가 있어 지열 열펌프 시스템의 보급과 활성화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직밀폐형 지중열교환기의 응용 기술로서 에너지파일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에너지파일이란, 기초 구조물로 이용되는 콘크리트 또는 강관 말뚝 내부에 열교환 파이프를 설치하고 파이프 내부에 유체를 순환시켜 지중과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구조물로서, 구조물의 지지 기능 뿐 아니라 열교환기로서의 역할로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Gao et al.
  • 그러나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다른 일반적인 지중열교환기와는 달리 에너지파일은 기존에 시공되는 말뚝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천공비용이나 그라우트 비용이 소모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열교환 파이프의 재료비와 시공 시 투입되는 작업인원에 대한 인건비를 고려하여 열교환 파이프 형태별 에너지파일의 시공비용을 산정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최근 건축 구조물에 활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현장타설말뚝 내부에 열교환 파이프를 다양한 형태로 설치한 실규모 현장타설 에너지파일 시스템을 시험시공하고 시공법에 따른 시공성을 평가하였다. 현장타설 에너지파일은 열교환 파이프의 형상에 따라 병렬 U형 3본(병렬 U형 5쌍, 8쌍, 10쌍), 코일형 2본(피치간격 200mm, 500mm), S형 1본 등 총 6본을 시공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현장타설말뚝을 지중 열교환 시스템으로 활용하는 현장타설 에너지파일에 대한 실증 연구를 위하여 총 6본의 현장타설 에너지파일을 시험시공하였으며, 현장타설 에너지파일에 대한 시공성을 평가하였다. 현장타설 에너지파일은 열교환 파이프의 형상에 따라 병렬 U형 3본(5쌍, 8쌍, 10쌍), S형 1본, 코일형 2본 (피치 500mm, 200mm)을 시공하였다.
  • 직접이용 방법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기술은 지열 열펌프 시스템(ground source heat pump system, GSHP system)이다. 이 기술은 열펌프와 지중에 설치된 지중열교환기(ground heat exchanger)를 이용하여 냉방 시에는 건물 내의 열을 지중으로 방출하고, 난방 시에는 지중의 열을 실내와 온수에 공급함으로써 냉난방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다. 미국 환경청(US EPA, 1993)은 현재까지 개발된 냉난방 시스템 중 지열 열펌프 시스템이 가장 효율이 높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너지파일은 무엇인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직밀폐형 지중열교환기의 응용 기술로서 에너지파일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에너지파일이란, 기초 구조물로 이용되는 콘크리트 또는 강관 말뚝 내부에 열교환 파이프를 설치하고 파이프 내부에 유체를 순환시켜 지중과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구조물로서, 구조물의 지지 기능 뿐 아니라 열교환기로서의 역할로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Gao et al., 2008; Jun et al.
에너지파일의 장점은? , 2009). 에너지파일은 기존의 기초 구조물을 활용하므로 지중열교환기의 시공을 위한 별도의 부지 확보가 필요 없으며, 수직밀폐형 지중 열교환기 전체 시공비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열 열펌프 시스템은 무엇인가? 직접이용 방법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기술은 지열 열펌프 시스템(ground source heat pump system, GSHP system)이다. 이 기술은 열펌프와 지중에 설치된 지중열교환기(ground heat exchanger)를 이용하여 냉방 시에는 건물 내의 열을 지중으로 방출하고, 난방 시에는 지중의 열을 실내와 온수에 공급함으로써 냉난방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다. 미국 환경청(US EPA, 1993)은 현재까지 개발된 냉난방 시스템 중 지열 열펌프 시스템이 가장 효율이 높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aek, S-K (2004), "Study on Ground-coupled Heat Pump System Using Hollow Piles", Ph.D. Thesis, Busan University, Korea. 

  2. Bourne-Webb, P. J., Amatya, B., Soga, K., Amis, T., Davidson, C., and Payne, P. (2009), Energy pile test at Lambeth College, London: geotechnical and thermodynamic aspects of pile response to heat cycles, Geotechniques, Vol.59, No.3, pp.237-248. 

  3. Brandl, H. (2006), Energy foundation and other thermo-active ground structures, Geotechniques, Vol.56, No.2, pp.81-122. 

  4. EPA. (1993), Space Conditioning: The Next Frontier, Office of Air and Radiation. 430-R-93-0044 (4/93), US Energy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5. Gao, J., Zhang, X., Liu, J., Li, K., and Yang, J. (2008), Numerical and experimental assessment of thermal performance of vertical energy piles, An application, Applied Energy, Vol.85, pp.901-910. 

  6. Hamada, Y., Saitoh, H., Nakamura, M., Kubota, H., and Ochifuji, K. (2007), Field performance of an energy pile system for space heating, Energy and Building, Vol.39, pp.517-524. 

  7. Jun, L., Zhang, X., Gao, J., and Yang, J. (2009), Evaluation of heat exchange rate of GHW in geothermal heat pump system, Renewable Energy, Vol.34, pp.2898-2904. 

  8. Laloui, L., Moreni, M., and Vulliet, L. (2003), Behavior of a dualpurpose pile as foundation and heat exchanger,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40, No.2, pp.388-402. 

  9. Laloui, L., Nuth, M., and Vulliet, L. (2006), Experimental and numerical investigations of the behavior of a heat exchanger pile, International Journal for Numerical and Analytical Methods in Geomechanics, Vol.30, pp.763-781. 

  10. Lee, S. J., Min, H. S., Song, J. Y., and Jeong, S. S. (2010), Thermal influential factors of energy pil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30, No.6C, pp.231-239. 

  11. Li, X., Chen, Y., Chen, Z., and Zhao, J. (2006), Thermal performances of different types of underground heat exchangers, Energy and Building, Vol.38, pp.543-547. 

  12. Nam, Y., Hwang, S., and Ooka, R. (2007), Geothermal heat pump system using foundation pile structure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Geothermal Energy Engineers, Vol.3, No.1, pp.51-60. 

  13. Pahud, D. and Hubbuck, M. (2007), Measured thermal performances of the energy pile system of the duck midfield as Zurick Airport, Proceedings European Geothermal Congress 2007; Unterhaching, Germany, 30 May-1 June. 

  14. Park, S., Sohn, J. R., Park, Y. B., Ryu, H. K., and Choi, H. (2013), Study on thermal behavior and design method for coil-type PHC energy pile, Journal of Korea Geotechnical Society, Vol.29, No.8, pp.37-51. 

  15. Park, Y. B., Park, J. B., and Lim, H. S. (2007), Construction method of ground heat exchanger using energy pile in ground source heat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55, No.7, pp.41-46. 

  16. Wood, C. J., Liu, H., and Riffat, S. B. (2009), Use of energy piles in a residential building, and effects on ground temperature and heat pump efficiency, Geotechniques, Vol.59, No.3, pp.287-290. 

  17. Yu, H. K. (2008), Development & performance evaluation of ground heat exchanger utilizing PHC pile foundation of building,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28, No.5, pp.56-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