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지홍수 심도예측을 위한 새로운 홍수지수의 개발
Development of a New Flood Index for Local Flood Severity Prediction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6 no.1, 2013년, pp.47 - 58  

조덕준 (동서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  손인욱 (영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최현일 (영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들어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 양상에 따라 짧은 시간에 큰 유출양상을 보이는 국지적 돌발성 홍수의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로 인한 인명 및 재산의 피해가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소규모 지역의 집중된 강우로 발생하는 국지적 돌발성 홍수는 빠른 수문반응으로 인하여 홍수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예 경보 시간이 부족한 것이 특징이다. 국지 홍수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한계유량을 초과하여 제내지의 피해발생 가능성이 있는 홍수사상에 대한 심도예측이 중요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소규모 유역에서 발생하는 홍수사상의 심각성 정도를 정량화할 수 있는 새로운 홍수지수(New Flood Index)를 개발하고 새로운 홍수지수와 강우특성과의 회귀분석을 통하여 국지 돌발홍수예측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2개의 시범유역들에 대한 홍수유출수문곡선은 장기간 관측된 연최대치계열 실측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강우-유출 모형을 통하여 산정하였다. 새로운 홍수지수 NFI는 2년 빈도 홍수량으로 가정된 한계유량을 초과하는 홍수사상에 대하여, 첨두홍수량비, 상승부경사, 초과홍수지속시간 등 홍수 유출수문곡선의 특성을 이용한 3가지 상대심도계수의 기하학적 평균값으로산정하였다. 분석결과 3시간최대강우가 새로운 홍수지수NFI와 가장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새로운 홍수지수와 강우특성과의 회귀분석을 통해 얻어진 최적 관계식은 소규모 미계측 유역에서의 국지적 홍수 심도예측을 위한 예비정보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an increase in the occurrence of sudden local flooding of great volume and short duration due to global climate changes has occasioned the significant danger and loss of life and property in Korea as well as most parts of the world. Such a local flood that usually occurs as the result of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하천 유역의 경우는 하천의 주요지점에 수위계를 설치하여 수위-유량관계로부터 유출수문곡선을 계산하고 있으며 돌발홍수에 관한 연구도 선행된 바 있다(Kim and Kim, 2008). 그러나 미계측 소유역에서 발생하는 국지적홍수특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기에 본 논문에서는 미계측 소유역을 대상으로 발생하는 국지홍수의 심도 를 정량화할 수 있는 새로운 홍수지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미계측 소유역의 경우 홍수지수를 산정하기 위해 필요한 실측된 유출수문곡선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실측 강우자료를 바탕으로 강우-유출모형을 사용하여 유출수문곡선을 모의하여야 하므로, 유역과 근접한 곳에 자료의 결측기간이 비교적 적으며 최소 30개년 이상의 실측 강우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강우관측소가 위치한 유역을 시범유역으로 선정하였다.
  • 국내 대부분의 소유역들은 실측 유량자료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홍수의 예측 및 대비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Bhaskar et al. (2000)의 돌발 홍수지수 산정방법을 개선하여, 실측된 유량 대신 장기실측 강우사상으로 모의된 홍수유출수문곡선의 특성을 정량화하여 미계측 소유역에서 발생홍수의 심도를 예측하는 새로운 홍수지수 NFI를 산정방안을 제시하였다.
  •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소유역은 실측된 유출량자료가 없는 미계측 지역이므로 단위첨두유량 산정에 어려움이 있고, 유역의 토양수분상태를 모의하기에는 자료가 부족하며, 과정이 번거롭고 동일 대상유역에 대한 한계유출량도 계산하는 각각의 방법에 따라 큰 오차를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돌발홍수능 산정 시스템에 비해 소규모 유역의 국지적 돌발성 홍수의 심각성을 정량화하기에 적합하며 산정과정이 비교적 간편한 유출수문곡선을 이용한 돌발홍수지수 산정방법을 바탕으로 새로운 홍수지수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장기간 시강우 측정자료를 보유한 강우관측소가주변에 위치한 2개의 미계측소유역인 옥곡천과 칠성천 유역을 시범유역으로 선정하고, 과거 37개년(1973~2009)의 실측 강우량을 바탕으로 유출수문곡선을 산정한 후, 홍수량의 빈도해석을 통해 산정한 한계유량(threshold discharge)을 초과하여 제내지의 피해발생 가능성이 있는 국지적 홍수사상들의 심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 , 2012).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홍수반응시간 T를 대신하여 한계유량을 초과하는 홍수의 지속시간인 초과홍수 지속시간 D를 제시하여 새로운 심도계수로 선정하고자 하였다. Eq.
  • 이를 위하여 장기간 시강우 측정자료를 보유한 강우관측소가주변에 위치한 2개의 미계측소유역인 옥곡천과 칠성천 유역을 시범유역으로 선정하고, 과거 37개년(1973~2009)의 실측 강우량을 바탕으로 유출수문곡선을 산정한 후, 홍수량의 빈도해석을 통해 산정한 한계유량(threshold discharge)을 초과하여 제내지의 피해발생 가능성이 있는 국지적 홍수사상들의 심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한계유량을 초과하는 연최대치계열 유출수문곡선에 대하여 산정한 새로운 홍수지수와 강우특성과의 회귀분석을 통해 유역별 최적 강우-홍수지수 회귀관계식을 제시하여, 짧은 지속시간과 집중적인 강우에 의해 발생하는 빠른 수문반응으로 인해 홍수피해를 대비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한 소유역에서 예측된 강우로부터 쉽고 신속하게 국지성 홍수를 예측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Bhaskar et al. (2000)의 돌발홍수지수 산정방법을 참고하여, 2.4절에서 정의한 한계유량을 초과하여 발생하는 홍수사상에 대한 새로운 홍수지수(New Flood Index; NFI)를 산정함으로써 제내지의 침수피해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홍수사상에 대한 심도를 정량화하고자 하였다. Bhaskar et al.
  • 본 논문에서는 집중호우 발생시 제내지의 피해발생 가능성이 있는 홍수사상의 선별을 위해 한계유량(threshold discharge)을 Henderson (1961)이 제시한 초기 홍수를 유발하는 조건인 강턱유량(bankfull discharge)의 개념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강턱유량보다 큰 홍수량은 제내지보다 높은 홍수위를 형성하여 제내지에 침수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 본 논문에서는 한계유량을 초과하여 발생했던 과거의 홍수사상에 대하여 산정된 새로운 홍수지수 NFI와 1∼6시간동안 각각의 지속시간별 최대 강우량과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각 시범유역별 강우특성과 홍수특성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각 시범유역을 대표할 수 있는 홍수지수-강우 회귀관계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006)이 2년 빈도의 유량을 강턱유량으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년 빈도 홍수유량을 강턱유량으로 가정하고 이를 제내지의 피해발생 가능성이 있는 한계유량으로 결정하였다. 각 시범유역별 37개년(1973~2009)의 실측 강우사상으로부터 모의된 연최대치계열홍수량의 빈도분석을 통하여 2년 빈도 홍수량을 산정한 결과, 옥곡천은 85m3/sec, 칠성천은 120m3/sec이 각각 한계유량으로 결정되었다.
  • 여기서 α, β, γ는 3개 상대심도계수에 대한 가중계수로서,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가중치로 가정하여 1/3로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돌발성 국지홍수를 발생시키는 중요 요소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강우의 집중화 현상에 따라 발생하는 국지적 홍수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돌발성 국지홍수를 발생시키는 중요 요소인 강우의 집중화 현상은 더 이상 기상이변이 아닌 기상특성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돌발홍수능 시스템의 장점은? 돌발홍수능 시스템은 유역의 토양수분 상태를 고려하며 지점별, 소유역별 한계유출량을 산정할 수 있고 최근의 지역적 상황을 고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소유역은 실측된 유출량자료가 없는 미계측 지역이므로 단위첨두유량 산정에 어려움이 있고, 유역의 토양수분상태를 모의하기에는 자료가 부족하며, 과정이 번거롭고 동일 대상유역에 대한 한계유출량도 계산하는 각각의 방법에 따라 큰 오차를 보인다.
돌발홍수능 시스템의 단점은? 돌발홍수능 시스템은 유역의 토양수분 상태를 고려하며 지점별, 소유역별 한계유출량을 산정할 수 있고 최근의 지역적 상황을 고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소유역은 실측된 유출량자료가 없는 미계측 지역이므로 단위첨두유량 산정에 어려움이 있고, 유역의 토양수분상태를 모의하기에는 자료가 부족하며, 과정이 번거롭고 동일 대상유역에 대한 한계유출량도 계산하는 각각의 방법에 따라 큰 오차를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돌발홍수능 산정 시스템에 비해 소규모 유역의 국지적 돌발성 홍수의 심각성을 정량화하기에 적합하며 산정과정이 비교적 간편한 유출수문곡선을 이용한 돌발홍수지수 산정방법을 바탕으로 새로운 홍수지수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e, D.H., and Kim, J.H. (2007). "Development of Korea flash flood guidance system: (II) Component development and system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27, No. 3B, pp. 245- 254. 

  2. Bhaskar, N.R., French, B.M., and Kyiamah, G.K. (2000). "Characterization of flash floods in Eastern Kentucky."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ASCE, Vol. 5, No. 3, pp. 327-331. 

  3. Carpenter, T.M., Sperfslage, J.A., Georgakakos, K.P., Sweeney, T.L., and Fread, D.L. (1999). "National threshold runoff estimation utilizing GIS in support of operational flash flood warning systems." Journal of Hydrology, Vol. 224, pp. 21-44. 

  4. Carpenter, T.M., and Georgakakos, K.P. (1993). "GIS-based procedures in support of flash flood guidance." Iowa Institute of Hydraulic Research Report, No. 366, Iowa City, IA, USA. 

  5. Choi, H., and Lee, S.J. (2006). "Verification about threshold discharge computation using GIUH on ungauged small basi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4, No. 1, pp. 15-27. 

  6. Dury, G.H. (1961). "Bankfull discharge: an example of its statistical relationships."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cientific Hydrology Bulletin, Vol. 6, No. 3, pp. 48-55. 

  7. Gyeonsangbuk Province. (2004). "The basic plan report for the Chil-seong River maintenance works." 

  8. Gyeonsangbuk Province. (2009). "The basic plan report for the Oc-gok River maintenance works." 

  9. Henderson, F.M. (1961). "Stability of alluvial channels." Journal of Hydraulics Division-ASCE, Vol. 87, pp. 109-138. 

  10. Hey, R.D. (1994). "Restoration of gravel-bed rivers: Principles and practice." Natural Channel Design: Perspectives and Practice, Canadi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ambridge, Ont., pp. 157-173. 

  11. Im, C.S., Lee, J.H., Kim, T.H., Lee, J.C., and Yoon, S.E. (2006). "A dominant discharge estimate for channel characteristics quantity survey." Proceedings 2006 Annual Conference, KWRA, pp. 66-71. 

  12. Jung, J.C. (2000). "The study on estimation of the flash flood index for the Bo-chunRiverbasin." MS. Thesis, Suwon University, Korea. 

  13. Kim, B.S., and Kim, H.S., (2008). "Estimation of the Flash Flood Severity using Runoff Hydrograph and Flash Flood Index." Journal of the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1, No. 2, pp. 185-196. 

  14. Kim, B.S., Hong, J.B., Kim, H.S., and Yoon, S.Y. (2007). "Development of flash flood model using digital terrain analysis model and rainfall RADAR: I. Methodology and model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27, No. 2B, pp. 151-159. 

  15. Kim, E.S., Choi, H.I., and Jee, H.K. (2010). "Estimation of the flash flood index by the probable rainfall data for ungauged catch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Hazard Mitigation, Vol. 10, No. 4, pp. 81-88. 

  16. Kim, E.S., Choi, H.I., Lee, D.E., and Kang, D.J. (2009). "Estimation of the flash flood severity using flash flood ind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9, No. 6, pp. 125-131. 

  17. Kim, E.S., Jang, H.Y., Kim, S.D., Park, M.S., and Choi, H.I. (2012). "Analysis of rainfall-flood severity relations in small ungauged catch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2, No. 2, pp. 199-208. 

  18. Kim, W.T., Bae, D.H., and Cho, C.H. (2002). "Threshold runoff computation for flash flood forecast on small catchment scale." Journal of the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5, No. 5, pp. 553-561. 

  19. Kim, W.T., Kim, J.H., and Bae, D.H. (2000). "Assesment on hydrologic threshold runoff." Proceedings 2000 Annual Conference, KWRA, pp. 739-742. 

  20. Lee, H.C., and Lee, E.T. (2003). "A study on the channel forming discharge estimation and the hydraulic geometry characteristics of the alluvial stream." Journal of the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6, No. 5, pp. 823-838. 

  21. Leopold, L.B. (1994). A view of the river.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 USA. 

  22. NDMI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1998). "Investigation on damage from heavy rains around Jiri Mountain." NDIP-98-01. 

  23. NEMA(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07). Annual report on disasters. 

  24. NEMA(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0). Annual report on disasters. 

  25. Riley, A.L. (1998). Restoring streams in cities : a guide for planners, policy makers and citizens. Island press, Wachington, D.C., USA. 

  26. Sweeney, T.L. (1992). Modernized Areal Flash Flood Guidanc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Technical Report, National Weather Service, HYDRO 44. USA. 

  27. USACE(2000). HydrographModeling System. Technical Reference Manual.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 Davis, CA, USA. 

  28. Wi, S.W., Chung, G.H., and Kim, T.W. (2008).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flood index through standardizing distributions of runoff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1, No. 6, pp. 605-617. 

  29. Williams, G.P. (1978). "Bankfull discharge of river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4, No. 6, pp. 1141-115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