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국 단위 홍수위험도 평가를 위한 지수 개발과 미래 전망
Development of index for flood risk assessment on national scale and future outlook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3 no.5, 2020년, pp.323 - 336  

김대호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김영오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지희원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강태호 (서울대학교 건설환경종합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로 인하여 한국의 연 강수량은 20세기부터 증가해 왔으며 미래에도 계속 증가할 것이라 전망되고 있다. 이와 함께 홍수 발생 가능성이 동반 상승하고 있기에 합리적인 홍수위험도 평가에 기반한 국가 단위 적응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전국의 홍수위험도를 일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체계를 정의하고 홍수위험지수(Flood Risk Index, FRI)를 산정했다. IPCC AR5의 개념을 참고하여 위험도를 위해, 노출, 대응능력의 조합으로 평가하는 체계를 확립하였다. FRI는 자료 기반으로 산출되었으며, 요소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설명력 향상을 도모하였다. FRI와 피해자료간 스피어만(Spearman) 상관성 분석을 한 결과 적절한 수준으로 잠재적인 홍수피해 크기를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미래 홍수위험도 평가를 위해 HadGEM3-RA 기반의 RCP 4.5, 8.5 시나리오를 투영했을 때 21세기 초, 중반에는 약화되었다가 21세기 말엔 현재보다 높은 위험도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wing to climate change, the annual precipitation in Korea has increased since the 20th century, and it is projected to continue increasing in the future. This trend of increasing precipitation will raise the possibility of floods; henc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national adaptation plans for fl...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6). 따라서 국가기관에서 검증한 자료를 중심으로 수집해 사용하고자 한다. 노출과 대응능력에 해당하는 자료는 일반적으로 행정구역 단위로 제공되므로 티센가중치법을 활용해 중권역단위 자료로 변환하고, 요소들의 단위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무차원화를 거쳐 요소들을 하나의 함수에서 다룰 수 있도록 가공하는 과정을 거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피해액 자료를 활용하여 요소별 가중치를 부여하하고자 하였다.
  • 이에 속한 요소들은 대표적으로 수계빈도, 녹지 면적, 댐 용량과 치수사업투자비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대응능력 중 조치능력은 단어 그대로 응급상황 발생 시 조치를 위한 가용 장비와 인원을 통해서 평가하고자 했다. 가중치 보정과 검증에 필요한 홍수 피해액자료는 최근 10년인 2007~2016년간의 기록을 사용했다.
  •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사용해 가중치를 부여하는 등 (Joo et al., 2018) 진보된 가중치 부여 방법이 존재하나, 본 연구는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홍수위험도 평가 체계를 구축하고 절차를 확립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므로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객관적일 수 있는 홍수피해액과의 상관성분석을 이용한 방법을 고안했다. 우선 각 요소와 홍수피해액과의 Pearson 상관계수 r를 산출한다.
  • 본 연구에서는 AR5(IPCC, 2014)를 참고하여 위험도(risk)와 세부 지표(indicator)인 위해(hazard, H), 노출(exposure, E), 대응능력(capacity, C) 대한 정의와 체계를 확립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FRI (Flood Risk Index)를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홍수위험도란 예상되는 홍수의 크기로 인해 발생 가능한 잠재적인 피해이며, FRI는 이를 수치화한 것으로 다음Eq.
  • 이에 본 연구는 국가 단위에서 보다 합리적으로 홍수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홍수위험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즉, 현재 뿐 아니라 미래도 장기적으로 바라보며 기후변화 적응에 부합할 수 있도록 IPCC AR5에서 제시한 방법론을 기반으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 국제적으로도 IPCC (2014)에서 제시한 위험도 개념을 차용해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의 위험도를 평가하고 있지만 평가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한 자료가 미흡하며, 국내에서는 국지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까닭에 각 지역마다 기준이 상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국의 홍수위험도를 일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체계를 제시하고 타당성 확보를 위한 검증을 완료하여 국가 단위 적응 대책 수립 시 참고할 수 있도록 FRI를 산정했다.
  • 이에 본 연구는 국가 단위에서 보다 합리적으로 홍수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홍수위험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즉, 현재 뿐 아니라 미래도 장기적으로 바라보며 기후변화 적응에 부합할 수 있도록 IPCC AR5에서 제시한 방법론을 기반으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홍수위험지수(Flood Risk Index, FRI)를 산정해 홍수위험도 평가 결과를 수치적으로 나타내었고, 실제 홍수피해자료와 비교하여 설명력을 검증했다.

가설 설정

  • 이는 하나의 시나리오만을 활용한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추후 연구로써 다양한 기후 시나리오를 투영해 미래를 전망한다면 미래 홍수위험도 변화 추이에 관한 더 깊은 분석과 고찰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미래 전망 연구에서 요소 가중치는 동일하게 부여되기도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노출, 대응능력 지표가 미래에도 현재와 같고 세 지표의 영향들 또한 같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가중치를 부여했다. 더 나아가, 노출과 대응능력도 미래 시나리오로 투영해 미래 위험도를 평가하는 방법도 생각해볼 수 있지만, 이미 기후변화 시나리오로 인한 불확실성이 매우 큰 상황에서 또 다른 불확실성을 더해주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FRI 산정 전 강수량 빈도분석과 무차원화 등의 전처리 후 요소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세 지표와 FRI를 산정했으며, 결과분석 및 검증과 미래 홍수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미래 홍수위험도 평가는 노출과 대응능력, 그리고 각 요소의 중요도는 현재와 같다는 가정 하에, 즉 최근 시점의 홍수위험도에 맞게 보정된 가중치로 미래의 홍수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우리나라는 지형 등의 영향으로 기후의 지역적 차이가 큰 편으로써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의 상세화가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lica, S.F., Douben, N., and Wright, N.G. (2009). "Flood vulnerability indices at varying spatial scales."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60, No. 10, pp. 2571-2580. 

  2. Balica, S.F., Popescu, I., Beevers, L., and Wright, N.G. (2013). "Parametric and physically based modelling techniques for flood risk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A comparison." Environmental modelling and software, Vol. 41, pp. 84-92. 

  3. Birkmann, J. (2007). "Risk and vulnerability indicators at different scales: Applicability, usefulness and policy implications." Environmental hazards, Vol. 7, No. 1, pp. 20-31. 

  4. Birkmann, J. (2011). "First-and second-order adaptation to natural hazards and extreme events 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 Natural Hazards, Vol. 58, No. 2, pp. 811-840. 

  5. Brooks, N. (2003). "Vulnerability, risk and adaptation: A conceptual framework." Tyndall Centre for Climate Change Research Working Paper, Vol. 38, No. 38, pp. 1-16. 

  6. Ghafouri-Azar, M., and Bae, D.-H. (2018). "Streamflow response to climate change during the wet and dry season in South Korea under a CMIP5 climate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1, No. S-1, pp. 1091-1103. 

  7. Huang, B., Polanski, S., and Cubasch, U. (2015). "Assessment of precipitation climatology in an ensemble of CORDEX-East Asia regional climate simulations." Climate Research, Vol. 64, pp. 141-158. 

  8. 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07). IPCC fourth assessment report: WG2. Geneva, pp. 23-78. 

  9. 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14), IPCC fifth assessment report: WG2. Geneva, pp. 37-94. 

  10. Jang, O.J., and Kim, Y.-O. (2009). "Flood risk estimation using regional regression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9 No. 4, pp. 71-80. 

  11. Jeung, S., Park, J., Yang, J., and Kim, B. (2019). "The future of extreme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using national standard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the ETCCDI index."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9, No. 7, pp. 105-115. 

  12. Joo, H., Hong, S., Kim, K., Kim, S., and Kim, H.S. (2018). "Integrated index for flood risk assessment development using Bayesian networ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8, No. 6, pp. 269-281. 

  13. Jung, S.W., Lee, D.H., Moon, Y.J., and Kim, K.H. (2001). "Potential flood damage (PFD) assessment."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pp. 601-606. 

  14. Kang, J.E., and Lee, M.J. (2012).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using fuzzy model and GI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5, No. 3, pp. 119-136. 

  15. Kim, D., Choi, C., Kim, J., Lee, J., Bae, Y., and Kim, H., S. (2018). "Analysis of heavy rain damage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8, No. 4, pp. 311-320. 

  16. Kim, D.K., Kim, Y.S., Hong, S.J., Ly, S., Jung, Y., and Kim, H.S. (2013). "The ETCCDI and frequency analysis using RCP scenarios."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ol. 15, No. 4, pp. 595-607. 

  17. Kim, J., Park, M., and Joo, J. (2015).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istribution tendency of daily precipitation based on the regional climate models for Korean Peninsul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5, No. 4, pp. 59-70. 

  18. Kim, J.H., and Kim, Y.-O. (2003). "Improving potential flood damage."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pp. 2373-2378. 

  19. Kim, K., Lee, J., Keum, J., Park, M., and Kim, S. (2018). "Uncertainty of future intensity-duration-frequency curves using multi-regional climate mode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8, No. 6, pp. 405-416. 

  20. Kim, M., and Kim, G. (2018). "Analysis of the applicability of flood risk indices according to flood damage typ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8, No. 1, pp. 29-39. 

  21. Kim, Y., Lee, B., and Kim, T. (2019). "Development of a Typhoon Risk Index (TRI) based on records of typhoon damag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9, No. 7, pp. 501-509. 

  22. Lee, J.J., Lee, J.S., Kim, B.I., and Park, J.Y. (2000). "Derivation of probable rainfall formula of individual zone based on the representative probability distribu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3, No. S1, pp. 124-129. 

  23. Lim, K.S., Choi, S.J., Lee, D.R., and Moon, J.W. (2010). "Development of flood risk index using causal relationships of flood indicat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0, No. 1B, pp. 61-70. 

  24.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4). Korean climate change assessment report 2014. Korea, pp. 4-31. 

  2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06). Estimation of potential urban flood risk and damage (II). Korea, pp. 2-33. 

  2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6). Water Vison 2020 3rd edition. Korea, pp. 83-89. 

  27.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MOIS) (2017). 2017 Statistical yearbook of natural disaster. Korea, pp. 1-133. 

  28.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1993). Core set of indicators for environmental performance reviews: A synthesis report by the group on the state of the environment. environment monographs, Vol. 83.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aris, pp. 1-39. 

  29. Oh, S.-G., Suh, M.-S., Lee, Y.-S., Ahn, J.-B., Cha, D.-H., Lee, D.-K., Hong, S.-Y., Min, S.-K., Park, S.-C., and Kang, H.-S. (2016). "Projections of high resolution climate changes for South Korea using multiple-regional climate models based on four RCP scenarios. Part 2: Precipitation."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Vol. 52, No. 2, pp. 171-189. 

  30. Rovai, A.P., Baker, J.D., and Ponton, M.K. (2013). Social science research design and statistics: A practitioner's guide to research methods and IBM SPSS. Watertree Press LLC, Chesapeake, V.A, U.S., pp. 375-378. 

  31. Sim, K.B., Lee, O., Kim, S., and Kim, E.S. (2015). "1-day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in accordance with AR5 RCP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5, No. 4, pp. 273-280. 

  32. Son, M.W., Sung, J.Y., Chung, E.S., and Jun, K.S. (2011). "Development of flood vulnerability index considering climate change."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4, No. 3, pp. 231-248. 

  33. Sorg, L., Medina, N., Feldmeyer, D., Sanchez, A., Vojinovic, Z., Birkmann, J., and Marchese, A. (2018). "Capturing the multifaceted phenomena of socioeconomic vulnerability." Natural Hazards, Vol. 92, No. 1, pp. 257-282. 

  34. Tsakiris, G. (2007). "Practical application of risk and hazard concepts in proactive planning." European Water, Vol. 19, No. 20, pp. 47-56. 

  35. Tsakiris, G. (2014). "Flood risk assessment: Concepts, modelling, applications." Natural Hazards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14, No. 5, pp. 1361-1369. 

  36. Turner, B.L., Kasperson, R.E., Matson, P.A., McCarthy, J.J., Corell, R.W., Christensen, L., Eckley, N., Kasperson, J.X., Luers, A., Martello, M.L., Polsky, C., Pulsipher, A., and Schiller, A. (2003). "A framework for vulnerability analysis in sustainability scienc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 100, No. 14, pp. 8074-8079. 

  37. Vojinovic, Z., Hammond, M., Golub, D., Hirunsalee, S., Weesakul, S., Meesuk, V., Medina, N., Sanchez, A., Kumara, S., and Abbott, M. (2016). "Holistic approach to flood risk assessment in areas with cultural heritage: A practical application in Ayutthaya, Thailand." Natural Hazards, Vol. 81, No. 1, pp. 589-616. 

  38. Welle, T., and Birkmann, J. (2015). "The world risk index-an approach to assess risk and vulnerability on a global scale." Journal of Extreme Events, Vol. 2, No. 1, 1550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