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교사의 교실환경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Classroom Environments 원문보기

교육시설 :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v.20 no.6, 2013년, pp.21 - 30  

석민철 (동의대 건축공학과) ,  신나민 (동국대 교육학과) ,  류호섭 (동의대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various aspects of physical environments of a classroom. For the purpose, a surve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982 classroom teachers(female 82.2%) working at 67 elementary schools(Seoul 55%) located in Seoul and Busan. 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사에게 현재 담임하고 있는 학급의 학생 수가 적당한 지와 적정한 학급규모에 관하여 설문하였다.
  • 5m)이였다. 담임교사들에게 이 교실 크기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설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교실의 학급규모와 교실의 면적 및 평면 구성과 관련한 물리적 환경에 대한 교사들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 이러한 배경 및 문제의식에 따라,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의 학급교실 환경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함이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세부적으로는 ① 교사들의 학급교실의 학급규모와 교실의 크기에 대한 인식이 차이, 그리고 학급교실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② 교사의 근무 지역, 경력, 성별에 따라 ③ 담당 학년이나 학급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알고자 함이 목적이다.
  • 이상으로 교사들의 교실의 환경, 특히 물리적 환경에 대한 미국이나 일본, 그리고 국내의 선행 연구들의 주제와 연구방법, 연구 결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가구 및 수납의 항목 중에서는 교재 수납공간과 교사의 사물함 크기가 작다고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학교 교실의 벽면 구성에 관한 교사의 인식 및 운영 실태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성별, 경력, 지역, 학년에 따른 의미 있는 차는 나타나지 않음을 보고한 연구에서 지적한 문제점은 무엇인가? 초등학교 교실의 벽면 구성에 관한 교사의 인식 및 운영 실태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성별, 경력, 지역, 학년에 따른 의미 있는 차는 나타나지 않음을 보고한 연구(송수경, 2006)도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벽면구성에 대한 태도가 형식적이고 환경미화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음을 문제점으로 지적하기도 하였다.
열린 학교의 교실 환경을 대상으로 SD 법을 사용하여, 초등학교 교사와 아동의 평가를 조사한 연구에서 어떻게 조사되었는가? 열린 학교의 교실 환경을 대상으로 SD법을 사용하여, 초등학교 교사와 아동의 평가를 조사한 연구에서는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만족의 회답이 증가하였으며, 그 이유로 서는 ‘통풍이 좋다’, ‘넓다’, ‘밝다’ 의 이유를 열거하고 있다고 한다.(橋本, 2009)
교실은 어떠한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가? 교실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교실의 사용방법은 결국 학생들의 학업 성취나 생활 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실은 학교의 그 어느 공간보다도 중요하게 인식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교실은 여러 교수·학습방법이 적용 가능한 크기와 구성을 갖추어야 하고, 교사나 학생들에게 쾌적하며, 편안한 느낌을 주어야 하고, 외부인의 위협 등에 대하여 안전해야 하며, 위생적이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Survey and analysis methods for architecture and urban-planing. Japan: Inoueshoin, 1987 

  2. Choi, Ko Un, The factors of Ideal Classroom Environments Perceived by Preservice Teachers, The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2. 6 

  3. Harmon Marcel, Larroque Andre and Maniktala Nate, Post-Occupancy Evaluation (POE) Methodologies for School Facilities : A Case Study of the V. Sue Cleveland High School Post Occupancy Evaluation, Educational Facility Planner, 46(2-3) pp.53-56, 2012 

  4. Hashimoto Kuniko, Ueno Kanako, Kurakazu Ryoko and Akamatsu Kazuko, A Study on Classroom Environment of Utase Primary School and Mihamautase Primary School,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pp.2347-2355, 2009 

  5. Japan National Institute for Educational Policy Research, Research Report on a healthy environment of classroom. Japan, pp.15-17, 2005. 04 

  6. Jeffrey Dorman, Classroom environment research : Progress and possibilities, Queensland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8(2), pp.112-140, 2002 

  7. Kurakazu Ryoko, Munakata Jun, Hashimoto Kuniko Sato Masayuki, Tanzawa Hiroyuki and Ueno Jun, A Study of Appropriate Class Size from The Teachers' Veiwpoint Evaluation of Japanese School Classrooms,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pp.73-79, 2007 

  8. Kurakazu Ryoko, Hashimoto Kuniko and Ueno Kanako, Signification of Open-Plan Learning Environment in Primary School from the Viewpoint of Teachers' Evaluation and Operation Status Over Years,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pp.1073-1081, 2011 

  9. Kawakami Go, Kunigami Kayo, Sugita Atsushi, Imakwa Takahiro, Terashima Nobuyasu and Ueno Jun, Consideration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Issues of Open- Planned Elementary School from the Viewpoint of Learning Activities and Teacher's Evaluation,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pp.397-398, 2009 

  10. Mark Schneider, Linking School Facility Conditions to Teacher Satisfaction and Success. National Clearninghouse for Educational Facilities. 2003. 08 

  11. Moos. R.H., Evaluating Educational Environments. Washington : Jossey Bass Publisher, 1979 

  12. Rieu ho seoup, User evaluation of school facilities -A case of Taean and Dacheon Highschool.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2001. 

  13. Sanoff, H.m., Community Particpation Methods in Design and Planning, pp.105-179, Wiley, 2000 

  14. Shin Na Min, A Case Study on the Efficacy and Methods of User Participatory Design in the Refurbishment of School Spa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26(4), pp.171-189, 2010 

  15. Song Soo Kyoung,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and Management of Classroom Wall Composition, Graduate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Education, 2006. 2 

  16. Suk, Min Chul and Rieu, Ho Seoup, Architectural Research About Re-organization of Elementary School Learning Spa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92(1), pp.3-14, 2013 

  17. Teachers as Placemakers, http://www.edi.msstate.edu, Site accessed January 22, 20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