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인력의 업무상손상과 질병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 of Nursing Staff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2 no.4, 2013년, pp.275 - 284  

김은아 (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건강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es of the nursing staff to reveal the prevalence of the major diseases and the predominant causes of the injuries in the nursing environment. Methods: Total 3,455 work-related compensation cases of nursing staff f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간호인력에서 직업성 손상과 질병의 특징을 파악하여 예방정책에 환류하기 위하여, 산재보상보험을 통해 보상받은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산업안전보건공단에 수집된 13년간의 산재보상보험상 업무상 손상과 질병 승인 사례 중 직무코드가 간호사나 간호조무사로 되어 있거나, 발생경위의 설명에서 간호업무에 종사한 것으로 명시되어 있는 사례 총 3,454명을 연구대상으로 추출하여 질병의 종류, 손상의 부위, 발생경위, 발생원인, 발생 시간대 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의해 보상받은 사례 중 간호인력의 사례를 연도별 추이와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분석연구이다.
  • 따라서 보건의료업종의 다수를 차지하는 간호인력의 산재보상자료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을 통해 직업안전과 보건 연구의 기초자료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2000~2012년 동안 산재보상보험 요양자료의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간호인력의 직업성 손상과 질병에 대해 전반적인 검토를 수행함으로써 직업성손상 발생유형과 질병종류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의료 분야의 근로자 형태는? 보건의료 분야의 근로자는 의사, 간호사, 약사 등 면허 의료인을 비롯하여 임상기사, 사회사업가 등 다양한 전문인 뿐 아니라 세탁과 청소를 담당하는 인력까지 다양한 근로자가 있지만, 대부분의 나라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인력은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등 간호인력이다. 보건의료분야의 인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미국의 경우(Bureau of Labor Statistics, 2013) 간호인력은 3백 만 명 이상으로 전체 보건의료분야 인력의 이들의 직업성 손상과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진행되어왔는데,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3), 2010년 기준 약 3백만 명 이상으로 성장한 간호인력은 [Institute of Occupational Medicine(IOM), 2013] 보건의료업종에서 가장 비중이 큰 직종이되었으며, 이에 따라 이 업종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직업손상과 질병을 가장 흔히 경험하게 되었다.
간호인력의 업무상질병과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제언은? 첫째, 간호인력의 성별과 연령분포에 맞는 손상과 예방 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 젊은 20대 여성이 대부분인 간호인력의 특성을 파악하여 적절한 직업성손상과 질병 예방 교육을 전파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간호인력의 직업성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결핵질환 예방 전략 수립이 필수적이다. 현재 직업성 결핵으로 진단된 사례를 널리 홍보하고, 각 기관의 구체적인 상황에 맞는 적절한 홍보 전략이 필요하다. 주사침 손상 등 혈행성 감염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반면, 공기전파 감염질환에 대해서는 적절한 예방조치나 교육이 부족한 상황에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전략수립이 필요하다. 셋째, 작업환경의 특징상, 계단에서의 헛디딤 등으로 인해 미끄러짐 사고의 비중이 높으며, 이로 인한 하지 손상의 빈도가 높으므로 작업환경의 구조적 개선과 함께 업무상 미끄러짐을 예방하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상대적으로 높은 작업장 폭력의 예방과 대책 수립을 위해서, 정확한 원인파악과 실태조사를 포함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보건의료 분야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인력은? 보건의료 분야의 근로자는 의사, 간호사, 약사 등 면허 의료인을 비롯하여 임상기사, 사회사업가 등 다양한 전문인 뿐 아니라 세탁과 청소를 담당하는 인력까지 다양한 근로자가 있지만, 대부분의 나라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인력은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등 간호인력이다. 보건의료분야의 인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미국의 경우(Bureau of Labor Statistics, 2013) 간호인력은 3백 만 명 이상으로 전체 보건의료분야 인력의 이들의 직업성 손상과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진행되어왔는데,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3), 2010년 기준 약 3백만 명 이상으로 성장한 간호인력은 [Institute of Occupational Medicine(IOM), 2013] 보건의료업종에서 가장 비중이 큰 직종이되었으며, 이에 따라 이 업종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직업손상과 질병을 가장 흔히 경험하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dmi, H., Tzischinsky, O., Epstein, R., Herer, P., & Lavie, P. (2008). Shift work in nursing: is it really a risk factor for nurses' health and patients' safety? Nursing economics, 26 (4), 250-257. 

  2. Ahn, Y.-S., & Lim, H.-S. (2003). Occupational Infectious Diseases among Korean Health Care Workers Compensated with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s from 1998 to 2004. Industrial Health, 46 (5), 448-454. 

  3. Brand, I. R. (1966). Compensation to nurse for herniated disk. Nursing Homes, 15 (6), 41. 

  4. Bureau of Labor Statistics. (2013, June 10). Occupational Employment Statistics Home Page. Occupational Employment Statistics. Retrieved June10,2013, from http://www.bls.gov/oes/ 

  5. Catlette, M. (2005). A descriptive study of the perceptions of workplace violence and safety strategies of nurses working in level I trauma centers.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31 (6), 519-525. 

  6.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13). CDC - health care workers - NIOSH workplace safety and health topic. CDC-Health Care Workers. Retrieved June 10, 2013, from http://www.cdc.gov/niosh/topics/healthcare/ 

  7. CDC. (2004). Guidelines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 healthcare facilities. MMWR, 43 (13), 1-132. 

  8. Colling, L. R., & York, T. W. (2009). Hospital and healthcare security (5th ed.). MA: Butterworth-Heinemann. 

  9. Estryn-Behar, M., Kaminski, M., Peigne, E., Maillard, M. F., Pelletier, A., Berthier, C., et al. (1990). Strenuous working conditions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female hospital workers.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62 (1), 47-57. 

  10. Fransman, W., Roeleveld, N., Peelen, S., de Kort, W., Kromhout, H., & Heederik, D. (2007). Nurses with dermal exposure to antineoplastic drugs. Epidemiology, 18 (1), 112-119. 

  11. Hayt, E. (1941). Workmen's compensation and the nurse.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41 (6), 663-669. 

  12. Hefferin, E. A., & Hill, B. J. (1976). Analyzing nursing's workrelated injuries.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76 (6), 924-927. 

  13. Hewitt, J. B., Misner, S. T., & Levin, P. F. (1993). Health hazards of nursing: Identifying workplace hazards and reducing risks. AWHONN's Clinical Issues in Perinatal and Women's Health Nursing, 4 (2), 320-327. 

  14. Institute of Occupational Medicine (IOM). (2013, June 10). The future of nursing: Leading change, advancing health - institute of medicine. The Future of Nursing: Leading Change, Advancing Health-Institute of Medicine. Retrieved June 10, 2013, from http://www.iom.edu/Reports/2010/The-Futureof-Nursing-Leading-Change-Advancing-Health.aspx 

  15. Jensen, R. C. (1987). Disabling back injuries among nursing personnel: Research needs justification.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0 (1), 29-38. 

  16. Jo, K.-W., Woo, J. H., Hong, Y., Choi, C.-M., Oh, Y.-M., Lee, S. D., et al. (2008). Incidence of tuberculosis among health care workers at a private university hospital in South Korea.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uberculosis and Lung Disease, 12 (4), 436-440. 

  17. Jun, K. J. (2009). Occupational diseases and injuries among Korean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 (2), 194-204. 

  18. Kang, J. O. (2011). Occupational infections of health care personnel in Korea. Hanyang Medical Review, 31 (3), 200-210. 

  19. Kim, E.-A. (2010). Occupational diseases of health care workers. Hanyang Medical Review, 30 (4), 265-273. 

  20. Korea Medical Association (KMA). (2008). Statistics of Health 2007. Seoul: KMA. 

  21. Kore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2012, October). Statistics of occupational accident . Retrieved September 28, 2012, from http://www.kosha.or.kr/main 

  22. KOSHA. (2012, October). Annual statistics of occupational accidents. Retrieved September 30, 2012, from http://www.kosha.or.kr/board 

  23. Lim, H. S., & Ahn, Y. S. (2003). Occupational diseases on health care workers approved by Korea labor welfare corpora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5 (2), 196-204. 

  24. Lim, H. S. (2001). Development of manual for healthcare workers of hospital. Inche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25. Nelson, A., Lloyd, J. D., Menzel, N., & Gross, C. (2003). Preventing nursing back injuries: Redesigning patient handling tasks. Official Jou 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51 (3), 126-134. 

  26. Personick, M. E. (1990). Nursing Home aides experience increases in serious injuries. Monthly Labor Review, 113, 30-37. 

  27. Porta, C., & Handelman, E. (1999). Needle stick injuries among health care workers. A literature review.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47 (6), 237-244. 

  28. Stellman, J. M. (1998). Encyclopaedia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Industries and occupations. Geneva: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29. Tan, C. C. (1991). Occupational health problems among nurses.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 Health, 17 (4), 221-230. 

  30. Waters, T. C., & Mack, M. G. (1950). Is Tuberculosis Compensable?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50 (12), 776-779. 

  31. Welch, C. E., & McPhaul, K. M. (2012). The timing and type of nursing staff occupational injury and illness incidents, Veterans Health Administration, 2002-2011: A retrospective, population-based, descriptive analysi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3 (3), 13-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