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방조직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문화와 혁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on in the Fire Fighting Organization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7 no.6, 2013년, pp.104 - 114  

박창순 (동원대학교 소방안전관리과) ,  최규출 (동원대학교 소방안전관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방조직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문화와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갖고, 소방방재청과 서울소방재난본부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소방조직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소방 조직문화의 하위요인별 집단문화, 규범문화, 합리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조직문화가 조직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집단문화, 합리문화가 조직혁신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소방조직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소방조직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혁신에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 소방조직 내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문화와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 조직 및 신세대 중심의 신사고체제를 지닌 부하직원에 대한 조직 내 리더의 활력적이며 변화 추구적인 리더십이 집단 내 규범을 바탕으로 한 합리적 문화와 발전지향적 혁신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intended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on in the fire fighting organization.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fire officers from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nd Seoul Metropolitan F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방조직 내 리더의 리더십이 조직문화와 혁신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지 소방조직 구성원의 실증조사를 통해 상호인과관계를 규명하여 그 시사점을 제안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
  • 따라서 이같은 이론적 준거를 바탕으로 조직혁신이 연구자들의 관점에 따라 그 유형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 바, 이들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조직문화 요인의 특징을 집단 문화, 규범문화, 합리적 문화의 3가지 요인을 반영하여 조직혁신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 그밖에 조직 내의 지위(계급)에 따른 조직문화 또한 공사생활 전반에 대하여 지배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급자의 행태는 최근 신세대들의 사고방식과는 동 떨어진 것으로서 이와 관련하여 소방조직 내에서 갈등관계로 표출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들 조직문화 요인의 특징을 집단문화, 규범문화, 합리적 문화의 3가지 요인으로 반영하여 조직혁신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이러한 소방조직이 갖는 특성을 고려하여 소방 조직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문화혁신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이를 채택하여 상호인과관계를 검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소방조직 내 리더의 리더십이 조직문화와 혁신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지 소방조직 구성원의 실증조사를 통해 상호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갖고 연구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를 바탕으로 하여 소방 조직혁신을 위한 바람직한 변혁적 리더십 방안을 제시해 본다.

가설 설정

  • H1 : 소방조직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문화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1 : 소방조직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은 집단문화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2 : 소방조직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은 규범문화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3 : 소방조직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은 합리문화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 조직문화는 조직혁신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1 : 집단문화는 조직혁신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2 : 규범문화는 조직혁신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3 : 합리문화는 조직혁신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 소방조직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혁신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한편 조직혁신은 개인이 문제 및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변화의 과정을 주도하는 것을 가정한다. Van de Ven(10)은 혁신을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나아가 그 실천방안을 도출하는데 투입되는 행위라고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The Seoul Economic Daily, "Fourth-year Stand-up NEMA Crisis", enter 4/3/2007 17:42. 

  2.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3 Fire Fighting Administration Data and Statistics",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3). 

  3. Chosun.com, "Public Criticism of NEMA Commissioner by Incumbent Fire Chief", enter 7/7/2011 03:02, "The Director Accuse Commissioner, NEMA's what happened ...", 13/11/2012, enter 03:02. 

  4. H. D. Kim, "A Study on Firefighting Organization's Leadership Development Plan; in the Middle Management Layer",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Science & Public Administration, Gangwon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pp. 19-20, 52-55 (2008). 

  5. J. Min, "The Organization Management", Daeyoung Press, Seoul, p. 207 (2012). 

  6. W. G. Yang others, "Well Know Organization Theory", Daewang Company, Seoul, p. 266 (2012). 

  7. Y. A. Jeong,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NEMA", Han Sung University, Ph. D. thesis, Reconstruction in p. 38. 

  8. H. S. Kim others, "Administration and Organization Behavior", Daeyoung Press, Seoul, pp. 343 (2011). 

  9. R. E. Quinn, "Beyond Rational Management: Mastering the Paradoxes and Competing Demands of High Performance", San Francisco: Jossey-Bass pp. 295-313 (1988). 

  10. A. H. Van de Ven, "Central Problems in the Management of Innovation", Management Science, Vol. 32, No. 5, pp. 590-607 (1986). 

  11. R. Rosenfeld and J. C. Serov, "Facilitating Innovation in Large Organizations", In M. A. West and J. L. Farr, Innovation and Creativity at Work, John Wiley and Sons: NY (1990). 

  12. I. O. Choi, J. H. Park and J. G. Sun,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ve Behaviors of Organizational Members", A Study of Industrial Innovation, Vol. 27, No. 3, pp. 1-33 (2011). 

  13. S. Scott and R. Bruce, "Determinant of innovative Behaviou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37, pp. 580-607 (1994). 

  14. B. M. Bass,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s", New York: The Free Press (1985). 

  15. O. Janssen, "Job Demand, Perceptions of Effort-reward Fairness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73, pp. 287-302 (2000.) 

  16. E. H. Schein,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1992). 

  17. Y. Weiner, "Forms of Value System: A Focu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Cultural Change and Maintenan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13, No. 4, pp. 534-545 (1988). 

  18. G. A. Yukl, "Leadership in Organization (3th Edition)", Englewood New Jersey: Prentice Hall International (1994). 

  19. S. W. Choi,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Profile in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 39, No. 2, pp. 41-63 (2005). 

  20. Y. S. Shin, "The Mediating Roles of Career Planning Practical Behaviors in the Proactive Personality, the Supervisory Support, and the Job Involvement", Ph. D.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2010). 

  21. S. Song, "The Influence of the Organization Culture Type and the learning Organization level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h. D.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2008). 

  22. M. R. Kim,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h. D. Dissertation Kwangwoon University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