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더십 유형과 조직성과와의 관계 분석 - 미국 오클라호마주 의용소방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Styles and Organizational Outcome in Oklahoma's Volunteer Fire Department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8 no.4, 2014년, pp.73 - 80  

신용식 (경기도 소방재난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의용소방대 조직에서 의용소방대장의 주도적인 리더십 유형을 확인하고 소방대장의 리더십 유형과 조직성과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미국 중남부에 위치한 오클라호마주 의용소방대원 2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가장 일반적인 의용소방대장 리더십 유형은 변혁적 리더십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는 거래적 리더십으로 분류되었고 방임형 리더십은 가장 낮은 빈도의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은 조직성과와 정(正)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방임형 리더십은 조직성과와 부(負)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의 의용소방대장과의 근무연수가 증가할수록 자신들의 리더에 대해 변혁적, 거래적 리더십 능력이 감소한다고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dominant leadership styles of the U.S. volunteer fire department and analyzes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styles of a fire chiefs and organizational outcome. This study reviewed 205 volunteer fire fighters in Oklahoma State which is located in middle and southern p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의용소방대장의 유력한 리더십을 결정하고 리더십과 조직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변혁적, 거래적, 방임형 리더십 스타일을 결정하기 위해 Bass와 Avolio (2004)(2)에 의해 개발된 Multi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MLQ)를 사용하였다.

가설 설정

  • 귀무가설(HO) : 리더십 유형과 조직성과(리더십 효과성, 추가적인 노력, 직무만족) 수준 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없다.
  • 대립가설(HA) : 리더십 유형과 조직성과(리더십 효과성, 추가적인 노력, 직무만족) 수준 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
  • 변혁적, 거래적, 방임형 리더십 등 3가지 리더십 유형과 조직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4 Fire Administration Material and Statistics" (2014). 

  2. B. M. Bass and B. J. Avolio, "Manual for the Multi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Manual and Sampler Set (3rded.)", Menlo Park, CA: Mind Garden (2004). 

  3. J. Buckman, "A Time to Direct, a Time to Support", Fire Chief, Vol. 48, No. 9, pp. 18-19 (2004). 

  4. M. M. Chemers, "An Integrated Theory of Leadership". Mahwah, NJ: Lawrence Eribaum Associates (1997). 

  5. J. M. Burns, "Leadership", New York: Harper Row (1978). 

  6. J. D. Thompson, "Organizations in Action: Social Science Bases of Administrative Theory", Somerset, NJ: Transaction Publisher (2004). 

  7. B. M. Bass,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s", New York: Free Press (1985). 

  8. B. M. Bass, "Personal Selling and Transactional/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Journal of Personal Selling and Sales Management, Vol. 17, No. 3, pp. 19-28 (1997). 

  9. M. W. Javitch, "A Model of Leadership Effectiveness in Professional Service Firms: Link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fluence Tactics, and Role Conflicts to Client Satisfaction", Retrieved from ProQuest Dissertations and Theses (UMI No. 9809727) (1997). 

  10. J. A. Kolb, "Leader Behaviors Affecting Team Performance: Similarities and Difference Between Leader/ Member Assessments", The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Vol. 32, No. 3, pp. 233-248 (1995). 

  11. J. H. Choi, "The Relationship Amo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rganizational Outcomes, and Service Quality in the Five Major NCAA Conferences", Retrieved from ProQuest Dissertations and Theses (UMI No. 3270720) (2006). 

  12. J. B. Fuller, C. E. P. Patterson, K. Hester and D. Y. Stringer, "A Quantitative Review of Research on Charismatic Leadership", Psychological Reports, Vol. 78, No. 1, pp. 271-287 (1996). 

  13. B. J. Avolio and B. M. Bass, "Developing Potential Across a Full Range of Leadership: Cases on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awrence Erlbaum Associates, Mahwah, NJ (200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