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방공무원의 방화복 착용 후 단계별 운동강도 변화 시 의복 내 온도·습도·발한량 차이
The change in temperature·humidity·perspiration of fire suit when applying phased intensive exercises to fire fighter wearing fire suit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5 no.4, 2013년, pp.97 - 103  

최서연 (한서대학교 건강관리학과) ,  박일규 (인천대학교 소방방재연구센터) ,  공일천 (인천대학교 소방방재연구센터) ,  이동호 (인천대학교 소방방재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hange in temperature humidity perspiration of fire suit when applying phased intensive exercises to fire fighter wearing fire suit. For this study, three male fire fighters took basic physical test and performed 10 minute phased intensive exercises -exer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방화복 착용 후 단계별 운동강도 변화 시의 의복 내 온도·습도·발한량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I대학의 스포츠·레저섬유연구센터에서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소방공무원의 현장 활동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한 후 방화복 착용과 장비 및 기구 사용 등을 재현하여 작업 강도에 따른 의복 내 변화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소방공무원의 현장 활동 작업 강도에 따른 의복 내 변화를 확인하고 추후 소방용 방화복의 기능적 보완 및 개선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소방공무원의 현장 활동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한 후 방화복 착용과 장비 및 기구 사용 등을 재현하여 작업 강도에 따른 의복 내 변화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소방공무원의 현장 활동 작업 강도에 따른 의복 내 변화를 확인하고 추후 소방용 방화복의 기능적 보완 및 개선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능성 의복의 정의는 무엇인가? 기능성 의복은 착용자의 수행도 향상을 지원하고 유해요인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특정 기능이 부가된 의복으로 정의되는데[5], 특정 사용자 집단을 수용하기 위한 의복과 특정 환경에서 적합하게 사용되기 위한 보호복으로 구분된다[6].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리적 유해 요인으로부터 신체 보호를 위하여 착용되는 보호복은 소방복, 방염복, 화생방복, 전기 작업자복, 방탄복, 무진복 등이 대표적이며[7], 이중 소방용 방화복은 일반적으로 불에 타지 않는 내열성 기능을 갖추고 외부의 열기를 차단하는 단열성, 외부 충격에도 견디는 내 구성, 물의 침투를 막는 방수성,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활동성과 가혹한 환경에서 구분이 가능한 식별성 등이 구비되어야 한다[8].
방화복에 관한 유럽 및 국제적인 성능기준은 어떤 기준에 의하여 관리되는가? 소방용 방화복에 관한 유럽 및 국제적인 성능기준은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외부물질, 수분 방어막, 열 보호막의 3가지 주요 구성물을 바탕으로 이들 요소들이 혼합되거나 각 요소를 결합해서 제작된다. 유럽 내의 방화복에 관한 구조적 성능 기준은 EN469, 미국의 국립 화재보호협회(NFPA)에서는 NFPA1971(2000), 캐나다는 일반기준위원회(CGSB)의 CGSB155(1998)의 기준[9], 국내는 KFI인정 기준에 의하여 관리되고 있으며, 의복의 구조적 강도, 의류의 복사와 대류열에 대한 저항, 열 절연체 등을 고려하여 정해진다[10].
대표적인 보호복으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기능성 의복은 착용자의 수행도 향상을 지원하고 유해요인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특정 기능이 부가된 의복으로 정의되는데[5], 특정 사용자 집단을 수용하기 위한 의복과 특정 환경에서 적합하게 사용되기 위한 보호복으로 구분된다[6].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리적 유해 요인으로부터 신체 보호를 위하여 착용되는 보호복은 소방복, 방염복, 화생방복, 전기 작업자복, 방탄복, 무진복 등이 대표적이며[7], 이중 소방용 방화복은 일반적으로 불에 타지 않는 내열성 기능을 갖추고 외부의 열기를 차단하는 단열성, 외부 충격에도 견디는 내 구성, 물의 침투를 막는 방수성,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활동성과 가혹한 환경에서 구분이 가능한 식별성 등이 구비되어야 한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소방방재청(2013). 2013년 소방행정자료 및 통계 

  2. Inhyeng Kang, Hyosuk Park, Han Sup Lee(2012). Assessment of Wear Comfort of Water-vapor-permeable (WVP) gar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9). pp.928-939. 

  3. Gavin, T. P.(2003). Clothing and thermoregulation during exercise. Sports Medicine. 33(13). pp.941-947. 

  4. Pascoe, D. D., Bellingar, T. A., & McCluskey, B. S.(1994). Clothing and exercise II: Influence of clothing during exercise-work in environmental extremes. Sports Medicine. 18(2). pp.94-108. 

  5. Watkins, S. M.,(1995). Clothing: the Portable Environment. 2nd Ed., Iowa State University Press. 

  6. 최혜선, 손부현, 도월희, 김은경, 강여선(2003). 테크니컬 웨어 설계, 서울: 수학사. 

  7. Rosenblad-Wallin, E.(1985). User-oriented product development applied to functional clothing design, Applied Ergonomics. 16(4). pp.279-287. 

  8. Chang-Hoon Bang(2013). Effects of Workload on Human Body wearing Firefighting Protective Clothing in High Temperature. Journal of KOSHAM. 13(2). pp.197-201. 

  9. Joo-Hee Kwon , Jei-Sun Lee, Ga-Eun Ha, Soo-Ae Kweon(2012). The Importance and Uncomfort Degrees of the Firefighters' Active Uniforms. J. of Human Ecology. 16(2), pp.91-98. 

  10. 소방방재청(2013). 소방용 방열복의 KFI인정기준 

  11. S.S. Cheung, T.M. McLellan and S. Tenagliahe(2000). Thermophysiology of Uncompensable Heat Stress: Physiological Manipulation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Sports Med. 29. pp.329-359. 

  12. Chang-Hoon Bang, Jun-Kyoung Lee, Jung-Suk Kwan(2013). Physiological Changes According to Workload Wearing Aluminized Firefighter' Protective Clothing. J. Kor. Inst. Fire Sci. Eng. 27(4). pp.56-60 

  13. Jayoung Cho, Jungrim Jeong, Soomin Yeon, Joonho Chang, Heecheon You, Heeeun Kim(200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Ergonomic Evaluation System for Functional Clothing: Evaluation of Flame proof Clothing and Identification of Design Problem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6(2). pp.1-13. 

  14. 獨立行政法人消防硏究所(2004). 消防用防火服の快適性能, 機能性能の評價に關する硏究報告書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