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방공무원의 근골격계질환 관련 자각증상과 질병 및 사고 결근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ire fighter's musculoskeletal disorder related observable symptoms and their absence from disease and accident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5 no.4, 2013년, pp.89 - 96  

최서연 (한서대학교 건강관리학과) ,  박일규 (인천대학교 소방방재연구센터) ,  이동호 (인천대학교 소방방재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ire fighter's musculoskeletal disorder related observable symptom and their absence from disease and accident. Onlin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with a total of 7,673 fire fighter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the c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방공무원의 각 신체별 근골격계질환 노출 실태를 파악하고 질병 및 사고 결근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여 소방공무원의 근골격계질환 예방프로그램 도입과 결근 관리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방공무원은 어떤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가? 소방공무원은 현장활동 시 추락 및 추락 물질과의 충돌, 폭발물 파편에 의한 부상 및 손상, 화재 시 발생하는 열과 유해가스 및 분진의 흡입, 응급의료 상황 시 환자에 의한 전염병 등 다양한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유해인자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소방 장비 및 환자의 이동, 파괴 및 절단 작업을 위한 공구 사용과 개인 보호 장비 착용으로 인한 중량물, 진동, 구조 및 화재 진압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조물의 들기, 밀기/당기기 작업, 부적절한 작업 자세 등의 인간공학적 위험에도 노출되어 있다[2][3][4][5].
국내 소방공무원은 2012년 기준 몇명인가? 국내 소방공무원은 2012년 기준 38,850명으로 화재진압, 구조, 구급 등의 현장활동을 포함한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소방위, 소방장, 소방교, 소방사가 약 90%를 차지하고 있다. 소방공무원의 소방대응 활동은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1일 평균 118.
국내 소방공무원의 소방대응 활동은 1일 평균 어느정도 되는가? 국내 소방공무원은 2012년 기준 38,850명으로 화재진압, 구조, 구급 등의 현장활동을 포함한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소방위, 소방장, 소방교, 소방사가 약 90%를 차지하고 있다. 소방공무원의 소방대응 활동은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1일 평균 118.2건의 화재 진압과 1,172건의 구조, 4,093건의 구급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고, 최근 5년간 순직자와 공상자가 발생한 주요 업무는 화재진압 23.5%, 구급 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소방방재청(2013). 2013년 소방행정자료 및 통계 

  2. Seong-Kyu Kang, Wook Kim(2008).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Firefighters. J Korean Med Assoc. 51(12). pp.1111-1117. 

  3.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2008). Safe Work Bookshelf 2006 (Encyclopedia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4th. Geneva: International Labour Office. 2006: Chapter 95. Emergency and Security Services. www.ilo.org /safework _book shelf/english accessed November 4. 

  4. Laursen B, Ekner D, Simonsen EB, Voigt M, Sjogaard G.(2000). Kineticsand energetics during uphill and downhill carrying of different weights. Appl Ergon. 31. pp.159 -166. 

  5. Kim HH, Kim KW, Cho SH, Kim DS, Kim JH, Kang SK.(2008). A Survey for Ergonomic Risk Factors in Wholesale/Retail Establishment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7. pp.45-51. 

  6. Day Sung Kim, Myung Kug Moon, Kyoo Sang Kim(2010). A Survey of Musculoskeletal Symptoms & Risk Factors for the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 (EMS) Activitie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9(2). pp.211-216. 

  7. Yeon Soon Ahn(2011). The Analysis of Risk factors related Health and Safety at Disasters and Development of special Medical Health Examintion System for Firefighters 

  8. Su-Jung Im, Dong-Hyun Park, Su-Hyun Eom, Soon-Young Choi(2012). Risk Analysi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Associated with Fire Extinguishing Job of Fire Fighters. J. Korea Saf. Manag. Sci. pp.369-376 

  9. Jung Man Kim, Byung Seong Suh, Kap Yeol Jung, Dong Il, Kim, Won Sool Kim, Han Seok Cho, Jin Wook Kim, Jae Kwon, Dong Young Yoon, Jung Il Kim, Young-Man Roh(2007). The study for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job stress in firemen.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17(2). pp.111-119. 

  10. Kyong-Sok Shin, Yun-Kyung Chung, Hye-Eun Lee(2012).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Work-related Low Back Pain Among Operators and Drivers of Transportation Vehicle.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4(1). pp.11-19. 

  11. Dong-Hoon Lee, Shin-Goo Park, Jong-Han Leem, Hwan-Cheol Kim, Dong-Hyun Kim, Jeong-Hoon Kim, Seung-Jun Lee, Gee-Woong Kim (2010). Current Status of Sickness Absences and Early Leaves from Work among Workers with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in Each Body Part, and Relevant Factors.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2(4). pp.364-370. 

  12. Lund T, Labriola M, Christensen KB, Bultmann U, Villadsen E.(2006). Physical work environment risk factors for long term sickness absence: prospective findings among a cohort of 5357 employees in Denmark. BMJ 332(7539). pp.449-52. 

  13. http://www.kosha.or.kr 

  14. Vahtera J, Kivimaki M, Pentti J, Theorell T.(2000). Effect of change in the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on sickness absence: a seven year follow up of initially healthy employee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54(7). pp.484-9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