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주성분분석과 공통요인분석에 대한 비교연구: 요인구조 복원 관점에서
A Comparative Study on Factor Recovery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ommon Factor Analysis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6 no.6, 2013년, pp.933 - 942  

정선호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  서상윤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방법을 사용해서 다양한 조건에서 주성분분석이 얼마나 잘 요인 구조를 복원할 수 있는지를 공통요인분석과 비교하여 체계적으로 평가하였다. 이 연구에서 요인 대 변수 비율, 공통성, 그리고 표본크기를 실험변수로 설정하였다. 주성분분석은 표본의 크기가 200개 이하인 경우 공통적으로 공통요인분석에 비해 더 우수한 요인구조의 복원력을 보여주었다. 특히, 요인 당 변수 수가 적은 경우, 주성분분석은 50개의 표본에서도 만족할 만한 수준의 요인복원능력을 보여주었다. 이와 더불어 공통성 수준 또한 낮은 경우 필요한 표본수는 100개로 늘어난다. 본 연구결과는 요인추출방법으로서 주성분분석의 선택의 근거를 제시하고 타당한 사용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mon factor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present two technically distinctive approaches t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uch of the psychometric literature recommends the use of common factor analysis instead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Nonetheless, factor analysts use princi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런데 주성분분석이 요인구조 복원 측면에서 어떤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평가가 이뤄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통요인분석과 비교해서 어떤 수준의 요인구조 복원능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해서 체계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요인구조 복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 변수 비율, 공통성, 표본수를 실험변수로 하여 각 조건하에서 주성분분석의 요인구조복원 능력을 공통요인분석과 비교 평가하였다.
  • 하지만 이 관점에서 두 방법을 체계적으로 비교 평가한 연구는 여전히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요인구조 복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조건을 제시하고 각 조건 하에서 주성분분석이 공통요인분석과 비교해서 얼마나 잘 모집단과 유사한 요인구조를 생성해 낼 수 있는지를 몬테카를로(Monte Carlo) 시뮬레이션기법을 통해 체계적으로 평가해 보고자 한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회과학 연구자들은 어떤 상황에서 주성분분석이 올바른 요인 해석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가설 설정

  • 1은 분산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모든 주효과(main effect)와 상호작용효과(interaction effect)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하지만 이 결과를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객 정보를 다루는 데 있어 중요한 통계적 이슈는? 유통업계 및 금융업계 등에서 관찰할 수 있는 데이터는 많은 수의 고객으로부터 발생하는 방대한 고객 정보와 많은 양의 구매 및 거래 정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그 규모가 매우 크다. 수많은 고객 정보를 다루는데 있어서 제기되는 중요한 통계적 이슈 중 하나는 과연 이 정보를 효과적으로 어떻게 요약할 것인지에 관한 것이다 (Witten 등, 2011). 다변량 통계 분석법 중 주성분분석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답을 쉽게 할 수 있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사용할 때 어떻게 사용되는가? 탐색적 요인분석은 사회과학 연구에서 기본적인 분석도구로 사용되어 왔다 (Costello와 Osborne, 2005). 요인분석 사용자들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사용할 때 요인추출방법, 추출할 요인 수 결정, 요인 축의 회전방법에 대해 단계적으로 의사결정을 한다. 그런데 각 단계에서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하고 특정 방법의 선택에 따라 요인분석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요인구조 복원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는 척도는? 본 연구에서 요인구조 복원능력은 요인해석의 유사성(similarity of factor interpretations)을 의미한다. 이를 평가할 수 있는 척도로서 일반적으로 Tucker의 일치도 계수(congruence coefficient)를 사용한다. 이 계수를 활용해서 모집단과 표본의 요인적재량 행렬 패턴의 유사성을 평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cito, F. and Anderson, R. D. (1980). A monte carlo comparison of factor analytic method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7, 228-236. 

  2. Bijmolt, T. H. A. and Van de V., M. (2012). Multiattribute perceptual mapping with idiosyncratic brand and attribute sets, Marketing Letters, 23, 585-601. 

  3. Briggs, N. E. and MacCallum, R. C. (2003). Recovery of weak common factors by maximum likelihood and ordinary least squares estimation,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38, 25-56. 

  4. Carroll, J. D. and Green, P. E. (1997). Psychometric methods in marketing research: Part 2, multidimensional scaling,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4, 193-204. 

  5.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for the Behavioral Sciences, Hillsdale, Lawrence Erlbaum, NJ. 

  6. Conway, J. M. and Huffcutt, A. I. (2003). A review and evaluation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ractices in organizational research,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6, 147-168. 

  7. Costello, A. and Osborne, J. (2005). Best practice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r recommendations for getting the most from your analysis,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and Evaluation, 10, 1-9. 

  8. Gagne, P. and Hancock, G. R. (2006). Measurement model quality, sample size, and solution propriety in confirmatory factor model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41, 65-83. 

  9. Guilford, J. P. (1954). Psychometric Methods, McGraw Hill, New York. 

  10.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and Anderson, R. E. (2009). Multivariate Data Analysis, Upper Saddle River, Prentice-Hall, NJ. 

  11. Lorenzo-Seva, U. and ten Berge, J. M. F. (2006). Tucker's congruence coefficient as a meaningful index of factor similarity, Methodology: European Journal of Research Methods for the Behavioral and Social Sciences, 2, 57-64. 

  12. MacCallum, R. C., Widaman, K. F., Zhang, S. and Hong, S. (1999). Sample size in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4, 84-99. 

  13. MacCallum, R. C., Widaman, K. F., Preacher, K. and Hong, S. (2001). Sample size in factor analysis: The role of model error,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36, 611-637. 

  14. O'Connor, B. P. (2000). SPSS and SAS programs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components using parallel analysis and Velicer's MAP test,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and Computers, 32, 396-402. 

  15. Paxton, P., Curran, P. J., Bollen, K., Kirby, J. and Chen, F. (2001). Monte Carlo Experiments: Design and implement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8, 287-312. 

  16. Pennell, R. (1968). The influence of communality and N on the sampling distributions of factor loadings, Psychometrika, 33, 423-439. 

  17. Preacher, K. J. and MacCallum, R. C. (2002).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behavior genetics research: Factor recovery with small sample sizes, Behavior Genetics, 32, 153-161. 

  18. Rammstedt, B., Goldberg, L. R. and Borg, I. (2010). The measurement equivalence of big-five factor markers for persons with different levels of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4, 53-61. 

  19. Snook, S. C. and Gorsuch, R. L. (1989). Component analysis versus common factor analysis: A Monte Carlo study, Psychological Bulletin, 106, 148-154. 

  20. Tucker, L. R., Koopman, R. F. and Linn, R. L. (1969). Evaluation of factor analytic research procedures by means of simulated correlation matrices, Psychometrika, 34, 421-459. 

  21. Velicer, W. F. and Fava, J. L. (1998). Effects of variable and subject sampling on factor pattern recovery, Psychological Methods, 3, 231-251. 

  22. Velicer, W. F., Peacock, A. C. and Jackson, D. N. (1982). A comparison of component and factor patterns: A Monte Carlo approach,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17, 371-388. 

  23. Velicer, W. F. and Jackson, D. N. (1990). Component analysis vs. Common factor analysis: Some issues in selecting an appropriate procedure,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251, 1-28. 

  24. Wijsman, R. A. (1959). Applications of a certain representation of the Wishart matrix, Annals of Mathematical Statistics, 30, 597-601. 

  25. Witten, I. H., Frank, E. and Hall, M. A. (2011). Data Mining: Practical Machine Learning Tools and Techniques, Morgan Kaufmann, Burlington, M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