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리단길 창조계급의 유입과정과 문화경관 형성요인
The Inflow of the Creative-Class and Forming of Cultural Landscape on the Kyunglidan-Gil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1 no.6, 2013년, pp.158 - 170  

양희은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손용훈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창조 경제', '문화 융성' 등이 도시 및 지역 성장의 새로운 방법론으로 부상하면서 문화 산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Kim, 2013). 또한 지역의 창조역량을 강화하고 자생적이며 내발적인 지역문화 발전을 위한 정책마련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Ryu et al., 2012). 이러한 흐름에서 자생적으로 문화산업에 종사하는 창조계급들이 집적하여 나타나며, 새로운 문화경관을 형성하고 있는 경리단길을 고찰하여 그 집적요인 및 문화경관의 변화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최근 급격한 변화과정에 있는 서울 용산구 이태원2동 회나무로(경리단길)를 연구함에 있어, 인근 지역인 이태원1동의 상업시설 포화상태로 인한 상업 공간의 확장 때문이라는 기존의 인식과는 달리 경리단길에 유입되고 있는 '창조계급'이 지역의 변화를 직 간접적으로 유도하며, 지역의 문화 및 경관을 변화시키고 있다는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10년대 일본군 기지 조성에 따른 영향으로 변화하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는 과정을 문화경관형성 과정으로 보고, 대상지 경관 변화의 역사적 맥락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둘째, 경리단길의 변화를 주도하는 주체로서 창조계급이 경리단길에 유입된 과정을 고찰하고, 어떠한 요인에서 경리단길에 유입되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셋째, 이들의 활동이 지역의 문화 및 경관을 변화시키고 있다는 가설 하에 이들의 활동을 분석하여 경리단길의 독특한 문화경관형성 양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창조계급의 4집단(디자이너 및 건축가 집단, 독립 갤러리 및 카페(음식점)+갤러리 운영자 집단, 예술가 집단, 에스닉푸드 음식점 운영자 집단)들이 경리단길에 유입되고 있는 과정을 생생하게 고찰하기 위하여 심층인터뷰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이를 객관적이며 구조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위해 Ratner(2002)가 제시한 인터뷰 대화내용 분석의 4단계를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창의적 문화산업 종사자가 경리단길에 유입되는 요인으로는 '저렴한 임대료에 비해 이슈화되고 있는 지역', '자연과 공존하는 도시', '도시의 혼잡스러움과는 격리된 듯한 호젓한 분위기', '자신이 좋아하는 개성 있는 소재를 시험하고 공유할 수 있는 장소', '지인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의 시너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소'라는 5가지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또한 이들의 활동으로 형성되고 있는 문화경관의 특징으로는 창의성 증진을 위한 소통의 공간, 일시적이며, 유연한 공간의 활용, 자신의 정체성 및 취향의 표현, 구분짓기, 기존 시설의 적극적 활용이라는 5가지의 특징이 도출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경리단길의 변화과정을 주도하고 있는 주체인 '창조계급'을 드러냄으로써 경리단길 문화경관이 형성되고 있는 양상을 밝혀냈으며, 문화산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고찰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자생적으로 문화산업에 종사하는 창조계급이 집적하여 나타나는 실제의 대상지를 연구함으로써 실증적인 유입요인 및 지역의 변화양상을 밝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recent 'Creative economy' and 'Cultural prosperity' coming to the fore as a new code to build up a city or a region, it is necessary to focus on strengthening the regional creative capacity as well as developing spontaneous regional culture. In such trend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K...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리단길의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단순히 이태원1동의 상업시설 포화상태로 인한 상업 공간의 확장으로 보기 어려운 이유는? 하지만 이 현상을 단순히 이태원1동의 상업시설 포화상태로 인한 상업 공간의 확장으로 보기는 어렵다. 이곳에 유입되고 있는 ‘창조계급’이 지역의 변화를 직․간접적으로 유도하며, 지역의 문화 및 경관을 변화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창조계급이란? 플로리다가 주장한 창조계급은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들 중, 특히 창조적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래머, 음악가, 예술가, 과학자, 교사, 연예인, 디자이너, 건축가 등 ‘순수 창조의 핵’이라 불리는 전문직 종사자들과 관리직, 사업경영 및 재정운영직, 법률직, 금융직, 건강관리직 등 광범위한 지식집약형 산업에 종사하는 ‘창조적 전문가’들을 말한다.
창조계급이 집적하는 도시의 특징은 무엇인가? 플로리다는 창조적 사람들은 관용적 도시 환경을 지닌 특정지역에 집적하여 나타나며, 그들의 창조적 직업 활동과 창조적 상호작용의 결과, 그 지역의 혁신적 기업 활동, 문화산업의 육성, 경제성장이 가능하게 된다고 주장한다(Kim, 2012). 나아가 이러한 창조계급이 집적하는 도시의 특징으로 두터운 노동시장, 유연한 생활양식, 사회적 상호작용, 다양성, 진정성, 독자성, 지역의 질 등을 지목한다. 이처럼 창조계급은 특정지역에 집적하여 나타나며, 창조계급의 특성과 이들이 선호하는 도시환경에는 특정한 공통요인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ey, Kee-jo(2010)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e class and the regional growth.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26(3), 3-24. 

  2. Cho, Hyun-ji(2013) A Study for Temporary Use of Urban Space Focused on Collaborative Design: The Case of Bogwang-dong, Yongsan-gu.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3. Cho, Young-dal(2005)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eoul: Kyoyookbook. 

  4. Florida, Richard L.(2002)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 and How It's Transforming Work, Leisure, Community and Everyday Life. New York: Basic Books. 

  5. Florida, Richard L.(2004) Cities and the Creative Class. New York; London : Routledge. 

  6. Georges, Poussin and Alexander Schischlik(2006) Cultural Industries. Paris: UNESCO. 

  7. Han, Sung-mi(2010) Cultural-Psychological Analysis of the Formation of Sense of Place in Minority Groups : Focused on Tapgol?Jongmyo Park and Yenbyen Street.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8. Howkins, John(2001) The Creative Economy, London: Berkley Pub Group. 

  9. Jung, Sang-Chul(2012) Necessity and Strategies of Cultural Service R&D. Seoul: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10. Ki, Jung-Hoon and Kune-Sook Hur(2009) A statistical analysis of formation and growth of human capital agglomerating cities - A quasiexperimental besign-based inter-urban group comparative study.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2(2), 31-56. 

  11. Kim, Cheon-Kwuan and Hye-Young Na(2011) Museum and urban development: An analysis for location factors of museum as a catalyst for urban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3(1), 117-146. 

  12. Kim, Hee-Jung(2010) Study on Cultural Values and Economic Effects of Creative Retail Shops : Focused on Bukchon in Korea. Ma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3. Kim, Hong-Jung(2008) The landscape at Alley and Nastalgia. Economy and Society, -(-), 139-168. 

  14. Kim, Hyo-Jung(2012) The Cultural Industry Policy for Cultural Diversity. Seoul: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15. Kim, Joon-Hong(2012) Critical review of a creative city thesis for Korean urban cultural policy: A focus on the locational preference of the Korean creative class. The Journal of Cultural Policy 26(1), 31-51. 

  16. Kim, Min-woo(2013) Interpreting Cultural Landscape of Specialized Atreet : A Case Study of Garosugil, Sinsa-dong, Seoul. Ma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7. Kim, Pil-Soo(2013) Characteristics and issues of cultural industry. Hyundai Research Institute 519, 1-20 

  18. Goo, Moon Mo(2005) An Analysis on the Economic Performance of Creative Industry and Clustering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17(4): 197-223. 

  19. Kvale, Steinar(1996) Interviews : 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ing. Thousand Oaks, Calif.: Sage Publications 

  20. Kwon, Yoon Ku(2013) The Formation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Sense of Place on Urban Streets-Research on Insa-dong and Daehakro Within the Framework of Mixed-Methods.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1. Lee, Hee-yeon and Eun-jung Hwang(2008) Clustering of the creative industry and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its value chain in Seoul.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58(-), 71-93. 

  22. Lee, Se-jin(2011) The Interpretation of Pattern in Cultural Landscape around Hongdae Area. Ma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3. Lee, Suan(2011) Cafe as hybrid spaces and cultural scapes of nomadic subjects. Culture and Society 10(-), 34-66 

  24. Park, Ji Nam(2012) Leisure-Alone Folk: Pleasure of Pursuing Individuality or Change of Community. Ma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5. Ryu, Jung-A(2012) Study of Regional Culture Policy and Regional Vitalization. Seoul: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26. Seoul Museum of History(2010) Itaewon: Space and Life. Seoul: Seoul Museum of History. 

  27. Song, Hee-young(2010) Cities and the creative class. Academic Association of Global Cultural Contents 5(-), 311-315. 

  28. Yang, Hee-eun, Si-beom Yoo, Hyun-joo Lee and Kyung-jin Zoh (2012) Mosaic Street, Kyunglidan-gil, Placemaking Process and Community Engagement, Paper presented at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Pacific Rim Community Design Network,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