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로형 광장 설계의 특징과 의의 - 안산 광덕로 테마광장 설계를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Boulevard-type Plaza Design - Focusing on Ansan Gwangduk Theme Plaza Design, Ansan City, Korea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1 no.6, 2013년, pp.185 - 198  

정욱주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초록

2002년 월드컵 응원의 배경이 되었던 서울시청 앞 교통광장이 설계경기를 거쳐 서울광장으로 조성되면서 광장에 대한 다양한 담론이 논의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이어서 2009년 조성된 광화문광장 역시 우리 광장문화에 대한 도시 상징적 기능, 인문적 고찰, 도시민들에 의한 활용방식 등 다방면의 논의를 이끌어내면서 학문적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우리에게 광장 문화가 있느냐, 우리 광장의 모습은 어떠해야 하는가 라는 질문의 대답은 여전히 탐색 중인 것으로 판단된다. 왜냐하면 역사적 흐름에서 광장문화의 발현과 이어져오는 광장 공간 양식이 뚜렷하게 공감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구적 공간 양식 등이 참조되고, 광장의 정체성과 관련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지 못한 상태에서 광장이 조성되었다는 의견이 통용되기 때문이다. 우리 광장의 모습이 이러해야 한다는 원칙은 정해진 바 없다. 서울광장과 광화문광장의 출현이 이러한 논의를 촉발하고 있는 현상은 긍정적이라고 볼 수 있다. 다양한 층위에서 논의를 통해 광장 공간과 문화에 대한 공감을 지속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면 우리는 머지않아 독창적인 공간문화를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안산 광덕로 광장 설계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2009년 현상을 통해서 당선된 본안은 2010년 말에 준공되었다. 우리 광장의 문화와 공간구성에 대한 담론 발생을 염두에 두면서 광덕로 테마광장의 설계내용을 중심으로 동시대 광장의 역할과 설계 쟁점을 펼치면서 아직 진행 중이라고 판단되는 우리 광장 구성의 방향성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2002 World Cup cheering in front of Seoul City Hall and Seoul Plaza design competition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discussion of a variety of discourses regarding our plaza culture. The Gwanghwamun Plaza constructed in 2009 also generated discussions for questions on the function of our plaz...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광장의 구성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자. 광장은 그 자체의 개방감과 광장으로 인한 도시성을 경험하기 위해 찾는 곳이다(Jeong, 2009).
  • 본 논문의 목적은 광덕로 테마광장 공모전에서 벌어졌던 설계내용을 중심으로 유사 광장 프로젝트의 고찰을 병행하면서, 광덕로 테마광장이 갖는 설계 특징의 의의를 짚어보고, 우리나라 광로형 광장구성의 지향점을 탐색하고자 한다.
  • 이는 크게 시민들의 보행접근이 쉬울 것과 시민이 활용하는 데에 불편이나 불안요소가 없을 것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특히 광장의 공간은 걷고, 머무르고, 앉고, 조망하고, 대화할 수 있는 사람을 위한 장소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한다. 비슷한 시기에 계획되거나 조성되었던 광장 사례를 통해서 우리 광장문화를 반영할 수 있는 공간의 방향성을 고찰해 보았다.
  • 우리 도시에 광장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오래된 서구의 도시구조처럼 자연스럽게 광장이 발현될 수 있는 조건이 아니라는 점을 감안하면, 현재 우리 도시구조에서 넓은 도로가 광장의 모습으로 변경되는 것을 지속적으로 목격할 것이다. 현재까지 드러난 교통광장의 상징광장화 쟁점은 보행의 흐름과 도로의 상충을 어떻게 완화시키느냐와, 광장의 프로그래밍을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에 집중되어 있다.
  • 온전히 서울광장과 광화문광장의 영향만으로 새로운 광장조성사업이 시작된 것은 아니겠지만, 시민 여론과 다양한 전문가들의 의견이 표출되던 토론의 장은 분명 중요한 참고자료가 되었을 것이라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우리 도시의 대표성을 지니는 장소로서의 광장을 구축하고자 하는 지향점을 찾기 위하여, 다양한 논쟁들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광장 구성에 필요한 몇 가지 시사점을 드러내고자 한다. 문헌과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우리 광장 설계의 담론의 방향은 크게 세 가지 이슈로 정리할 수 있다.
  • 디자인 리서치를 통해 정리된 설계이슈들과 주변 맥락을 염두에 두면서 안산시를 대표하는 상징광장, 시민들이 모여드는 축제광장, 안산의 자연을 연결하는 녹색광장의 세 가지 방향을 설정하고, 설계안을 발전시켰다. 우선 광장의 상징성은 안산시청과 안산호수공원을 연결하는 길목에 광장이 존재함을 부각시키고, 다문화와 연계되는 안산시의 이미지를 광장에 공간적, 프로그램적으로 구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갯벌 매립지라는 장소의 정체성을 수경시설에 반영하여 표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덕로 테마광장의 가장 큰 취약점은? 가장 적극적인 방식은 입체교차인데, 선큰이나 오버브리지를 통해서 상업지역에서 광장으로 진입할 수 있다. 광덕로 테마광장의 가장 큰 취약점은 주변상가와의 연계성의 부족에 있는데, 입체교차는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식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조성비용에 대한 부담을 안고 있다(Figure 5 참조).
광장에 활용된 수목은 무엇인가? 도입되는 시설이나 구조물은 타이달(tidal)폰드, 기존교량재활용을 재활용하는 전망대, 수경시설, 수직정원 등이 있다. 수목은 은행나무 70주와 소나무 24주 등 대상지에 있었던 기존수목을 최대한 활용하였으며, 그늘목으로는 내염성 등을 고려하여 느티나무, 팽나무, 모감주나무, 칠엽수, 청단풍 등을 적극 도입하였다.
도시계획적 차원에서 광장이란 무엇인가? 도시계획적 차원에서 광장이란 원활한 교통과 시설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주민의 집회, 사교, 오락, 휴식 등을 제공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도시의 기반시설로서(Lee, 201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의 시행령에서는 교통광장, 일반광장, 경관광장, 지하광장 및 건축물부설광장으로 구분하고 있다. 하지만 도시민들에게는 광장이란 서울광장이나 광화문광장처럼 특정 장소의 지명이나 사전적 의미에서 찾을 수 있는 것처럼 많은 사람이 모일 수 있게 만들어놓은 넓은 잔디나 포장이 넓게 깔린 장소로서 인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i, Wooseok and Giho Kim(2013) A study on the use and function of public square as behavior setting.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4(1): 115-118. 

  2. Chun, Jin-Young(2011) The origin, transformations, and spacial essence of the square. auri M winter 6: 19-36. 

  3. Do, Won Jung(2009) Study on revitalization scheme of local economies: Case of central business district, Ansan. Hanyang University, A master thesis. 

  4. Han, dong-soo(2009) History and tradition are an accumulation of time. SPACE 502: 86-87. 

  5. Jeong, Wook-ju(2009) A square is a place visted to experience the personal sense of openness and urbanity. SPACE 502: 84-85. 

  6. Jeong, Wook-ju(2010) Expectation and role for contemporary plaza. Landscape Review. 10: 8-9. 

  7. Kim, Bacek-Yung(2011) Reflections on the culture of the square space in six hundred-year old city, Seoul. auri M winter 6: 67-81. 

  8. Kim, Jinho(2009) That's not the Plaza - The Christian Institute for the 3rd Era 4: 5-12. 

  9. Kim, Sunyoung(2009) Open space and urban plaza design for public space in city environment. Korea Design Forum & Industrial Forum. 22: 47-58. 

  10. Lee, Chunggi(2009) The edge effect of Gwanghwamun plaza. Korea Architect Institute 18: 252-253. 

  11. Lee, Sang-Min(2011) Various forms and uses of squares as a public space in Korea. auri M winter 6: 82-98. 

  12. Mun, Hyunyoung and Jaeeun Yoon(2001) A study about place identy of Gwanghwamun square - Consumer use act and attitude and satisfaction in center.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Art 12(4): 129-137. 

  13. Pae, Jeonghann(2003) Inside the competition ? Opinions about basic design for the construction of “Seoul City Hall Plaza”. Environment & Landscape Architecture of Korea 179: 70-71. 

  14. Seo, Hyun(2010) Apartment and plaza. Landscape Review 10: 8-9. 

  15. Seung, H-sang(2009) Korean architecture emphasizes the relational aspects between the structures built in a space. SPACE 502: 88-91. 

  16. Woo, Dong-Seon(2011) Thoughts on squares in east Asia: Focusing on open spaces in China and Japan. auri M winter 6: 37-49. 

  17. Articles in Dong-A Daily. 2004. 5. 11. 

  18. Articles in Joongang Daily. 2009. 12. 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