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과 중국의 마을비보숲 식생 비교 - 한국(韓國) 진안(鎭安)과 중국(中國) 청주(靑州)를 사례로 -
A Comparison of Vegetation in Complementary Forests of Villages between Korea and China - Focused on Jinan in Korea and Qingzhou in China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1 no.6, 2013년, pp.199 - 208  

박재철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관단단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대학원) ,  정경숙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마을 비보숲의 식생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마을 비보숲이 잔존하는 지역을 예비조사를 통해 확인하여 한국의 진안과 중국의 청주를 선정하였다. 주요 조사방법은 현장조사이고, 조사된 두 지역에 대한 비교 고찰을 위하여 빈도분석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두 지역의 차이로 인해 마을 비보숲의 식생의 특성에 있어서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두 지역의 평균 종수는 2.9종으로 같았다. 그러나 평균 개체수, 총 개체수, 입목밀도는 청주가 진안에 비해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고, 평균 흉고직경, 수관폭은 진안이 청주보다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상과 주요 수종 역시 매우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한국과 중국의 특성을 살린 마을 비보숲의 복원과 관리의 정책 방향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vegetation structure in complementary forests of villages between Korea and China. For this study, Jinan in Korea and Qingzhou in China were selected through a pre-survey about the representative regions of both countries. The main research method used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수 마을비보숲의 상태가 양호하며 긴 시간에 걸쳐서 지역 환경 형성에 적응하고, 안정성 및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논증하였다. 그리고 마을비보숲의 수종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수종선정을 위한 근거를 제공하였다.
  • 중국이나 한국 모두 도시화, 산업화 과정에서 마을비보숲의 식생이 급격히 훼손되고 사라지고, 외래종에 의하여 변질되고 있다. 따라서 마을비보숲 식생에 대한 새로운 조명과 잔존실태를 비교하여 향후 복원, 관리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중국과 한국의 마을비보숲을 비교하기 위하여 사례연구지로는 한국에서는 가장 많은 마을비보숲이 잔존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진 전라북도 진안군을 선정하였고, 진안과 비슷한 지리적 위치에 있고 중국에서도 마을비보숲이 가장 많이 잔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산동성 청주지역을 선정하여 비교 고찰을 통하여 양국의 차이에 의한 마을비보숲의 식생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나아가, 영남(岭南)지역의 마을비보숲에 관한 연구(成俊, 2009)에서 전통적인 마을비보숲과 풍수사상의 상호관계에 대한 간단한 요약을 통해 마을비보숲을 정의하였다. 마을비보숲의 분류, 기원, 발전의 연구 현황을 설명하고, 이 지역의 마을비보숲의 군락특성, 식물종류 및 보호 등 방면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연구 가치에 대해 탐구하고, 현재의 연구 문제를 분석하여 미래의 전망을 제시하였다.
  • 이러한 한국과 중국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마을의 존재만큼이나 특정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마을비보숲의 중국과 한국의 특성 중 임상 및 식생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중국이나 한국 모두 도시화, 산업화 과정에서 마을비보숲의 식생이 급격히 훼손되고 사라지고, 외래종에 의하여 변질되고 있다.
  • 따라서 마을비보숲 식생에 대한 새로운 조명과 잔존실태를 비교하여 향후 복원, 관리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한다. 중국과 한국의 마을비보숲을 비교하기 위하여 사례연구지로는 한국에서는 가장 많은 마을비보숲이 잔존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진 전라북도 진안군을 선정하였고, 진안과 비슷한 지리적 위치에 있고 중국에서도 마을비보숲이 가장 많이 잔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산동성 청주지역을 선정하여 비교 고찰을 통하여 양국의 차이에 의한 마을비보숲의 식생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산(佛山)시 마을 비보숲의 수종구조에 관한 연구는 주로 무엇에 대해 연구를 하였는가? 중국의 마을비보숲에 관한 연구를 보면 불산(佛山)시 마을 비보숲의 수종구조에 관한 연구(方卓林 et al., 2001)에서는 불산(佛山)시 16개 마을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주로 식물의 종류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다수 마을비보숲의 상태가 양호하며 긴 시간에 걸쳐서 지역 환경 형성에 적응하고, 안정성 및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논증하였다.
한국의 마을숲 내지 마을 비보숲에 관련된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주를 이루고 있는가? 한국의 마을숲 내지 마을 비보숲에 관련된 연구는 마을숲의 현황과 실태, 특성에 관한 연구(Park, 1998; Park, 1998; Yoon and Nam, 1999; Choi and Kim, 2000; Park et al., 2002; Choi and Kim, 2003; Kang, 2004; Choi and Kim, 2009; Park et al., 2012)와 마을숲의 바람과 온습도 등의 조절 기능에 관한 연구(Park et al., 2003, Park and Chun, 2004), 관리에 관한 연구(Kim et al., 2003, Kang et al., 2004, Hong and Kim, 2007), 복원에 관한 연구(Park et al., 2004; Park et al., 2004; Choi and Kim, 2007; Kim et al., 2008; Shin et al., 2008; Park and Han, 2009)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 외에 개념(Park, 2006; Yoon, 2010), 문화(Park, 2006), 경제적 가치 평가(Lee and Lim, 2006), 식물사회학적인 연구(Kim and Im, 2006, Koh et al.
중국과 한국의 마을비보숲의 식생을 비교하기 위해 청주지역과 진안 지역을 비교한 결과, 개체수 평균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3. 개체수 평균은 진안이 40.4개이고, 청주는 97.8개로 청주가 약 2.4배 많은 것으로 나타나, 청주가 면적은 작지만 개체수는 많아 부피가 작은 나무로 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Choi, J. U. and D. Y. Kim(2000)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conservation condition of rural community forests as culture in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8(3): 51-64. 

  2. Choi, J. U. and D. Y. Kim(2003) A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community forest at Gujung-ri in Gangneung as cultural landscape. Journal of the Korean Planners Association 38(4): 171-181. 

  3. Choi, J. U. and D. Y. Kim(2007) Preparation of data for restoration of Dangsan forests and rural community forests from the case study of Hanbam and Goiran villages.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 Research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0(4): 21-30. 

  4. Choi, J. U. and D. Y. Kim(2009) A study for location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Dangsan forests in rural and seashore villag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7(1): 35-47. 

  5. Choi, J. U.(2009) Condition and characteristics of Dangsan and Bibo forest of Sesim village in Gyeongju-si.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international edition) 7: 133-142. 

  6. Hong, S. K. and J. E. Kim(2007) Village forest of west seashore inlet -Landscape forest management for ecotourism area conservation-. Island Culture 29: 441-473. 

  7. Kang, H. K.(2004)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nvironments of growth and management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village groves -Focucing on Gyeongbuk, Gyeongnam and Kangwon provinc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2(2): 19-28. 

  8. Kang, H. K., K. J. Bang, S. J. Lee and H. B. Kim(2004) Management guidelines of village groves through an analysis of growth environments -Focusing on village groves in Gyungsang and Gangwon provinc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2(2): 63-74. 

  9. Kim, H. B., D. S. Jang and B. J. Park(2008) A study on the course of restoration of traditional village grov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6(2): 42-50. 

  10. Kim, H. B., D. S. Jang and S. J. Lee(2003) A study about improved plans of management of Korean village grov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1(4): 90-99. 

  11. Kim, J. W. and J. C. Im(2006) Traditional village forest and phytosociology -Re-creation of traditional forest park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Poster presentation of Korean Society of Ecology. 

  12. Koh, I. S.(2006) Controls of a Bibosoop Over Windspeed and Evaporation in a Korean Agricultural Area: Field Observation and Modelling at Songmal-ri, Icheon, Gyeonggi-do. Master's thesi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3. Koh, I. S., C. R. Park and D. W. Lee(2008) Effect on tree species number of natural and human geographic variables in Jinan village forest. Paper Collection of Korean Studies 33: 81-112. 

  14. Kwon, J. O., J. H. Oh, J. Y. Lee, C. R. Park and M. S. Choi(2008) Locations and topographical character of the MAEULSOOP in the southwestern and eastern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4): 85-93. 

  15. Lee, M. K. and D. S. Lim(2006) Economic valuation of ‘Maulsup' by apply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Paper Collection of Korean Studies 33: 153-196. 

  16. Park, B. W.(2006) Village forest and culture. Paper Collection of Korean Studies 33: 195-233. 

  17. Park, J. C. and S. H. Lee(2007) Village forest of Jinan. Jinan Cultural Institute. 

  18. Park, J. C. and S. Y. Han(2009) The monitoring of complementary village grove -Case study on complementary village groves of Seochon and Weonyeonjang in Jinan count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7(3): 9-17. 

  19. Park, J. C.(1998) A study on the groves for making enclosed village in rural human settlement circle -Centered on Jinan-gun region in Jeonbuk-do province,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6(3): 152-161. 

  20. Park, J. C.(1998) Comparative review of the village groves and seaside groves in Jeonbuk-do provin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6(2): 133-142. 

  21. Park, J. C.(2000) Relationship among village grove of Jinan-eub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Planners Association 35(5): 309-316. 

  22. Park, J. C.(2006) Concept and case of village grove. Paper Collection of Korean Studies 33: 233-263. 

  23. Park, J. C., B. S. Kim, S. H. Yun and S. M. Park(2004)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Neunggil village forest in Jina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0(3): 27-32. 

  24. Park, J. C., D. D. Gwan and G. S. Jung(2012) Comparison of complementary forest of village between Korea and China -Focused on Jinan in Korea and Qingzhou in Chin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8(2): 27-37. 

  25. Park, J. C., G. S. Jung and H. H. Jang(2003) Analysis on ground temperature arrangement function of Jinan Hacho village grov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9(4): 35-41. 

  26. Park, J. C., G. S. Jung, H. H. Jang and Y. S. Kim(2002) Comparison of the village groves between Youngnam and Honam mountainous settlement region -Centered on Jinan and Hamyang reg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0(1): 11-17. 

  27. Park, J. C. and J. H. Rho(2001) A review on enclosing groves of the village which standing stone of penis form is existing in Sunchang region -Centered on enclosing groves of Palwang and Taechon villag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2(2): 19-28. 

  28. Park, J. C., M. J. Kim, J. J. Kim and W. J. Jung(2004)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complementary village grove -Centered on Dubang village grove inWanju-gu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2(2): 13-18. 

  29. Park, J. C. and Y. W. Chun(2004) Shelterbelt effect on wind speed reduction at Gosapo complementary grove at Buan.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3(5): 325-330. 

  30. Shin, S. S., J. H. Rho and H. G. Kim(2008) A study on the seeing of prototype landscape and vegetational restoration design of the Bangdong village groves in Imsil-gu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6(3): 78-86. 

  31. Woo, J. M. and G. M. Ban(2008) Management condition and use direction of village forest in Chungbuk province. Chungbuk Development Institute 28(13): 1-380. 

  32. Yoon, J. I.(2010) A Study on Feng-Shui Meaning of the Old Village's BiBo(裨補) Forest -At the Village Forest of Goseong-gun-. Master's thesis of Graduate School Daegu Hanny University. 

  33. Yoon, Y. W. and Y. H. Nam(1999) A study on the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village woods -The key subject on Wonju a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7(1): 17-27. 

  34. 黎建力, 方卓林, ?傳國, 康敏明, ??躍(2001) 佛山市風水林樹??成調??, ??林業科技. 

  35. 關傳友(2002) 中國水土保持科學. 

  36. 祝功武(2007) 整理村落?"風水林" 建說錄色新農村, 中國城市林業. 

  37. 成俊(2009) ?南村落風水林?究進展, 山東大學 

  38. 古德全, 古炎坤(2009) 梅州客家村落居民, 風水林及其文化, 華南農林大學. 

  39.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