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리에 따른 마을비보숲의 식생 변화 - 진안 서촌 마을비보숲과 원연장 마을비보숲을 사례로 -
The Monitoring of Vegetation Change in Complementary Village Forest according to Management - Centered on Complementary Village Forests of Seochon and Weonyeonjang in Jinan County -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4 no.2, 2018년, pp.69 - 78  

박재철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장효동 (우석대학교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identifying vegetation change through monitoring representative complementary village forests according to different management. For this, two of complementary village forests around Mai mountain which many ones remain were selected. Those are complementary village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마이산 주변의 마을비보숲 중 자연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대표적인 숲인 서촌숲과 인위적인 관리가 대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원연장숲을 대상으로 장기적인 관리에 따른 숲의 식생 변화를 비교 모니터링하여 마을비보숲 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국적으로 마을 마다 마을비보숲이 필연적으로 존재한 이유는? 마음의 안정을 찾고자 하는 인간의 본성은 비어 있는 부분을 보완하여 온전하게 위요하고자 하여 전국적으로 마을 마다 마을비보숲이 필연적으로 존재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일제 식민지 시대 이후 새로운 경지정리 및 신촌 조성이 되기 전의 전통적인 마을들은 배산임수 할 수 밖에 없었고 마을 앞부분이 비게 되므로 비보숲이 존재할 수밖에 없었다.
마을비보숲의 모니터링 관련 연구의 단기간의 연구는? 마을비보숲의 모니터링 관련 연구로는 단기간의 연구와 장기간의 연구로 나눌 수 있는데, 단기간의 연구로는 Park and Han(2009)은 진안의 서촌숲과 원연장숲을 대상으로 5년간의 관리에 따른 모니터링을 통해 경운에 의한 변화와 천이에 의한 식생구조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적절한 관리와 천이를 병행하는 것이 종다양성과 종풍부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하였다. 나아가 Park and Han(2010)은완주군 두방 마을비보숲을 사례로 복원사업에 따른 7년 동안의 모니터링을 통해 후계목 조성에 의한 복원은 숲의 구조와 기능을 개선시키고 천이의 진행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고, 선택적 하예관리와 임상(林床)관리를 통해 천연갱신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마이산 주변의 마을비보숲 중 자연 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대표적인 숲은? 따라서 본 연구는 마이산 주변의 마을비보숲 중 자연 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대표적인 숲인 서촌숲과 인위적인 관리가 대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원연장숲을 대상으로 장기적인 관리에 따른 숲의 식생 변화를 비교 모니터링하여 마을비보숲 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Han, Bong Ho, Choi, Jin Woo, Noh, Tai Hwan, Kim, Ji Seok, 2012, Vegetation Distribution Status and Change for Twenty Four Years(1986-2010) of Seunghwanglim(Forest), Wonju, Kor. J. Env. Eco., 26(5), 741-757. 

  2. Jung, Kyoung Sook, 2017, Vegetation of Complementary Village Forest in Jinan, Ph. D. Thesis of The Graduate School Woosuk University. 

  3. Jung, Yeon Ok, Park, No Bok, Kwak, Jun Su, Jung, Sook Jin, 2010, an Illustrated Guide to Wild Flowers(spring), Pureunhaengbok Press. 

  4. Jung, Yeon Ok, Park, No Bok, Kwak, Jun Su, Jung, Sook Jin, 2010, an Illustrated Guide to Wild Flowers(summer), Pureunhaengbok Press. 

  5. Kim, Jong Won and Lee, Yul Kyung, 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World Science Press, 153-158. 

  6. Kim, Jong Won and Lim, Jeong Cheol, 2006, Phytosociological Review on the Traditional Village Forest, Article Collection of Korean Studies 33, Kyemyung University Press, 81-112. 

  7. Kim, Jong Won, 2013, an Illustrated Guide to Korean Flora Ecology Treasure 1, Nature and Ecology Press. 

  8.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System of Knowledge Information of National Species. 

  9. National Science Museum, 2016, Korean Wild Flowers. 

  10. Park, Jae Chul and Han, Sang Yub, 2009, The Monitoring of Complementary Village Grove -Case Study on Complementary Village Groves of Seochon and Weonyeonjang in Jinan Count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7(3), 9-17. 

  11. Park, Jae Chul and Han, Sang Yub, 2010, Monitoring of Complementary Forest of Village according to Restoration Project -in Case of Dubang Village in Wanju-gu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6(4), 45-51. 

  12. Park, Jae Chul, 2010, Background about establishment and remain of complementary village grove around Mai mountain,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5(3), 209-218. 

  13. Park, Jae Chul and Lee, Sang Hun, 2014, Village Forest in Jinan, Culture Institute of Jinan. 

  14. Park, Jae-chul, Jung, Kyoung Sook, Lee, Suk Woo, Kim, Young Suk, 2017, The Vegetation Structure Change of Seochon Complementary Village Forest in Jinan County during 14 Years(2002-2016),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5(3), 30-40. 

  15. http://www.doopedia.c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