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 간식 빈도에 따른 대전지역 고등학생의 학교매점 이용 실태와 건강매점에 대한 요구
Use of School Tuck-shop and Desire for Healthy Tuck-shop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Snack Frequency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2 no.5, 2013년, pp.507 - 518  

김연정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  서윤석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  정영진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usage of school tuck-shops by students and the desire for healthy tuck-shop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snack. From April 4 to April 13, 2012, a survey was conducted on 348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from six high school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s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 고등학생 대부분은 간식을 학교매점에서 구입하여 섭취하고 있으며, 판매되는 간식은 주로 탄수화물과 지방 위주의 고에너지 음식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는 대전지역 고등학생들의 건강간식 섭취 증진을 위해 건강매점을 도입하고자 할 때 도움이 되는 자료를 얻고자 대전시 고등학교 2학년생 348명(남 47.7%, 여 52.3%)을 대상으로 2012년 4월 4일부터 4월 13일까지 학교매점에서의 간식 빈도에 따라 주 5회 이상 간식군, 주 3~4회 간식군, 주 2회 이하 간식군으로 나누어 고등학생의 학교매점 이용 실태와 건강매점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전지역 일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매점에서의 간식 섭취 빈도를 주 2회 이하, 주 3~4회, 주 5회 이상으로 분류하여 학교매점 이용 실태, 건강매점과 건강간식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여 건강매점 도입 활성화에 필요한 대책 마련에 도움을 주고, 청소년들이 안전하고 건강에 좋은 간식섭취 행동을 할 수 있는 환경조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2~18세 청소년들중 간식을 섭취하는 비율 추이는?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의하면 12~18세 청소년들중 간식을 섭취하는 비율이 2001년에 90.3%, 2005년에 91.0%, 2009년에는 95.4%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청소년기는 성장 발달 및 성숙이 가속화되는 시기이다(An & Shin, 2001).
청소년기란? 4%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청소년기는 성장 발달 및 성숙이 가속화되는 시기이다(An & Shin, 2001). 이 시기의 청소년은 전체 에너지의 1/3~1/4 가량을 간식에서 섭취할 정도로 간식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크지만(Lee et al.
청소년들이 쉽게 사서 먹을 수 있는 식품들의 악영향은? , 2003; Yoo & Kim, 1994), 청소년들이 쉽게 사서 먹을 수 있는 식품들은 대체로 과자류나 청량음료로 당분이나 염분이 많거나 에너지 밀도가 지나치게 높은 식품들이다. 이와 같이 에너지 섭취량은 증가한 반면 필수 영양소의 함량은 매우 낮아 청소년의 비만과 영양섭취 불균형을 초래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Han & Joo,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n. G. S. & Shin. D. S. (2001). A comparison of the food and nutrient intake of adolescents between urban areas and islands in south Kyung-nam. Korean J Community Nutr. 6(3). 76-85. 

  2. Bere. E., Veierod. M. B. & Klepp. K. I. (2005). The Norwegian school fruit programme: evaluating paid vs. no-cost subscriptions. Preventive Medicine. 41. 463-470. 

  3. Cho. S. H. & Yu. H. H. (2007).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dietary habits and awareness of food nutrition labeling by girl's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2(5). 519-533. 

  4. Cullen. K. W., Hartstein. J., Reynolds. K. D., Vu. M., Resnicow. K., Greene. N. & White. M. A. (2007). Studies to treat or prevent peditric type 2 diabetes prevention study group. Improving the school food environment results from a pilot study in middle schools. J American Diet Assoc. 107. 484-489. 

  5. Doo. M. A. Seo. J. Y. & Kim. Y. H. (2009). Factors to influence consumption pattern of snack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Il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12). 1732-1739. 

  6. French. S. A., Story. M., Fulkerson. J. A. & Gerlach. A. F. (2003). Food secondary schools: a la carte, vending machines and food policies and practices. American J Public Health. 93. 1161-1167. 

  7. Han. Y. S. & Joo. N. M. (2005). An analysis on the factors of adolescence obesity. Korean J Food Culture. 20(1). 172-185. 

  8. Hwang. K. J. (2008). A research on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food labeling and selection behavior of confectionaries. Unpublished master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9. Han. G. S. & Cho, W. K. (2011). Study of dietary behaviors and snack intake patterns of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Korean J Society Food Culture. 26(5). 490-500. 

  10. Jung. B. M. & Choi. I. S. (2003). A study on obesity and food habit of adolescents in Yeosu, Jeonnam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8(2). 129-137. 

  11. Kim. S. H., Kim. K. Y., Kim. H. J., Lee. S. S. & Kim. S. Y. (2008). A survey on added sugar intakes from snacks and participation behaviors of special event days sharing sweet foods among adolescents in Korea. Korean J Human Ecology. 11(1). 5-19. 

  12. Kim. B. H., Park. B. C. & Lee. S. J. (2008). Relationship among consumption frequency of snacks containing trans fatty acid, food behaviors, body composition, and nutrient intakes of adolescents living in Kwang-ju Area. Korean J Food Culture. 23(3). 410-419. 

  13. Kim. H. J. & Kim. S. H. (2009). A Survey on added sugar intakes from snacks and participation behaviors of special event days sharing sweet foods among adolescents in Korea. Korean J Nutr. 42(2). 135-145. 

  14. Kim. H. K. & Kim. J. H. (2011). Comparison of life style, school achievement and snacking behaviors among underweight and overweight adolescents. Korean J Nutr. 44(2). 131-139. 

  15. Kim. K. R., Hong. S. A., Yun. S. H., Ryou. H. J., Lee. S. S. & Kim. M. K. (2012). The effect of a healthy school tuck shop program on the access of students to healthy foods. Nutr Res Pract. 6(2). 138-145. 

  16. Lee. H. J. & Hong. S. Y. (1993). A study on the high school girls' food habit and food preference relating to their body weight in Incho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9(2). 116-121. 

  17. Lee. J. S. & Ha. B. J. (2003). A study of the dietary attitude, dietary self-efficacy and nutrient intak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obesity indices in Gyeong-Nam. Korean J Community Nutr. 8(2). 171-180. 

  18. Lee. Y. S., Lim. H. S., An. H. S. & Jang. N. S. (2003). 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Paju: Kyomoonsa. 

  19. Lee. S. Y., Lee. S. S., Kim. G. M. & Kim. S. C. (2012). A study on the general and nutritional information of children's preference foods sold in the middle?high school stores. Korean J Community Nutr. 17(3). 302-311. 

  20. Moore. L. & Tapper. K. (2008). The impact of school fruit tuck shops and school food policies on children's fruit consumption: a cluster randomised trial of school in deprived area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62. 926-931.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08). Korea Health Statistics 200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IV-3).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0).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IV-3).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1).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IV-3).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2011). Nutrition & Food habits. Cheongwon: Yangseowon. 

  25. Neumark-Sztainer. D., French. S. A., Hannan. P. J., Story. M. & Fulkerson. J. A. (2005). School lunch and snacking patterns among high school students: associations with school food environment and policies. Int J Behav Nutr Phys Act. 2(14). 1-7. 

  26. Nam. K. M. (2012). Effect of healthy school tuck shop on snack preference and dietary behavior among adolescent. Unpublished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7. Park. I. J. & Park. Y. W. (2009). Survey on intake of snacks and self-purchased snacks due to lack of sleep in high school students in Gwangju. Korean J Food Culture. 24(3). 256-266. 

  28. Park. E. M. (2011). Current status of students' eating habits depending on the availability of healthy tuck shops and suggestions to stimulate healthy eating. Unpublished master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29. Sung. S. H., Yu. O. K., Sohn. H. S. & Cha. Y. S. (2007). A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according to gender and obesity statu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Jeonju.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8). 995-1009. 

  30. Seol. Y. J. (2011). Usage of school cafeteria and factors to influence the purchase of healthy foods of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Unpublished master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31. Wechsler. H., Devereaux. R. S., Davis. M. & Collins. J. (2000). Using the school environment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and healthy eating. Preventive Medicine. 31. 5121-5137. 

  32. Yoo. Y. S. & Kim. S. H. (1994). A study on the prevalence of obesity and the related factors among high school girl's. Korean Home Economy. 32(2). 185-196. 

  33. Yoo. J. Y. & Kim. Y. N. (2009). Survey of cookie consumption and nutrition labeling of cookie consumed in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4(2). 147-1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