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근거한 한국 여성의 경구피임약 복용과 치주질환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Oral Contraceptive Use and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Women 원문보기

디지털정책연구 =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11 no.12, 2013년, pp.569 - 576  

김기림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종양연구소) ,  노희진 (강원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성을 대상으로 경구피임약 복용과 치주질환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피임약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는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2008년과 2009년 결과를 이용하였고, 19-50세 폐경 전 가임여성 1,101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인구사회경제적 요인과 구강보건행태, 피임약 복용기간 및 치주질환 상태를 파악하여 chi-square 검정과 logistic regression 분석을 통해 경구피임약 복용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인구사회경제적 요인 중 연령과 결혼여부, 흡연상태가 경구피임약 복용과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현재 경구피임약 복용여부와 치은조직 상태는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치주질환 유병율은 연령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피임약 복용기간과 흡연, 칫솔질과 치간관리를 포함한 구강보건형태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logistic regression 분석 결과, 혼란변수 보정여부에 따라 큰 차이 없이 치주질환은 경구피임약 복용여부 및 복용기간과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oral contraceptive(OC) on periodontal disease. Research data was used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and 1,101 Korean women, aged 19 to 50 years with non-pregnant and premenopausal,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치주질환은 연령, 학력, 수입 등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흡연, 당뇨, 구강위생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17].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인구사회경제적 요인과 구강보건행태를 고려하여 경구피임약 복용과 치주질환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경구피임약이 아직도 치주질환의 위험요소로 인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피임약과 치주질환과의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여성의 경구피임약 복용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치주질환과 관련성이 높은 인구사회경제적 요인과 구강보건행태를 고려하여 경구피임약 복용과 치주질환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19-50세의 폐경 전 가임여성 1,101명 중 경구피임약 복용자는 약 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구피임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전문의약품으로 취급되는 미국이나 유럽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경구피임약 복용비율이 30-40% 인 반면, 우리나라는 일반의약품으로 분류되어 쉽게 구입할 수 있음에도 복용율이 3% 이하로 매우 낮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을 통해 경구피임약이 피임 외에 피부트러블 개선, 생리통 완화, 생리주기 조절, 난소암 예방 등 비피임적 효과들이 보고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경구피임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4]. 유방암의 재발을 높이거나 단기적 출혈 및 구토 등의 부작용에 관한 보고가 있지만, 건강한 여성에게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6].
경구피임약이을 이용한 피임방법은 어떠한 피임방법인가? 경구피임약은 여성들이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편리하게 임신을 조절할 수 있는 피임방법으로 임상에 도입된 후 지난 50년간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문의약품으로 취급되는 미국이나 유럽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경구피임약 복용비율이 30-40% 인 반면, 우리나라는 일반의약품으로 분류되어 쉽게 구입할 수 있음에도 복용율이 3% 이하로 매우 낮다.
경구피임약의 부작용은 무엇인가? 그러나 많은 연구들을 통해 경구피임약이 피임 외에 피부트러블 개선, 생리통 완화, 생리주기 조절, 난소암 예방 등 비피임적 효과들이 보고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경구피임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4]. 유방암의 재발을 높이거나 단기적 출혈 및 구토 등의 부작용에 관한 보고가 있지만, 건강한 여성에게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Thorneycroft, I.H., et al., Effect of low-dose oral contraceptives on androgenic markers and acne. Contraception, 60(5): p. 255-62. 1999. 

  2. Hannaford, P.C., et al., Cancer risk among users of oral contraceptives: cohort data from the Royal College of General Practitioner's oral contraception study. Bmj, 335(7621): p. 651, 2007. 

  3. Wong, C.L., et al., Oral contraceptive pill as treatment for primary dysmenorrhoea.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9(2): p. Cd002120, 2009. 

  4. Schindler, A.E., Non-contraceptive benefits of oral hormonal contraceptives. Int J Endocrinol Metab, 11(1): p. 41-7, 2013. 

  5. Gierisch, J.M., et al., Oral Contraceptive Use and Risk of Breast, Cervical, Colorectal, and Endometrial Cancers: A Systematic Review.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2013. 

  6. Hee, L., L.O. Kettner, and M. Vejtorp, Continuous use of oral contraceptives: an overview of effects and side-effects. Acta Obstet Gynecol Scand, 92(2): p. 125-36, 2013. 

  7. Musajo, F., et al., [Estradiol hormone receptors in human gingiva: preliminary results]. G Stomatol Ortognatodonzia, 3(1): p. 75-9, 1985. 

  8. Mariotti, A., Sex steroid hormones and cell dynamics in the periodontium. Crit Rev Oral Biol, Med, 5(1): p. 27-53, 1994. 

  9. Parkar, M.H., H.N. Newman, and I. Olse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of oestrogen and androgen receptor expression in human gingival and periodontal tissue. Arch Oral Biol, 41(10): p. 979-83, 1996. 

  10. Preshaw, P.M., M.A. Knutsen, and A. Mariotti, Experimental gingivitis in women using oral contraceptives. J Dent Res, 80(11): p. 2011-5, 2001. 

  11. Taichman, L.S. and S.A. Eklund, Oral contraceptives and periodontal diseases: rethinking the association based upon analysis of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J Periodontol, 76(8): p. 1374-85, 2005. 

  12. Preshaw, P.M., Oral contraceptives and the periodontium. Periodontol 2000, 61(1): p. 125-59, 2013. 

  13. Han, S.B., H.S. Moon, and H.J. Lee, [Epidemiological study of periodontal disease in rural Korea]. Taehan Chikkwa Uisa Hyophoe Chi, 24(10): p. 893-900, 1986. 

  14. Abdellatif, H.M. and B.A. Burt, A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ve importance of age and oral hygiene status as determinants of periodontitis. J Dent Res, 66(1): p. 13-8, 1987. 

  15. Haber, J., Cigarette smoking: a major risk factor for periodontitis. Compendium, 15(8): p. 1002, 1004-8, 1994. 

  16. Moimaz, S.A., et al., Smoking and periodontal disease: clinical evidence for an association. Oral Health Prev Dent, 7(4): p. 369-76, 2009. 

  17. Rheu, G.B., et al., Risk assessment for clinical attachment loss of periodontal tissue in Korean adults. J Adv Prosthodont, 3(1): p. 25-32, 2011. 

  18. Huppert, L.C., Vascular effects of hormonal contraception. Clin Obstet Gynecol, 1981. 24(3): p. 951-63. 

  19. Goldzieher, J.W., Hormonal contraceptives. Past, present, and future. Postgrad Med, 75(5): p. 75-7, 80, 83-6, 1984. 

  20. Goldzieher, J.W., Hormonal contraception: benefits versus risks. Am J Obstet Gynecol, 157(4 Pt 2): p. 1023-8, 1987. 

  21. Williams CL, S.G., Estrogens and progestins, in Goodman &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L.L. Hardman JG, Editor, New York: McGraw-Hill, p. 1411-1441, 1996. 

  22. Lindhe, J. and A.L. Bjorn, Influence of hormonal contraceptives on the gingiva of women. J Periodontal Res, 2(1): p. 1-6, 1967. 

  23. Knight, G.M. and A.B. Wade, The effects of hormonal contraceptives on the human periodontium. J Periodontal Res, 9(1): p. 18-22, 1974. 

  24. Locker, D., G.D. Slade, and H. Murray, Epidemiology of periodontal disease among older adults: a review. Periodontol 2000, 16: p. 16-33, 1998. 

  25. Albandar, J.M.,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of periodontal diseases. Dent Clin North Am, 49(3): p. 517-32, 2005. 

  26. Stamm, J.W., Epidemiology of gingivitis. J Clin Periodontol, 13(5): p. 360-70, 1986. 

  27. Tilakaratne, A., et al., Effects of hormonal contraceptives on the periodontium, in a population of rural Sri-Lankan women. J Clin Periodontol, 27(10): p. 753-7,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