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T3-L1 전지방세포에서 발효 삼정환의 지방 분화 억제 효과
Effect of Probiotics-Fermented Samjunghwan on Differentiation in 3T3-L1 Preadipocyt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 2013년, pp.1 - 7  

송미영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 교실) ,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 교실) ,  김호준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 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3T3-L1 전지방세포를 이용하여 발효 삼정환의 지방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삼정환을 5가지 주요 유산균으로 각각 발효시킨 후, Oil Red O 염색법으로 지방세포 분화 억제 여부를 알아보고, 이의 기전을 알기 위해서 지방생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transcription factor 및 지질 조절 효소의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하여 보았다. Oil Red O 염색 분석에서는 Lactobacillus plantarum, Enterococcus faecium으로 발효한 삼정환에서 지방구 수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transcription factor로 $C/EPB{\alpha}$, $PPAR{\gamma}$, UCP-2 및 콜레스테롤 조절과 관련된 효소인 HMG-CoA reductase의 4가지 유전자 발현 정도를 분석하였는데, 발효시키지 않은 삼정환의 경우 농도가 $100{\mu}L/mL$ 이상일 때 네 가지 항목에서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발효시켰을 때는 유산균의 종류에 따라 효과 억제효과가 있었는데,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한 삼정환이 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한 삼정환은 동일 농도의 발효하지 않은 삼정환과 비교했을 때, Oil Red O 실험에서 염색된 지방구 수가 더욱 감소하였으며, $PPAR{\gamma}$, UCP-2, HMG-CoA reductase의 경우 농도가 $200{\mu}L/mL$일 때 각각 35%, 57%, 54%로 5가지 발효 삼정환 중 가장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이에 지방분화 억제 효과를 가진 삼정환을 발효시키면 그 효과가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한 삼정환은 $PPAR{\gamma}$, UCP-2, HMG-CoA reductase의 유전자 발현조절을 통해 지방 분화를 억제시키는 것으로 밝혀져 발효 삼정환은 항비만 혹은 항고지혈증 약물로 개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mjunghwan (SJH) was fermented using five different probiotic bacterial strains (Lactobacillus plantarum, Enterococcus faecium, Pediococcus pentosaceus, Lactobacillus acidophilus or Bifidobacterium longum) separately. We examined the inhibition of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through Oil Red O sta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3T3-L1 전지방세포를 이용하여 발효 삼정환의 지방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삼정환을 5가지 주요 유산균으로 각각 발효시킨 후, Oil Red O 염색법으로 지방세포 분화 억제 여부를 알아보고, 이의 기전을 알기 위해서 지방생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transcription factor 및 지질 조절 효소의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하여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발효 삼정환의 지방 분화 억제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서 삼정환을 5가지 주요 유산균으로 각각 발효시킨 후, 3T3-L1 전지방세포의 분화 억제 활성과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C/EPBα), PPARγ, uncoupling protein(UCP)-2와 3-hydroxy-3 methylglutaryl coenzyme A(HMG-CoA) reductase의 유전자 발현 억제작용 등을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효식품 중 고추장은 어떻게 지방생성을 억제시키는가? 유산균 및 발효식품의 여러 건강 증진 작용 중 지질대사개선효과에 대하여 주목하여 보면, Lactobacillus acidophilus(15), Streptococcus faecalis(16), Lactobacillus plantarum(17) 및 Enterococcus faecium(18)의 콜레스테롤 저하효과가 밝혀져 있다. 또한 대표적인 발효음식인 고추장의 경우 3T3-L1 지방세포에서 지방축적을 억제시키고,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c(SREBP-1c)와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PPAR-γ)를 저하시켜 지방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19), 김치 유산균 분말의 항비만 효과 역시 밝혀진 바 있다(16). 이상과 같이 유산균 및 발효식품의 항비만 효과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 약물의 제품 개발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발효 한약이란? 이상과 같이 유산균 및 발효식품의 항비만 효과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 약물의 제품 개발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최근 발효한약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발효 한약이란 한약재를 유익한 종균으로 발효시켜 원래 한약이 가지는 약효를 증가시키거나 부작용을 줄이고 새로운 기능이 추가된 것을 말한다(20). 발효 한약은 약효성분의 체내흡수율과 생체이용률을 극대화시키고, 소화기 불내성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기존 한약의 효과를 증강시킬 뿐만 아니라(21) 장내 미생물의 균형을 도울 수 있는 장점(22)이 있어 최근 주목받고 있지만, 항비만 효과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sibutramine의 부작용은 무엇인가? 비만은 에너지 섭취와 소비간의 불균형에 의해 섭취가 소비를 능가할 때 과도하게 체지방이 축적되는 현상으로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및 동맥경화증 등 각종 질환의 발병률을 증가시키는 요소이다(2). 비만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약물 다수가 지방변, 오심, 구토, 두통, 불면증, 위장장애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3), 특히 많이 사용되어왔던 sibutramine의 경우는 최근 뇌졸중이나 심근경색과 같은 심혈관 질환의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부작용이 밝혀져 국내 판매가 금지되었다(4).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다양한 천연물로부터 비만에 적용 가능한 식품 혹은 약물소재를 찾고자 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KNHANES. Health behaviors and chronic disease statistics, 2010. http://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pageNo1&classType7. 

  2. Spiegelman BM, Flier JS. 2001. Obesity and the regulation of energy balance. Cell 104: 531-543. 

  3. Soon JY. 2008.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obesity. J Korean Soc Endocrinol 23: 223-233. 

  4. KFDA. http://www.kfda.go.kr/antidrug/index.do?nMenuCode 53&modeview&boardSeq2367. 

  5. Huh J. 1999. Dongyibogam. Bubin Press, Seoul, Korea. p132. 

  6. Lee EJ, Bae JH. 2011. Study on the alleviation of an alcohol induced hangover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by mulberry fruit. Korean J Food & Nutr 24: 204-209. 

  7. Kwon EH, Jang HS, Kim SW, Choi SW, Rhee SJ, Cho SH. 2007. Effects of mulberry juice and cake powders on blood glucose and lipid lowering and erythrocytic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Nutr 40: 199-210. 

  8. Kim AJ, Park SJ, Rho JO. 2008. Mulberry fruit extract consumption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hyperlipidemia in middle-aged men. Korean J Food & Nutr 21: 121-126. 

  9. Ko ST, Moon YH, Kim SO. 1973. Effect on hypertension of Rhizoma Atractylodis. Yakhak Hoeji 17: 103-110. 

  10. Han HK, Yoon SJ, Kim KH. 2009. Effects of compositae plants on plasma glucose and lipid level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674-682. 

  11. Sung NK, Kim SH, Seo YB, Oh AH. 1994. Effect on blood glucose, hypertension of Lycium chinense miller. J Herbology 9: 161-171. 

  12. Jeong HJ. 2005. Effects of samjunghwan on obesity and lipid metabolism in high fat diet rats. MS Thesis. Dongguk University Gyeongju, Korea. 

  13. Kim JH, Kim GW, Koo BS. 2009. Effects of Samjung-hwan (Sanjingwan) on obesity and lipid metabolism in rats with high fat diet. J Oriental Neuropsychiatry 20: 47-60. 

  14. An YT. 2011. Health functional food and probiotics.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Busan, Korea. p 32-43. 

  15. Gilliland SE, Nelson CR, Maxwell C. 1985. Assimilation of cholesterol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Appl Environ Microbiol 49: 377-381. 

  16. Ishihara K, Shin R, Shiina T, Yamamoto H, Isoda M. 1989. Influence of intestinal bacteria on cholesterol metabolism. In Intestinal Flora and Bio-Homeostasis. Mitsuoka T, ed. Japan Scientific Societies Press, Tokyo, Japan. p 121. 

  17. Jeun J, Kim S, Cho SY, Jun HJ, Park HJ, Seo JG, Chung MJ, Lee SJ. 2010. Hypocholesterolemic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KCTC3928 by increased bile acid excretion in C57BL/6 mice. Nutrition 26: 321-330. 

  18. Zacconi C, Bottazzi V, Rebecchi A, Bosi E, Sarra PG, Tagliaferri L. 1992. Serum cholesterol levels in axenic mice colonizeed with Enterococcus faecium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Microbiologica 15: 413-417. 

  19. Ahn IS, Do MS, Kim SO, Jung HS, Kim YI, Kim HJ, Park KY. 2006. Antiobesity effect of Kochujang (Korean fermented red pepper paste) extract in 3T3-L1 adipocytes. J Med Food 9: 15-21. 

  20. Kim KY, Song HJ. 2002. Herbal processology. Shinil Press, Seoul, Korea. p 547. 

  21. Kim YM. 2009. A study on the trend of researches in fermented herb medicines. MS Thesis. Kyungwon University, Gyeonggi-do, Korea. p 1-10. 

  22. Park JH, Kim HJ, Lee MJ. 2009. The role of gut microbiota in obesity and utilization of fermented herbal extracts. J Soc Korean Med Obes Res 9: 1-14. 

  23. Shin Yj, Kim HJ, Lee MY. 2009. The effects of fermentated Ephedra sinica on obese rats fed by high fat diet. J Oriental Rehab Med 19: 37-57. 

  24. Rosen ED, Walkey CJ, Puigserver P, Spiegelman BM. 2000.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adipogenesis. Genes Dev 14:1293-1307. 

  25. Jeon T, Hwang SG, Hirai S, Matsui T, Yano H, Kawda T, Lim BO, Ki D. 2004. Red yeast rice extracts suppress adipogenesis by down-regulating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nd gene expression in 3T3-L1 cells. Life Sci 75:3195-3203. 

  26. Cowherd RM, Lyle RE, McGehee RE Jr. 1999. Molecular regula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Semin Cell Dev Biol 10: 3-10. 

  27. Cornelius P, MacDougald OA, Lane MD. 1994. Regulation of adipocyte development. Annu Rev Nutr 14: 99-129. 

  28. Morrison RF, Farmer SR. 2000. Hormonal signaling and transcriptional control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J Nutr 130: 3116S-3121S. 

  29. Rosen ED, Macdougald OA. 2006. Adipocyte differentiation from the inside out. Nat Rev Mol Cell Biol 7: 885-896. 

  30. Dalgaard LT. 2011. Genetic variance in uncoupling protein 2 in relation to obesity, type 2 diabetes, and related metabolic traits: focus on the functional -866G>A promoter variant (rs659366). J Obes doi:10.1155/2011/340241. 

  31. Joseph JW, Koshkin V, Saleh MC, Sivitz WI, Zhang CY, Lowell BB, Chan CB, Wheeler MB. 2004. Free fatty acidinduced beta-cell defects are dependent on uncoupling protein 2 expression. J Biol Chem 279: 51049-51056. 

  32. Joseph JW, Koshkin V, Zhang CY, Wang J, Lowell BB, Chan CB, Wheeler MB. 2002. Uncoupling protein 2 knockout mice have enhanced insulin secretory capacity after a high-fat diet. Diabetes 51: 3211-3219. 

  33. Endo A. 1992.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HMG-CoA reductase inhibitors. J Lipid Res 32: 1569-1582. 

  34. Kim HT, Park JY, Lee GG, Kim JH. 2003. Isolation of a bacteriocin-producing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 from kimchi. Food Sci Biotechnol 12: 166-170. 

  35. Tamang JP, Sarkar PK. 1996. Microbiology of mesu, a traditional fermented bamboo shoot product. Int J Food Microbiol 29: 49-58. 

  36. Yadav H, Jain S, Sinha PR. 2007. Antidiabetic effect of probiotic dahi containing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Lactobacillus casei in high fructose fed rats. Nutrition 23: 62-68. 

  37. Pereira DIA, Gibson GR. 2002. Effects of consumption of probiotics and prebiotics on serum lipid levels in humans. Crit Rev Biochem Mol Biol 37: 259-281. 

  38. Simons LA, Amansec SG, Conway P. 2006. Effect of Lactobacillus fermentumon on serum lipids in subjects with elevated serum cholesterol. Nutr Metab Cardiovasc Dis 16:531-5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