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달래 추출물의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 효능
Inhibitory effect of Allium macrostemon extracts on adipogenesis of 3T3-L1 preadipocyte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2 no.5, 2020년, pp.441 - 449  

이주연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예주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진아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춘영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달래 열수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산달래를 전체(WAE), 비늘줄기(BAE), 잎(LAE)으로 분리하여 추출한 후 항산화 활성, 총 폴리페놀 함량,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BAE에 비해 WAE와 LAE는 유의적으로 높은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과 총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다.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능 역시 BAE에 비해 WAE와 LAE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산달래 전체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잎에 유효성분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LAE의 항비만 효능을 알아보았다. LAE는 농도의존적으로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감소시켰으며 이는 독성에 의한 3T3-L1 세포 사멸에 의한 것이 아님을 세포생존율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LAE의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능은 adipogenesis 관련 전사인자인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beta (C/EBPβ),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C/EBPα 유전자 발현의 억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lipogenesis에 필수적인 효소 stearoyl-CoA desaturase 1 (SCD1)의 유전자 발현을 저해하였다. 이를 통해 산달래 추출물 중 LAE는 adipogenic 전사인자와 SCD1 유전자 조절을 통해 지방전구세포 분화를 억제함을 밝혔고 항비만 기능성 물질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산달래가 항비만 효과가 있는 식품임을 입증하고 건강기능성식품 소재로서 상품화될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whole-plant (WAE), bulb (BAE), and leaf (LAE) extracts of Allium macrostem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adipogenic activities of WAE and LAE were superior to those of BAE, whereas the biological 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AE가 adipogenesis 과정에 관여하는 전사인자들의 유전자 발 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 몇몇 연구에서 산달래의 고혈당, 고지혈증 및 내장비만 예방효과 등의 결과를 보고하였으나 산달래의 항비만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Xie 등, 2008; Zhang 등, 2015; Zhang 등, 2012). 따라서 본 연구는 산달래를 전체, 비늘줄기, 잎 부분으로 분리하여 항산화능을 검증한 후, 각 시료들의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방세포의 비대는 어떻게 비만을 일으키는가? Hypertrophy는 지방세포의 부피(volume)가 커지는 것을 의미하고, hyperplasia는 지방세포의 수(number)가 증가하는 것으로 지방전구세포(preadipocyte)가 지방세포(adipocyte)로 분화 (differentiation)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Hypertrophy는 인슐린 감수성(insulin sensitivity) 저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증가, 면역세포 반응성 증가, 다량의 유리 지방산 방출로 인한 독성 유발 등과 같은 현상을 일으켜 비만으로 인한 질환의 원인이 된다(Choe 등, 2016).
Hypertrophy란? 비만은 지방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이며, 지방조직의 확장은 지방세포의 비대(hypertrophy)와 과형성(hyperplasia)으로 인하여 일어난다. Hypertrophy는 지방세포의 부피(volume)가 커지는 것을 의미하고, hyperplasia는 지방세포의 수(number)가 증가하는 것으로 지방전구세포(preadipocyte)가 지방세포(adipocyte)로 분화 (differentiation)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Hypertrophy는 인슐린 감수성(insulin sensitivity) 저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증가, 면역세포 반응성 증가, 다량의 유리 지방산 방출로 인한 독성 유발 등과 같은 현상을 일으켜 비만으로 인한 질환의 원인이 된다(Choe 등, 2016).
hyperplasia란? 비만은 지방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이며, 지방조직의 확장은 지방세포의 비대(hypertrophy)와 과형성(hyperplasia)으로 인하여 일어난다. Hypertrophy는 지방세포의 부피(volume)가 커지는 것을 의미하고, hyperplasia는 지방세포의 수(number)가 증가하는 것으로 지방전구세포(preadipocyte)가 지방세포(adipocyte)로 분화 (differentiation)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Hypertrophy는 인슐린 감수성(insulin sensitivity) 저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증가, 면역세포 반응성 증가, 다량의 유리 지방산 방출로 인한 독성 유발 등과 같은 현상을 일으켜 비만으로 인한 질환의 원인이 된다(Choe 등,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alogun O, Pei Y, Kang HW. Garlic Scape Extract Decreases Adipogenesis and Lipogenesis by Activating AMK-Activated Protein Kinase in 3T3-L1 Adipocytes. CDN. 4: 1608-1608 (2020) 

  2. Benzie IF, Strain JJ.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1996) 

  3. Brand-Williams W, Cuvelier M-E, Berset CLWT.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WT-Food Sci. Technol. 28: 25-30 (1995) 

  4. Chang E, Kim CY. Natural products and obesity: a focus on the regulation of mitotic clonal expansion during adipogenesis. Molecules. 24: 1157 (2019) 

  5. Choe SS, Huh JY, Hwang IJ, Kim JI, Kim JB. Adipose Tissue Remodeling: Its Role in Energy Metabolism and Metabolic Disorders. Front. Endocrinol. 7: 30 (2016) 

  6. Cignarelli A, Genchi VA, Perrini S, Natalicchio A, Laviola L, Giorgino F. Insulin and insulin receptors in adipose tissue development. Int. J. Mol. Sci. 20: 759 (2019) 

  7. Farmer, SR. Transcriptional control of adipocyte formation. Cell Metab. 4: 263-273 (2006) 

  8. Guo D, Bell EH, Mischel P, Chakravarti, A. Targeting SREBP-1-driven lipid metabolism to treat cancer. Curr. Pharm. Des. 20: 2619-2626 (2014) 

  9. Hamissa AMB, Seffen M, Aliakbarian B, Casazza AA, Perego P, Converti A. Phenolics extraction from Agave americana (L.) leaves using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reactor. Food Bioprod. Process. 90: 17-21 (2012) 

  10. Han IH, Kim J-H.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Diverse Parts of Welsh On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6: 426-434 (2017) 

  11. Im JS, Lee EH, Lee JN, Kim KD, Kim HY, Kim MJ. Sulforaphane and Total Phenolics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adish according to Genotype and Cultivation Location with Different Altitudes. HST. 28: 335-342 (2010) 

  12. Jung JE, Sin SM, Kim HM, Lee S, Choi K, Park KW, Ku JJ, Cho EJ. Screening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gastric cancer prevention activity from Korean folk plants. J. Cancer Prev. 16: 65-73 (2011) 

  13. Kim HJ, Lee M-J, Jang J-Y, Lee S-H. Allium hookeri Root Extract Inhibits Adipogenesis by Promoting Lipolysis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Nutrients. 11: 2262 (2019) 

  14. Kim K-H, Kim H-J, Byun M-W, Yook H-S.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Six Vegetables Containing Different Sulfur Compoun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577-583 (2012) 

  15. Kim NE, Seo DY, Cheon WY, Choi YM, Lee JS, Kim YH. Bioactive Nutritional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Peppers Consumed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9: 141-148 (2020) 

  16. Kim Y-H, Shon M-Y, Sung N-J. Antioxidant and Antimutagenic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White and Yellow Onions after Simulated Gastric Digestion. J. Life Sci. 14: 925-930 (2004) 

  17.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KSSO). 2019 Obesity Fact Sheet. Obesity Fact Sheet. 5: in press (2019) 

  18. Ksouri R, Megdiche W, Debez A, Falleh H, Grignon C, Abdelly C. Salinity effects on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leaves of the halophyte Cakile maritima. Plant Physiol. Biochem. 45: 244-249 (2007) 

  19. Lee CW, Seo JY, Lee J, Choi JW, Cho S, Bae JY, Sohng JK, Kim SO, Kim J, Park YI. 3-O-Glucosylation of quercetin enhances inhibitory effects on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lipogenesis. Biomed. Pharmacother. 95: 589-598 (2017) 

  20. Lowe CE, O'Rahilly S, Rochford JJ. Adipogenesis at a glance. J. Cell. Sci. 124: 2681-2686 (2011) 

  21. Makino T, Kanemaru M, Okuyama S, Shimizu R, Tanaka H, Mizukami H. Anti-allergic effects of enzymatically modified isoquercitrin ( $\alpha$ -oligoglucosyl quercetin 3-O-glucoside), quercetin 3-O-glucoside, $\alpha$ -oligoglucosyl rutin, and quercetin, when administered orally to mice. J. Nat. Med. 67: 881-886 (2013) 

  22. Manach C, Scalbert A, Morand C, Rmsy C, Jimnez L. Polyphenols: food sources and bioavailability. Am J Clin Nutr. 79: 727-747 (2004) 

  23. Moreno-Navarrete JM, Fernndez-Real JM. Adipocyte Differentiation. Adipose Tissue Biology. 69-90 (2017) 

  24. Morrison RF, Farmer SR. Hormonal signaling and transcriptional control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J. Nutr. 130: 3116S-3121S (2000) 

  25. Muni Swamy G, Ramesh G, Devi Prasad R, Meriga B. Astragalin,(3-O-glucoside of kaempferol), isolated from Moringa oleifera leaves modulates leptin, adiponectin secretion and inhibits adipogenesis in 3T3-L1 adipocytes. Arch. Physiol. Biochem. 1-7 (2020) 

  26. Nakane R, Iwashina T. Flavonol glycosides from the leaves of Allium macrostemon. Nat. Prod. Commun. 10: 1934578X1501000817 (2015) 

  27. Singleton VL, Orthofer R, Lamuela-Ravents RM.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Meth. Enzymol. 299: 152-178 (1999) 

  28. Wang X, Hai C. Redox modula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hypothesis of "Redox Chain" and novel insights into intervention of adipogenesis and obesity. Free Radic. Biol. Med. 89: 99-125 (2015) 

  29.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Obesity.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news-room/facts-in-pictures/detail/6-facts-on-obesity. Accessed Feb. 10, 2020. 

  30. Xie W, Zhang Y, Wang N, Zhou H, Du L, Ma X, Shi X, Cai G. Novel effects of macrostemonoside A, a compound from Allium macrostemon Bung, on hyperglycemia, hyperlipidemia, and visceral obesity in high-fat diet-fed C57BL/6 mice. Eur. J. Pharmacol. 599: 159-165 (2008) 

  31. Yao D, Luo J, He Q, Shi H, Li J, Wang H, Xu H, Chen Z, Yi Y, Loor J J. SCD1 alters longchain fatty acid (LCFA) composition and its expression is directly regulated by SREBP1 and $PPAR{\gamma}$ 1 in dairy goat mammary cells. J. Cell. Physiol. 232: 635-649 (2017) 

  32. Zhang Z, Wang F, Wang M, Ma L, Ye H, Zeng XJ. A comparative study of the neutral and acidic polysaccharides from Allium macrostemon Bunge. Carbohydr. Polym. 117: 980-987 (2015) 

  33. Zhang Z, Wang F, Wang M, Ma L, Zeng X. Extraction optimisa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vitro of polysaccharides from Allium macrostemon Bunge. Int. J. Food Sci. 47: 723-730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