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적양배추 추출물이 인체 유방암 세포 MDA-MB-231의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d Cabbage (Brassica oleracea L. var. capitata f. rubra) Extract on the Apoptosis in Human Breast Cancer MDA-MB-231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 2013년, pp.8 - 16  

남미경 (덕성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강금지 (덕성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체내 세포배양을 통한 적양배추 추출물의 항유방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세포활성, 세포사멸, ROS 축적 및 세포사멸 관련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였다. 적양배추 추출물을 0.5, 0.75, 1.0, 1.25, 1.5, 1.75 및 2.0 mg/mL의 농도로 24시간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MTT assay)을 분석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었다(p<0.05). 또한 세포사멸/괴사분석(Hoechst33342/ethidium bromide 염색법), flow cytometry assay, ROS 측정(DCF-DA 염색법) 등의 세포 화학적 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사멸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ROS 생성 또한 증가하였다. 특히 2.0 mg/mL의 농도에서는 다른 농도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사멸율을 나타내었으며, ROS 또한 다량으로 생성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5). RT-PCR을 통해 세포사멸관련 유전자인 Bcl-2, Bax, caspase-3의 mRNA 발현 정도를 관찰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Bcl-2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Bax와 caspase-3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Bcl-2/Bax의 비율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적양배추 추출물이 인체 유방암세포 MDAMB-231의 세포사멸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red cabbage extract (RCE) on cell death in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Cells were cultured in the presence 1.0, 1.5, and 2.0 mg/mL concentrations of RCE for 24 hours. MTT assays demonstrated that mitochondrial dehydrogenase activities decreased in a dose-dep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체내 세포배양을 통한 적양배추 추출물의 항유방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세포활성, 세포사멸, ROS 축적 및 세포사멸 관련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였다. 적양배추 추출물을 0.
  • 적양배추에 함유된 인돌, 안토시아닌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의 항암 효과는 보고되었지만 적양배추 추출물을 이용하여 유방암 세포에 대한 세포화학적 분석을 이용한 항암효과에 대한 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적양배추에탄올 추출물에 포함된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들의 복합물이 처리 농도에 따라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핵 염색법, flow cytometry를 통하여 확인하였고, 세포사멸과 관련된 유전자 Bcl-2, Bax, caspase-3의 mRNA 발현을 RT-PCR을 통해 적양배추의 항유방암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MTT, Hoechst와 EtBr염색법, FACS 분석의 결과 적양배추 처리 후 세포는 농도가 높을수록 세포 활성 저하와 세포사멸 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가 세포내에 축적되어 있는 ROS의 생성과 연관이 있는 지를 알아보았다. ROS 생성 정도를 시각화하였을 때 대조군은 DCF-DA로 염색된 세포가 적은 것으로 보아 아직 ROS의 생성이 활발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포사멸이란 무엇인가? 세포사멸(apoptosis)은 계획된 세포죽음(programmed cell death)으로 발생단계나 DNA 손상, 바이러스 감염 등에 의한 유전적 조절 하에서 일어나는 정교한 인체 방어 메커니즘이라는 점에서 세포괴사(necrosis)와 구별되어지는데 세포 분열과 함께 정상 조직 괴사의 조절과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세포의 항상성을 유지하기도 한다(5,6). 세포사멸을 결정하는데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을 하는데 그중에서도 Bcl-2 family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적양배추에 함유된 암 진행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 작용을 차단하는 성분은? Brassica species에 속하는 적양배추는 흰색 양배추보다는 과당과 포도당, 라이신, 비타민 C 등의 영양 성분이 더 많고 또한 셀레늄이 풍부하다(9). 적양배추는 indole-3-carbinol(I3C)를 함유하며 이는 암이 빠르게 진행되는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의 작용을 차단하는 기능이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10). 특히 적양배추의 붉은색을 내는 성분인 flavonoid류 중 anthocyanin은 항산화 효능이 뛰어나서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의 염증 반응을 줄이며, free radical에 의한 세포손상을 막아 준다(11,12).
적양배추 추출물의 항유방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세포사멸 및 ROS를 측정한 결과, 추출물 농도와의 상관관계는? 05). 또한 세포사멸/괴사 분석(Hoechst33342/ethidium bromide 염색법), flow cytometry assay, ROS 측정(DCF-DA 염색법) 등의 세포 화학적 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사멸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ROS 생성 또한 증가하였다. 특히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National survey of cancer patients; Analysis of national cancer survey. Seoul, Korea. p 10. 

  2. Kelsey JL, Berowitz GS. 1988. Breast cancer epidemiology. Cancer Res 48: 5615-5623. 

  3. Nkondjock A, Ghadirian P. 2005. Risk factors and risk reduction of breast cancer. Med Sci (Paris) 21: 175-180. 

  4. Dorai T, Aggarwal BB. 2004. Role of chemopreventive agents in cancer therapy. Cancer Lett 215: 129-140. 

  5. Park JH, Kim SR, Song ES, Im MW Lee BL, Lee WY. 2005. Placental apoptosis from pregnancies complicated by fetal growth restriction or preeclampsia: expression of Bcl-2, Bax and p53. Korean J Obstet Gynecol 48: 891-900. 

  6. Vaux DL. 1993. Toward an understanding of the molecular mechanism of physiological cell death. Proc Natl Acad Sci 90: 786-789. 

  7. Reed JC. 1994. Bcl-2 and the regulation of programmed cell death. J Cell Biol 124: 1-6. 

  8. Yang XH, Edgerton S, Thor AD. 2005. Reconstitution of caspase-3 sensitizes MCF-7 breast cancer cells to radiation therapy. Int J Oncol 26: 1675-1680. 

  9. Plumb GW, Chambers SJ, Lambert N, Wanigatunga S, Williamson G. 1997. Influence of fruit and vegetable extracts on lipid peroxidation in microsomes containing specific cytochrome P450s. Food Chem 60: 161-164. 

  10.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1996. Structure-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Free Radical Biol Med 20: 933-956. 

  11. Zhu C, Poulson HE, Loft S. 2000. Inhibition of oxidative DNA damage in vitro by extracts of brussels sprouts. Free Rad Res 33: 187-196. 

  12. Singh J, Upadhyay AK, Bahadur A, Singh B, Singh KP, Rai M. 2006. Antioxidant phytochemicals in cabbage (Brassica oleracea L. var. capitata). Sci Hortic 108: 233-237. 

  13. Heo HJ, Lee CY. 2006. Phenolic phytochemicals in cabbage inhibit amyloid $\beta$ protein-induced neurotoxicity. Food Sci Technol 39: 331-337. 

  14. Komatsu W, Miura Y, Yagasaki K. 1998. Suppression of hypercholesterolemia in hepatoma-bearing rats by cabbage extract and its component, S-methy-L-cysteine sulfoxide. Lipids 33: 499-503. 

  15. Lee SM, Rhee SH, Park KY. 1997. Antimutagenic effect of various cruciferous vegetables in Salmonella assaying system. J Food Hyg Safety 12: 321-327. 

  16. Cha BC, Lee HW, Choi MY. 1998.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nut species. Korean J Pharmacogn 29:28-34. 

  17. Sankhari JM, Thounaojam MC, Jadeja RN, Devkar RV, Ramachandran AV. 2011. Anthocyanin-rich red cabbage (Brassica oleracea L.) extract attenuates cardiac and hepatic oxidative stress in rats fed an atherogenic diet. J Sci Food Agric 92: 1688-1693. 

  18. Kataya HAH, Hamza AA. 2008. Red cabbage (Brassica oleracea) ameliorates diabetic nephropathy in rats. J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ltern Med 5: 281-287. 

  19. Bissett DL, Chatter JR, Hannon DP. 1991. Chronic ultraviolet radiation-induced increases in skin iron and the photopotentive effect of topically applied iron chelators. Photochem Photobiol 54: 215-223. 

  20. Stoewsand GS. 1995. Bioactive organosulfur phytochemicals in Brassica oleracea vegetables-A review. Food Chem Toxicol 33: 537-543. 

  21. Hoshino Y, Mio T, Nagai S, Miki H, Ito I, Izumi T. 2001. Cytotoxic effects of cigarette smoke extract on an alveolar type II cell-derived cell line. Am J Physiol Lung Cell Mol Physiol 281: L509-L516. 

  22. Comes F, Matrone A, Lastella P, Nico B, Susca FC, Bagnulo R, Ingravallo G, Modica S, Lo Sasso G, Moschetta A, Guanti G, Simone C. 2007. A novel cell type-specific role of p38alpha in the control of autophagy and cell death in colorectal cancer cells. Cell Death Differ 14: 693-702. 

  23. Ju YH, Carlson KE, Sun J, Pathak D, Katzenellenbogen BS, Katzenellenbogen JA, Helferich WG. 2000. Estrogenic effects of extracts from cabbage, fermented cabbage, and acidified brussels sprouts on growth and gene expression of estrogen dependent human breast cancer (MCF-7) cells. J Agric Food Chem 48: 4628-4634. 

  24. Gamet-Payrastre L, Li P, Lumeau S, Cassar G, Dupont MA, Chevolleau S, Gasc N, Tulliez J, Terce F. 2000. Sulforaphane, a naturally occurring isothiocyanate, induces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Cancer Res 60: 1426-1433. 

  25. Nakamura J, Purvis ER, Swenberg JA. 2003. Micromolar concentrations of hydrogen peroxide induce oxidative DNA lesions more efficiently than millimolar concentrations in mammalian cells. Nucleic Acids Res 31: 1790-1795. 

  26. Schumacker PT. 2006. Reactive oxygen species in cancer cells: Live by the sword, dye by the sword. Cancer Cell 10:175-176. 

  27. Lee BY, Hwang ES. 2002. Induction of senescene phenotypes in cancer cells by an acute growth arrest followed by ROS stress. Korean J Gerontol 12: 31-39. 

  28. Benhar M, Engelberg D, Levitzki A. 2002. ROS, stress-activated kinase and stress signaling in cancer. EMBO Rep 5: 420-425. 

  29. Adams JM, Cory S. 1998. The Bcl-2 protein family: arbiters of cell survival. Science 281: 1322-1326. 

  30. Kobayashi T, Ruan S, Clodi K, Kliche KO, Shiku H, Andreeff M, Zhang W. 1998. Overexpression of Bax gene sensitizes K562 erythroleukemia cells to apoptosis induced by selective chemotherapeutic agents. Oncogene 16: 1587-1591. 

  31. Oltvai ZN, Milliman CL, Korsmeyer SJ. 1993. Bcl-2 heterodimerizes in vivo with a conserved homolog, Bax that accelerates programmed cell death. Cell 74: 609-619. 

  32. Yang E, Zha J, Jockel J, Boise LH, Thompson CB, Kosmeyer SJ. 1995. Bad, a heterodimeric partner for Bcl-XL and Bcl-2, displaces Bax and promotes cell death. Cell 80:285-291. 

  33. Yu MH, Im HG, Hwang Bo MH, Lee JW, Lee IS. 2005. Induction of apoptosis by immature Prunus salicina Lindi. cv. Soldam.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21-227. 

  34. Kluck RM, Bossy-Wetzel E, Green DR, Newmeyer DD. 1997. The release of cytochrome c from mitochondria: a primary site for Bcl-2 regulation of apoptosis. Science 275:1132-1136. 

  35. Yang J, Liu X, Bhalla K, Kim CN, Ibrado AM, Cai J, Peng TI, Jones DP, Wang X. 1997. Prevention of apoptosis by Bcl-2: release of cytochrome c from mitochondria blocked. Science 275: 1129-11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