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적양배추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Activity of Red Cabbage Extract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0 no.2, 2014년, pp.16 - 26  

하현주 (동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춘복 (영산대학교 한국식품조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생리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적양배추를 이용하여 에탄올 및 열수 추출을 하여 마크로파지 세포에 LPS로 유도하여 염증성 질환 모델에서 세포생존, NO생성 억제, 단백질 단계에서 iNOS와 COX-2의 발현을 분석하였고 항산화 활성 측정을 위해 ABTS 라디칼 소거능FRAP 활성을 확인하였다. 각 추출물의 세포생존, NO생성 및 단백질 발현 분석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LPS에 대해 억제 및 저해 효능을 확인하였고 특히 0.25, 0.5 그리고 1.0 mg/mL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 및 FRAP 활성은 합성 항산화제인 BHT보다 활성이 좋지 않았지만 천연 항산화제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훌륭한 식품소재로서 기능성 식품 및 각종 질병에 대한 예방의 목적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nat effects of red cabbage extracts on RAW264.7 cells. Cell toxicity was determined by MTT assay. We evalu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ed cabbage extracts by measuring nitric oxide (NO), inducible NOS (iNOS) production, and cycloox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rostaglandin E2(PGE2)는 통증과 발열에 주로 관여하는 염증 인자로서 염증 반응이 일어나면 대식세포의 COX-2에 의해 생성된다(Wang MT et al 2007, Sarkar D et al 200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O를 포함하여 염증 반응에서 생성되는 물질 중 iNOS, COX-2의 생성 억제를 확인하여 항염증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다양한 효능을 나타내는 적양배추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실험을 통해 검증하여 생리 기능성 바이오 소재 개발 및 조리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기존의 Ju YH 등(2000)은 적양배추 추출물을 암세포에 처리했을 때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고 보고하였고 Nam MK ⦁ Kang KJ(2013)의 연구에서도 적양배추 에탄올 추출물이 높은 암세포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염증성 질환 관련 마크로파지 세포를 이용한 결과로 다른 항산화 함암 관련 적양배추의 생리활성적인 측면에서 유사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 4). 본 연구는 적양배추 추출물이 염증성 질환 세포주에 용이한 작용을 하는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 iNOS의 발현억제를 통해 NO의 생성 저해를 유도하는 것을 나타낸다. 하지만 추가적으로 각 단백질 혹은 사이토카인을 조절하는 주요 인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지금까지 결과들로 천연식품소재가 갖는 안정성을 강조하며 부작용 등의 문제에서도 자유로울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연구를 폭 넓게 접근하여 조리업과 외식업계에 적양배추의 특성에 관한 과학적 데이터를 제시함으로써 적양배추의 정보를 알리면서 농가의 소득 및 매출증대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어지는 바이다.
  •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적양배추 추출물을 이용하여 마크로파지 세포에 처리하여 염증성 cytokine, NO와 같은 매개물질을 세균내독소로 알려진 LPS에 대하여 저해 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RAW26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적양배추는 어떤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가? 또한, 식품에서 다양한 생리활성뿐 아니라 중요한 착색제로도 사용된다고 보고되었다(Singh J et al 2006). 적양배추는 항노화(Heo HJ & Lee CY 2006), 콜레스테롤 저하활성(Komatsu W et al 1998), 항균작용(Lee SM et al 1997; Cha BC et al 1998), 심장 및 간 보호효능(Sankhari JM et al 2011), 그리고 당뇨유발 쥐로부터 기능회복작용(Kataya HAH & Hamza AA 2008)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적양배추는 베타카로틴과 루테인 등에 의해 눈의 황변성을 저하시키는 효능에 따라 눈을 보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Nam MK & Kang KJ 2013).
적양배추는 일반 양배추보다 어떤 성분이 풍부한가? 적양배추는 일반 양배추보다 과당과 포도당, 라이신, 비타민 및 셀레늄이 풍부하다고 보고되고 있다(Plumb et al 1997). 특히 적양배추의 붉은색을 내는 성분인 안토시아닌은 항산화 효능이 우수하여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및 항암, 항염증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Zhu C et al 2000).
체내에 대한 산화적 요인이 유발하는 염증 반응이 만성적으로 일어나면 어떻게 되는가? 이처럼 체내에 대한 산화적 요인은 염증을 유발하는데 특히 흡연이나 음주, 비만, 독성물질에 의해 증가하면서 만성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yu JH et al 2003). 염증 반응이 만성적으로 일어날 때는 염증매개 물질이 과도하게 분비되어 암세포의 성장을 촉진하고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키며 동맥경화를 악화시키는 등 다양한 병리학적 기전에 관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Nishida T et al 2007; Cheon YP et al 2009). 염증 반응에서 대식세포(macrophage)는 병원체에 반응하여 iNOS와 cyclooxygenase-2(COX-2)를 생합성하여 NO 및 prostaglandin E2(PGE2)를 생성한다(Moncada S et al 1991; Strorck M et al 1994; Wink DA & Mitchell JB 1998; Jin HJ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hn G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with amount of purple sweet-potato powder.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6(1): 127-136. 

  2. Arapitsas P, Sjoberga PJR, Turner C (2008). Characteristic of anthocyanins in red cabbage using high resolution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photodiode array detection and electrospray ionization-linear ion trap mass spectrometry. Food Chem 109(1): 219-226. 

  3. Bridle P, Thimberlake CF (1997). Antocyanins as natural food colors-selected spects. Food Chem 58(1-2): 103-109. 

  4. Cha BC, Lee HW, Choi MY (1998).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nut species. Korean J Pharmacogn 29(1): 28-34. 

  5. Cheon YP, Mohammad LM, Park CH, Hong JH, Lee GD, Song JC, Kim KS. 2009. Bulnesia sarmienti aqueous extract inhibits inflammation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J Life Sci 19(4): 479-485. 

  6. Cho YJ, Ju IS, Chun SS, An BJ, Kim JH, Kim MU, Kwon OJ (2008).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flow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3): 276-281. 

  7. Gamet-Payrastre L, Li P, Lumeau S, Cassar G, Dupont MA, Chevolleau S, Gasc N, Tulliez J, Terce F (2000). Sulforaphane, a naturally occurring isothiocyanate, induces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Cancer Res 60(5): 1426-1433. 

  8. Heo HJ, Lee CY (2006). Phenolic phytochemicals in cabbage inhibit amyloid $\beta$ protein-induced neurotoxicity. Food Sci Technol 39(4): 331-337. 

  9. Ismaile, A., Marjan, Z. M., and Foong, C. W (2004) Total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ntent in selected vegetables. Food Chem 87(4): 581-586. 

  10. Jin HJ, Kim JS, Kang SS, Son KH, Chang HW, Kim HP (2010). Anti-inflammatory and anti-arthritic activity of the roots of Sophora flavescens. J Ethnopharmacol 127(3): 589-595. 

  11. Ju YH, Carlson KE, Sun J, Pathak D, Katzenellenbogen BS, Katzenellenbogen JA, Helferich WG (2000). Estrogenic effects of extracts from cabbage, fermented cabbage, and acidified brussels sprouts on growth and gene expression of estrogen dependent human breast cancer (MCF-7) cells. J Agric Food Chem 48(10): 4628-4634. 

  12. Kataya HAH, Hamza AA (2008). Red cabbage (Brassica oleracea) ameliorates diabetic nephropathy in rats. J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ltern Med 5(3): 281-287. 

  13. Kim SY, Ryu KS, Lee WC, Ku HO, Lee HS, Lee KR (1999). Hypoglycemic effect of mulberry leaves with anaerobic treatment in alloxan-induced diabetic mice. Korean J Pharmacogn 30(2): 123-129. 

  14. Komatsu W, Miura Y, Yagasaki K (1998). Suppression of hypercholesterolemia in hepatoma-bearing rats by cabbage extract and its component, S-methy-L-cysteine sulfoxide. Lipids 33(5): 499-503. 

  15. Ku KM, Kim HS, Kim BS, Kang YH (2009).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nstituents of pepper leaves from various cultivars and correlation between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nstituents. J Appl Biol Chem 52(2): 70-76. 

  16. Lee CB (2012). Anti-inflammation activity of water extracts from Hericium erinacium among medicinal mushrooms.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8(4): 233-242. 

  17. Lee J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added with freeze-dried purple sweet potato powder.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8(5): 279-292. 

  18. Lee MJ, Moon GS (2003). Antioxidative effects of Korean bamboo trees, Wang-dae, Som-dae, Maengjong-juk, Jolit-dae and O-juk. Korean J Food Sci Technol 35(6): 1226-1232. 

  19. Lee SJ, Kim YS, Hwang JW, Kim EK, Moon SH, Jeon BT, Jron YJ, Kim JM, Park PJ (2012).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antioxidative peptide from duck skin by-products that protects liver against oxidative damage. Food Res Int 49(1): 285-295. 

  20. Lee SJ, Sung NJ, Jeong HG, Shin JH, Chung YC, Seo JK (2008).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Prunella vulgar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2): 1535-1541. 

  21. Lee SM, Rhee SH, Park KY (1997). Antimutagenic effect of various cruciferous vegetables in Salmonella assaying system. J Food Hyg Safety 12(4): 321-327. 

  22. Ma JS, Kim WJ, Kim JJ, Kim TJ, Ye SK, Song MD, Kang H, Kim DW, Moon WK, Lee KH (2010). Gold nanoparticles attenuate LPS-induced NO production through the inhibition of $NF-{\kappa}B$ and $IFN-{\beta}/STAT1$ pathways in RAW 264.7 cells. Nitric Oxide-Biol Ch 23(3):214-219. 

  23. Moncada S, Palmer RM, Higgs EA (1991). Nitric oxide: physiolohy, pathophysiolohy, and pharmacology. Pharmacol Rev 43(2): 109-142. 

  24. Nam MK, Kang KJ (2013). The effect of red cabbage (Brassica oleracea L. var. capitata f. rubra) extract on the apoptosis in human breast cancer MDA-MB-231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 8-16 

  25. Nam MK, Kang KJ (2013). The effect of red cabbage (Brassica oleracea L. var. capitata f. rubra) extract on the apoptosis in human breast cancer MDA-MB-231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 8-16. 

  26. Nishida, T, Yabe Y, Fu HY, Hayashi Y, Asahi K, Eguchi H, Tsuji S, Tsujii M, Hayashi N, Kawano S (2007). Geranylgeranylacetone induces cyclooxygenase-2 expression in cultured rat gastric epithelial cells through $NF-{\kappa}B$ . Dig Dis Sci 52(8): 1890-1896. 

  27. Plumb GW, Chambers SJ, Lambert N, Wanigatunga S, Williamson G (1997). Influence of fruit and vegetable extracts on lipid peroxidation in microsomes containing specific cytochrome P450s. Food Chem 60(2): 161-164. 

  28. Ryu, JH, Ahn H, Kim JY, Kim YK (2003). Inhibitory activity of plant extracts on nitric oxide synthesis in LPS-activated macrophage. Phytother Res 17(5): 485-489. 

  29. Sankhari JM, Thounaojam MC, Jadeja RN, Devkar RV, Ramachandran AV (2011). Anthocyaninrich red cabbage (Brassica oleracea L.) extract attenuates cardiac and hepatic oxidative stress in rats fed an atherogenic diet. J Sci Food Agric 92(8): 1688-1693. 

  30. Sarkar D, Saha P, Gamre S, Bhattacharjee S, Hariharan C, Ganguly S, Sen R, Mandal G, Chattopadhyay S, Majumdar S, Chatterjee M (2008). Anti-inflammatory effect of allylpyrocatechol in LPS-induced macrophages is mediated by suppression of iNOS and COX-2 via the $NF-{\kappa}B$ pathway. Int Immunopharmacol 8(9): 1264-1271. 

  31. Singh J, Upadhyay AK, Bahadur A, Singh B, Singh KP, Rai M (2006). Antioxidant phytochemicals in cabbage (Brassica oleracea L. var. capitata). Sci Hortic 108(3): 233-237. 

  32. Storck M, Schilling M, Burkhardt K, Prestel R, Abendroth D, Hammer C (1994).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adhesion molecules in ex-vivo xenogeneic kidney perfusion. Transpl Int 7(Suppl 1): 647-649. 

  33. Wang MT, Honn KV, Nie D (2007). Cycloxygenases, prostanoids and tumor progression. Cancer Metastasis Rev 26(3-4): 525-534. 

  34. Wink DA, Mitchell JB (1998). Chemical biology of nitric oxide: Insights into regulatory, cytotoxic, and cytoprotective mechanisms of nitric oxide. Free Radic Biol Med 25(4-5): 434-456. 

  35. Yun HY, Dawson VL, Dawson TM (1996). Neurobiology of nitric oxide. Crit Rev Neurobiol 10(3-4): 291-316. 

  36. Zhu C, Poulson HE, Loft S (2000). Inhibition of oxidative DNA damage in vitro by extracts of brussels sprouts. Free Rad Res 33(2): 187-1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