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국내 간호 연구의 현황과 발전 과제
Problems and Prospects of Nursing Research on Job Stress in Korea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9 no.1, 2013년, pp.63 - 75  

조원섭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유명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job stress conducted in Korea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nursing research. Methods: A total of 395 articles (76 nursing science, 100 health science, 219 social science) selected from 'Korean Research Found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직무 스트레스 연구를 개괄적으로 고찰하여 간호학 분야 직무 스트레스 연구 현황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1991년부터 2010년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게재논문 395편을 간호학, 의약학, 사회과학 분야별로 나누어 비교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 스트레스 연구편수가 증가하는 경향을보였으나, 특정 연구방법을 사용한 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 본 연구는 직무 스트레스가 분야별로 어떻게 정의되어 있는지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총 395편 중 직무 스트레스의 개념 정의를 내린 논문은 112편(28.
  • 특정 분야와 주제에 대한 연구 논문들을 총괄하여 분석, 평가하는 노력은 불필요한 반복연구를 지양하고, 선행연구들을 정련시키고, 확대시키며,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Lee, 1996). 직무 스트레스는 복합적인 개념이고 간호학, 보건학, 심리학, 경영학 및 행정학 등 다양한 분야가 고유한 관점과 방법론을 통해 기여한 연구 분야이기도 하기에, 본 연구를 통해 체계적인 분류 틀을 적용하여 여러 학문 분야에서 발표된 직무 스트레스 논문의 구조, 내용 및 방법론을 고찰하여 직무 스트레스 간호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특히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검증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간호학 분야는 물론 직무 스트레스 연구 발전에 기여한 사회과학 및 의약학 분야의 논문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직무 스트레스 간호연구의 향후 발전을 위한 통찰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특히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검증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간호학 분야는 물론 직무 스트레스 연구 발전에 기여한 사회과학 및 의약학 분야의 논문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직무 스트레스 간호연구의 향후 발전을 위한 통찰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무 스트레스 연구의 의의는 무엇인가? 직무 스트레스 연구의 의의는 적어도 세 가지 측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우선, 직무 스트레스는 조직·인사관리 분야의 가장 전통적인 연구 주제 중 하나로, 직무 스트레스가 개인의 성과는 물론 조직 효과성을 낮추어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기업의 경제적 부담을 높인다는 현재의 이해는 1930년대 연구 이래 심리학 및 경영학 분야에 축적된 연구에 힘입은 바 크다. 또한, 직무 스트레스는 요통 등의 근·골격계 질환과 함께 흔한 작업장 건강 문제로 전 세계 보건학자들로부터 주목을 받아왔다. 1998년 직무 스트레스 연구와 교육 확대를 촉구한 <동경 선언>이후 1999년에는 미국의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이, 2000년에는 유럽 연합의 유럽위원회가 직무 스트레스 연구와 교육의 중요성을 공식적으로 알렸고 한국의 노동부 역시 2002년에 산업안전보건법 내 정신적 스트레스 예방 내용을 삽입하여 사회적 이슈로 다룬바 있다(Kang et al., 2005). 나아가 직무 스트레스는 한국 사회의 특징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최근 발표된 『2010년 국가경쟁력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근로자들은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회원국의 연평균 근로 시간인 1,766시간보다 31.7%가 많은 2,255시간을 일한다(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2010). 장기노동이 어느 정도 국가의 경쟁력 향상에 일조할 수 있겠으나, 다른 한편 긴 시간의 노동은 재해 발생 위험과 직무 스트레스를 높이기 때문에 이 문제를 동시에 다룰 연구가 필요하다 (Chung et al., 2007).
스트레스는 무엇에 영향을 미치는가? 스트레스는 현대인의 정신보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현대 사회의 전문화, 다원화로 인한 생활 양식 및 인간관계의 변화는 인간의 건강 수준과 제반 보건문제의 변화를 초래하였으며, 직장에서 경험하게 되는 업무과중이나 역할갈등 그리고 업무자율성의 결여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스트레스가 근로자들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Thoits, 1983).
직무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현대 사회의 전문화, 다원화로 인한 생활 양식 및 인간관계의 변화는 인간의 건강 수준과 제반 보건문제의 변화를 초래하였으며, 직장에서 경험하게 되는 업무과중이나 역할갈등 그리고 업무자율성의 결여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스트레스가 근로자들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Thoits, 1983).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소는 업무상 요구사항이 근로자의 능력이나 자원, 바램과 일치하지 않을 때 생기는 유해한 신체적 정서적 반응을 직무 스트레스라고 정의한다(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nderson, E., McDonald, D. D., Mikky, I., Brewer, T., Koscizewski, C., LaCoursiere, S., et al. (2003). Health care implications and space allocation of research published in nursing journals. Nursing Outlook, 51(2), 70-83. http://dx.doi.org/ 10.1016/S0029-6554(02)05451-9 

  2. Baltes, P. B., & Baltes, M. M. (1990).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successful aging: The model of 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 In P. B. Baltes & M. M. Baltes (Eds.), Successful aging: Perspectives from the behavioral sciences (pp. 1-34).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Burns N., & Grove S. K. (1993). The practice of nursing research: Conduct, critique and utilization (2nd ed.). Philadelphia: Saunders. 

  4. Chang, S. J., Koh, S. B., Kang, D. M., Kim, S. A., Kang, M. G., Lee, C. G., et al. (2005).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7, 297-317. 

  5. Choe, M. K., & Park, O. S. (1993). The state of art, problems, tasks, and prospects of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2(1), 1-74. 

  6. Choi, S. R., & Jung, H. S. (2004). An analysis of studies on clinical nurses' job stres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3(1), 40-47. 

  7. Chung, Y. K., Kim, H. R., Park, S. Y., Hong, J. Y., Koh, S. B., & Chang, S. J. (2007). The effect of job stress on unemployment.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9(2), 115-124. 

  8. Glasser, W. (2000). Counseling with choice theory: The new reality therapy. New York: HarperCollins Publishers. 

  9. Harrison, R. V. (1978). Person-environment fit and job stress. In C. L. Cooper & R. Payne (Eds.), Stress at work (pp. 175-209). New York: Wiley. 

  10. Herzlinger R. (1997). Market driven health care: Who wins, who loses in the transformation of America's largest service industry. New York: Perseus Books. 

  11. Kang D. M., Koh S. B., Kim S. A., Kim S. Y., Kim Y. J., Park, J. S., et al. (2005). Job stress: Work-related stress. Seoul: Korea Medical Book Publisher. 

  12. Kang, M. S., & Song, B. S. (2008, August). A study on the predictive, consequent, and moderating factors to analyze the job stress of emotional workers.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Jeju. 

  13. Kassarjian H. H. (1977). Content analysis in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4(1), 8-18. 

  14. Kim, J. H., & Yoon, S. N. (2002). An analysis of studies of workers' stress conducted in Korea from 1981 to 2000.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3, 618-628. 

  15. Kim, J. H. (2007). A review of studies on the job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s (SMIs) conducted from 1991 to 2004.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6(1), 15-27. 

  16. Kim, M. J., & Gu, M. O. (1984). The development of the stress measurement tool for staff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4(2). 28-37. 

  17. Klein, K. J., Dansereau, F., & Hall, R. J. (1994). Levels issues in theory development,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2), 195-229. 

  18. Ko, Y. K., & Kang, K. H. (200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collective-efficacy and job stress in the nursing staff.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2, 276-286. 

  19. Lee, K. M. (2008). Evolution of organizational analysis in the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1992-2007.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16(3), 161-211. 

  20. Lee, M. H. (1996). Analysis of studies on work stress in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8(1), 180-200. 

  21. Mantzoukas, S. (2008). A review of evidence-based practice, nursing research and reflection: levelling the hierarch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2), 214-223. 

  22. Mick, S. S., & Mark, B. A. (2005). The contribution of organization theory to nursing health services research. Nursing Outlook, 53(6), 317-323. http://dx.doi.org/10.1016/j.outlook.2005.07.002 

  23.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2010, December). National competitiveness report 2010. Seoul: Author. 

  24.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1999,January). Stress at work (Issue No. 99-101). Cincinnati, OH: Author. 

  25. Parker, D. F., & DeCotiis, T. A. (1983).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job stres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32(2), 160-177. http://dx.doi.org/10.1016/0030-5073(83)90145-9 

  26. Rizzo, J. R., House, R. J., & Lirtzman, S. I. (1970). Role conflict and ambiguity in complex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5(2), 150-163. 

  27. Shin, H. S., Hyun, M. S., Ku, M. O., Cho, M. O., Kim, S. Y., Jeong, J. S., et al. (2010). Analysis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Nursing - focused on research trends, intervention studies, and level of evidence in the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1), 139-149. http://dx.doi.org/10.4040/jkan.2010. 40.1.139 

  28. Shirey, M. R. (2009). Stress and coping in nurse managers: A qualitative descrip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diana University, Indiana, USA. 

  29. Staw, B. M. (1984). Organizational behavior: A review and reformulation of the field's outcome variable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35, 627-666. http://dx.doi.org/10.1146/annurev.ps.35.020184.003211 

  30. Suh, Y. O., Park, J. S., Yang, J. H., Kim, H. W., Suk, M. H., Shin, H. S., et al. (2007). Analysis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1013-1019. 

  31. Thoits, P. A. (1983) Dimensions of life events that influence psychological distress: An evaluation and synthesis of the literature. In H. B. Kaplan (Ed.), Psychosocial stress: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pp. 33-103). New York: Academic Press. 

  32. Yom, Y. H., Yee, J. A., & Ko, J. W. (2002).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limate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8, 605-614. 

  33. You, M. S. (2010). An analysis of research on health care organizations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20(1), 155-182. http://dx.doi.org/10.4332/ KJHPA.2010.20.1.1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