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설문 응답에 대한 신뢰도를 반영한 K-척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K-scale reflecting the confidence of survey responses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4 no.1, 2013년, pp.41 - 51  

박혜정 (대구대학교) ,  피수영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보화시대에 인터넷 중독의 심각성은 정보화 사회의 큰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인터넷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정보화의 역기능도 증가하고 있어 인터넷 중독은 사회적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초고속 무선인터넷 서비스 보급 및 넷북, 스마트 폰 등의 인터넷 접속기기가 더욱 다양화됨에 따라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검사 척도인 K-척도의 진단기준도 시대변화에 따라 변화가 요구되었으며 2012년 3월에 K-척도의 진단기준이 변경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2012년 변경된 K-척도의 기준으로 경북지역 대학생들의 인터넷 중독 실태와 K-척도 특징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K-척도에서 중독 진단을 위한 조사방식은 응답자가 직접 자신의 중독증상을 주관적 판단에 의해 응답하는 설문방식이므로 응답자의 고의적인 사실 숨김으로 인해 응답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응답오차를 줄이기 위해 변경된 K-척도에 응답자에게 설문 응답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신뢰도 값을 추가적으로 입력하여 분석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Information age, internet addiction has been a big issue in a modern society. The adverse effects of the internet addiction have been increasing at an exponential speed. Along with a great variety of internet-connected device supplies, K-scale diagnostic criteria have been used for the inter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 실태 및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2년 성인용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K-척도에 대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경북지역 컴퓨터 교양 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2012년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K-척도 설문에 응답자 자신의 설문 답변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신뢰도 값을 입력할 수 있게 설문 문항을 추가적으로 입력하여 응답 오차를 줄이며 분석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설계하였다. 분석결과 저학년일수록 잠재적 사용자 군과 고위험 사용자 군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논문에서는 설문 응답의 응답오차를 줄이기 위해 2012년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K-척도 설문에 응답자 자신의 설문 답변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신뢰도 값을 입력할 수 있게 설문 문항을 추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2012년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K-척도에 설문 응답자의 신뢰도 값을 추가적으로 입력하여 응답 오차를 줄이며 분석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한다.
  • 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연구는 청소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지만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Choi와 Ha, 2011; Jung 등, 2012; Kim과 Kim, 2012). 본 논문에서는 2012년의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K-척도에 대한 평가 및 대학생들의 인터넷 중독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 실태 및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2년 성인용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K-척도에 대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경북지역 컴퓨터 교양 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2012년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K-척도 설문에 응답자 자신의 설문 답변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신뢰도 값을 입력할 수 있게 설문 문항을 추가적으로 입력하여 응답 오차를 줄이며 분석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설계하였다.
  • SVM과 관련된 연구는 Vapnik (1995, 1998), Suykens (2000), Suykens와 Vanderwalle (1999, 2001), Hwang (2010, 2011), Shim (2011), Gjorgii 등 (2009)을 통해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포트벡터 기법을 반영한 군집분석을 통해 각 집단의 분류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 2012년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K-척도는 중독 진단을 위한 조사 방식이 응답자가 직접 자신의 중독증상을 주관적 판단에 의해 응답하는 설문방식이므로 응답자의 고의적인 사실 숨김으로 인해 응답오차가 생길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설문 응답의 응답오차를 줄이기 위해 2012년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K-척도 설문에 응답자 자신의 설문 답변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신뢰도 값을 입력할 수 있게 설문 문항을 추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2012년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K-척도에 설문 응답자의 신뢰도 값을 추가적으로 입력하여 응답 오차를 줄이며 분석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한다.
  • 전체 설문은 457명의 학생이 응답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457명 중에 설문분석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설문내용 중에 설문 응답에 대한 본인의 신뢰도를 입력하도록 하였다. 설문 응답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신뢰도 값이 70% 이상인 경우에는 신뢰도 분석 시 신뢰도 값이 높을 뿐만 아니라 분석대상 인원도 적절하게 포함되어 설문 응답에 대한 신뢰도 값이 70% 이상인 417명의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K-척도에서 응답오차가 생기는 원인은? 2012년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K-척도는 중독 진단을 위한 조사 방식이 응답자가 직접 자신의 중독증상을 주관적 판단에 의해 응답하는 설문방식이므로 응답자의 고의적인 사실 숨김으로 인해 응답오차가 생길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설문 응답의 응답오차를 줄이기 위해 2012년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K-척도 설문에 응답자 자신의 설문 답변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신뢰도 값을 입력할 수 있게 설문 문항을 추가하였다.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K-척도에서 고위험 사용자군은 어떤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는가? 집단별로 분류해 보면 고위험 사용자군은 두 가지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일상생활장애, 금단, 내성의 세 하위 요인이 모두 표준화점수 (T 점수)가 71점 이상이거나 총점이 표준화점수 71점 이상인 집단이며, 두 번째는 문항 총점 42점 이상 이거나 일상생활장애 14점 이상, 금단 12점 이상, 내성 13점 이상인 경우 고위험 사용자 군으로 분류된다.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은 고위험 사용자 군에 속하지 않으면서 일상생활장애 요인이 표준화 점수 66점 이상이거나 총점이 표준화 점수 66점 이상이며, 설문문항 관점에서는 총점이 39점 이상이고 41점 이하이거나 일상생활장애가 13점 이상인 경우에 분류된다 (Kim과 Kim, 2011).
인터넷 중독은 무엇인가? 인터넷 중독은 최근에 컴퓨터가 급속도로 보급되면서 역기능의 하나로 등장한 정신적, 심리적 현상이다. 특히 네트워크 환경과 웹 브라우저의 출현으로 인터넷 접근이 쉬워지면서 사회문제로 부각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oi, H. S. and Ha, J. (2011). A study on the factors inducing internet addiction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2, 437-448.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연구는 청소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지만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Choi와 Ha, 2011; Jung 등, 2012; Kim과 Kim, 2012).

  2. Gjorgii, M., Dejan, G. and Ivan, C. (2009). A multi-class svm classifier utilizing binary detection tree. Informetica, 33, 233-241. 

    인용구절

    인용 구절

    비모수적인 분류 방법으로 분류에 로버스트하다고 알려진 서포트벡터기계 (support vector machine; SVM) 기법이 있다. SVM과 관련된 연구는 Vapnik (1995, 1998), Suykens (2000), Suykens와 Vanderwalle (1999, 2001), Hwang (2010, 2011), Shim (2011), Gjorgii 등 (2009)을 통해 알 수 있다.

  3. Hwang, C. (2011). Asymmetric least squares regression estimation using weighted least squares support vector machine.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2, 999-1005. 

  4. Hwang, C. (2010). Variable selection for multiclassification by LS-SVM.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1, 959-965. 

  5. Jung, Y. T., Oh, J. A. and Lee, Y. J. (2012). The study on factors affecting committing behavior school violen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ternet addiction. Journal of Digital Policy, 10, 77-86.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연구는 청소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지만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Choi와 Ha, 2011; Jung 등, 2012; Kim과 Kim, 2012).

  6. Kim, J. W. and Kim, H. J. (2011). Factor analysis for improving adults internet addiction diagnosis.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15, 317-322. 

  7. Kim, H. J. and Kim, J. W. (2012). Comparative study of K-scale and the internet addiction diagnosis method using tolerance degree for internet use. Korea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5, 47-55. 

    인용구절

    인용 구절

    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연구는 청소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지만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Choi와 Ha, 2011; Jung 등, 2012; Kim과 Kim, 2012).

  8. Kuhn, H. W. and Tucker, A. W. (1951). Nonlinear programming. In Proceedings of 2nd Berkeley Symposium,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81-492. 

    인용구절

    인용 구절

    KKT (Karush-Kuhn-Tucker) 조건 (Kuhn과 Tucker, 1951)에 따라 다음의 결과를 얻게 된다.

  9. Lee, J. and Lee, D. (2005). An improved cluster labeling method for support vector clustering.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27, 461-464.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SVC 기법으로는 Yang 등 (2002)이 제안한 SVC 기반의 근접성 그래프 (proximity graph) 방식인 DD (delaunay diagram), MST (minimum spanning tree), k-NN (k-nearest neighbors)와 Lee와 Lee (2005)가 제안한 SVC 기반의 동적 시스템 (dynamical system) 방식인 SEP-CG (stable equilibrium point-complete graph)가 있다.

  10. Mercer, J. (1909). Functions of positive and negative type and their connection with the theory of integral equation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A, 415-446. 

    인용구절

    인용 구절

    >W는 Mercer 커널 (Mercer, 1909) K(xi, xk)= ∅(xi)∅(xk)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1. Scholkopf, B., Platt, J., Shawe-Taylor, J., Smola, A. J. and Williamson, R. C. (2001). Estimating the support of a high-dimensional distribution. Neural Computation, 13, 1443-1472.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SVC는 Sch¨olkopf 등 (2001)과 Tax와 Duin (1999)에 의해 공식화 되었다.

  12. Shim, J. and Hwang, C. (2011). Forecasting volatility via conditional autoregressive value at risk model based on support vector quantile reg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2, 589-596. 

  13. Suykens, J. A. K. (2000). Least squares support vector machine for classification and nonlinear modeling. Neural Network World, Special Issue on PASE 2000, 10, 29-48. 

    인용구절

    인용 구절

    비모수적인 분류 방법으로 분류에 로버스트하다고 알려진 서포트벡터기계 (support vector machine; SVM) 기법이 있다. SVM과 관련된 연구는 Vapnik (1995, 1998), Suykens (2000), Suykens와 Vanderwalle (1999, 2001), Hwang (2010, 2011), Shim (2011), Gjorgii 등 (2009)을 통해 알 수 있다.

  14. Suykens, J. A. K. and Vanderwalle, J. (1999). Least square support vector machine classifier. Neural Processing Letters, 9, 293-300.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비모수적인 분류 방법으로 분류에 로버스트하다고 알려진 서포트벡터기계 (support vector machine; SVM) 기법이 있다. SVM과 관련된 연구는 Vapnik (1995, 1998), Suykens (2000), Suykens와 Vanderwalle (1999, 2001), Hwang (2010, 2011), Shim (2011), Gjorgii 등 (2009)을 통해 알 수 있다.

  15. Suykens, J. A. K. and Vanderwalle, J. and De Moor, B. (2001). Optimal control by least squares support vector machines. Neural Networks, 14, 23-35.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비모수적인 분류 방법으로 분류에 로버스트하다고 알려진 서포트벡터기계 (support vector machine; SVM) 기법이 있다. SVM과 관련된 연구는 Vapnik (1995, 1998), Suykens (2000), Suykens와 Vanderwalle (1999, 2001), Hwang (2010, 2011), Shim (2011), Gjorgii 등 (2009)을 통해 알 수 있다.

  16. Tax, D. M. J. and Duin, R. P. W. (1999). Support vector domain description. Pattern recognition Letters, 20, 1191-1199. 

    상세보기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SVC는 Sch¨olkopf 등 (2001)과 Tax와 Duin (1999)에 의해 공식화 되었다.

  17. Vapnik, V. (1995). The nature of statistical learning theory, Springer-Verlag, New York. 

    인용구절

    인용 구절

    비모수적인 분류 방법으로 분류에 로버스트하다고 알려진 서포트벡터기계 (support vector machine; SVM) 기법이 있다. SVM과 관련된 연구는 Vapnik (1995, 1998), Suykens (2000), Suykens와 Vanderwalle (1999, 2001), Hwang (2010, 2011), Shim (2011), Gjorgii 등 (2009)을 통해 알 수 있다.

  18. Vapnik, V. (1998). Statistical learning theory, Springer, New York. 

    인용구절

    인용 구절

    비모수적인 분류 방법으로 분류에 로버스트하다고 알려진 서포트벡터기계 (support vector machine; SVM) 기법이 있다. SVM과 관련된 연구는 Vapnik (1995, 1998), Suykens (2000), Suykens와 Vanderwalle (1999, 2001), Hwang (2010, 2011), Shim (2011), Gjorgii 등 (2009)을 통해 알 수 있다.

  19. Yang, J., Estivill-Castro, V. and Chalup, S. K. (2002). Support vector clustering through proximity graph modelling. Proceedings of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2, 898-903. 

    crossref
    인용구절

    인용 구절

    SVC 기법으로는 Yang 등 (2002)이 제안한 SVC 기반의 근접성 그래프 (proximity graph) 방식인 DD (delaunay diagram), MST (minimum spanning tree), k-NN (k-nearest neighbors)와 Lee와 Lee (2005)가 제안한 SVC 기반의 동적 시스템 (dynamical system) 방식인 SEP-CG (stable equilibrium point-complete graph)가 있다.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