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산림 사면에서 토양수분 실측 자료, 평형증발 및 에디-공분산방법을 이용한 토양증발비교
Comparison of Soil Evaporation Using Equilibrium Evaporation, Eddy-Covariance and Surface Soil Moisture on the Forest Hillslope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22 no.1, 2013년, pp.119 - 129  

곽용석 (부산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상현 (부산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수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보전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compared equilibrium evaporation($E_{equili}$) eddy-covariance($E_{eddy}$) with soil moisture data($E_{SMseries}$) which were measured with a 2 hours sampling interval at three points for a humid forest hillslope from May 5th to May 31th in 2009. Accumulations of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지표면 토양 내에서 수분흐름방향이 위쪽일 때, DSL내 토양수분감소는 대부분 증발로 빠져나갈 것이라고 가정을 하였다. 설치된 낙엽 층과 지표면사이, 토양깊이 4, 10 cm의 측정된 토양수분 변화값과 에너지방정식으로부터 계산된 DSL를 이용하여 토양증발을 평가하였다(Gwak과 Kim, 2012).
  • 식(1)과 식(2)은 토양깊이 0와 4cm의 토양수분변화를 이용한 토양 증발율(Esoil(0-4), LT-1)이다(Gwak과 Kim, 2012). Litter는 낙엽 층 깊이로 20 mm로 가정하였다.
  • 지표 온도는 식(5)을 통해 구해지며, 대기온도와는 큰 차이가 없었다. 지표면의 장력을 직접적으로 측정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10 cm에서의 토양수분특성곡선(Soil Water Characteristic Curve)이 지표면에서도 같다고 가정을 하였다. Fig.
  • 2에서 회색 선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5월 22일(연구기간시작) 이전의 30 mm의 강우사상이 있어 충분히 토양이 포화 되었다고 판단하여 회색 선을 따라 장력이 변화한다고 가정하였다. T1, T2지점의 토양수분에 따른 장력은 비슷한 거동을 보이고 있다 (Fig.
  • 또한 14시의 DSL값이 실제 주요 증발 깊이 값으로 보이며, 14시는 하루 중에 지표온도와 토양온도가 가장 큰 차이가 나는 시간대(토양증발활동)이다(Fig. 5(b)), 그러므로 14시의 DSL을 하루 중의 평균 DSL1값으로가정하였다. DSL2는 일단위의 평균 기상자료로부터 결정된 DSL값이다.
  • 또한 A, B, C 방법들의 차이는 결정된 DSL 값 차이가 주요한 이유이다. 이러한 방법론적인 차이가 있음에도 토양증발의 전체적인 변화경향은 비슷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단순이동평균방법(Simple Moving Average)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디-공분산법, 평형증발식에 의해 평가된 토양증발(산)과 비교분석한 결과는? 1. 총 10일간 에디-공분산법, 평형증발식에 의한 누적 토양 증발량값은 각각 2.52, 3.28 mm이다. 세 지점에서 측정한 누적 토양 증발량값은 1.91~2.88 mm 범위로, 평형증발식보다는 작고, 에디-공분산방법에 대해서는 크거나 작게 평가되었다. 토양증발의 공간적 불균질성을 고려했을 때, 에디-공분산방법은 토양증발 값으로써 유효하다고 판단하였다. 2. X, Y지점에서 측정된 지표면 토양수분(0 cm)와 다른 토양깊이의 지표하 토양수분 (4, 10 cm)에 따른 10일 동안의 토양증발량 값 차이는 약 0.2 mm 정도로 평균값에 대해 10%정도로, 차이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본 연구에서 제안한 토양수분자료를 이용한 A, B, C방법들은 단순이동평균분석을 통해 에디-공분산 방법과 높은 관련성이 나타났다. 또한 각 방법의 누적 토양 증발량 값 차이가 크지 않아, 토양증발을 적절히 표현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B 방법이 세 방법 중에 가장 정확한 토양증발계산방법으로 판단된다. 이는 또한 토양증발평가에있어서, 14시의 DSL값이 수문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C 방법은 일평균 기상-토양수분자료를 이용한 방법으로, A, B 방법들에 비해 자료의 이용가능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4. 평형 증발식의 누적 증발량값은 에디-공분산법, A, B, C 방법들에 비해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증발율의 변화거동비교에서는 관련성이 낮기 때문에, 실제 토양증발평가 방법으로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는 방법으로 판단된다.
산림 생태계의 물 순환을 이해하고 정량화하는 것은 무엇을 위해 필요한가? 산림 생태계의 물 순환을 이해하고 정량화하는 것은 수자원 장기 계획 및 관리측면, 지속 가능한 수자원 개발, 생태계관리를 위한 필수요소이다(건설교통부, 2001; 김, 2003).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국토면적의 약 64%가 산림으로 이루어져 산림 유역 내의 물 순환에 대한 연구는 더욱 절실하다.
산림 유역 내의 물 순환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은?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국토면적의 약 64%가 산림으로 이루어져 산림 유역 내의 물 순환에 대한 연구는 더욱 절실하다. 그러나 산림 내 물 순환 요소들 중 토양증발에 대한 측정방법 및 정량화에 대한 정보는 미비하여, 수문-기상학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파악하기 힘들다. 지표면 토양증발량을 산정하기 위해서 여러 연구들을 수행하였으나, 연구의 대부분은 Penman식을 기초로 증발을 평가하였다(Penman, 1948; Staple, 1974; Konukcu,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luwihare, S., Watanabe, K., 2003, Measurement of evaporation on bare soil and estimating surface resistance,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129(12), 1157-1168. 

  2. Baker, J. M., Lascano, R. J., 1989, The spatial sensitivity of time domain reflectometry, Soil Science, 147, 378-384. 

  3. Camillo, P. J., Gurney, R. J., 1986, A resistance parameter for bare-soil evaporation models, Soil Science., 141(2), 95-105. 

  4. Gwak, Y. S., Kim, S. H., 2012, Soil evaporation evaluation using soil moisture measurements at a hillslope on a mountainous forest,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5(6), 557-568. 

  5. Kang, M. S., Kwon, H. J., Lim, J. H., Kim, J., 2009, Understory evapotranspiration measured by eddycovariance in Gwangneung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4), 233-246. 

  6. Kim, K. H., 2003, The challenges(2) of the future and research trend of forest hydrology,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6(6), 77-81. 

  7. Konukcu, F., 2007, Modification of the Penman method for computing bare soil evaporation, Hydrological Processes, 21, 3627-3634. 

  8. Ministry of Construction Transportation, 2001, water vision 2020 report. 

  9. Penman, H. L., 1948, Natural evaporation from open water, bare soil and grass. Proceedings of the Royal Scociety of London, series A: Mathematical and Physical Sciences, 103, 120-146. 

  10. Philip, J. R, de Vries, D. A., 1957, Moisture movement in porous materials under temperature gradient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Geophysical Union, 38, 222-232. 

  11. Scott, H. D., 2000, Soil physics: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applications, 1st ed., Iowa Stat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08-139. 

  12. Slatyer, R. O., McIlroy, I. C., 1961, Practical microclimatology, Melbourne, Australia, CSIRO. 

  13. Staple, W.J., 1974, Modified Penman equation to provide the upper boundary condition in computing evaporation from soil,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Proceedings, 38, 837-839. 

  14. Yamanaka, T., Takeda, A., Sugita, F., 1997, A modified surface-resistance approach for representing bare-soil evaporation: Wind tunnel experiments under various atmospheric conditions, Water Resources Research,. 33(9), 2117-2128. 

  15. Yamanaka, T., Takeda, A., Shimada, J., 1998, Evaporation beneath the soil surface some observational evidence and numerical experiments, Hydrological Processes, 12, 2193-2203. 

  16. Yamanaka, T., Yonetani, T., 1999, Dynamics of the evaporation zone in dry sandy soils, Journal of Hydrology, 217, 135-148. 

  17. Van de Griend, A. A., Owe, M., 1994, Bare soil surface resistance to evaporation by vapor diffusion under semiarid condi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30(2), 181-188. 

  18. Van Genuchten, M. T., 1980, A closed form equation for predicting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unsaturated soil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44, 892-89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