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산림 총일차생산량 예측의 공간적 확장을 위한 인공위성 자료와 기계학습 알고리즘의 활용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 and Remote-sensed Data to Estimate Forest Gross Primary Production at Multi-sites Level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5 no.6 pt.2, 2019년, pp.1117 - 1132  

이보라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생태연구과) ,  김은숙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생태연구과) ,  임종환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생태연구과) ,  강민석 (국가농림기상센터) ,  김준 (서울대학교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림생태계 내의 총일차생산량은 산림 자원 생산량과 직결되고, 산림생태계의 건강성, 산림식물계절 및 생태계 서비스의 중요한 지표가 된다. 이 연구에서는 인공위성 자료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우리 나라의 산림유역의 총일차생산량을 연구하였다. 에디공분산 타워가 있는 6개 지점에서의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산출물과 에디공분산타워의 총일차생산성으로 연구기간의 75%-80%에 해당하는 자료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훈련하고 나머지 기간으로 구축된 모델의 총일차생산성 예측 결과를 검증하였다. 모델을 구축할 때 MODIS 지상 산출물과 대기 산출물을 조합하여 새로운 입력자료(e.g., 포화수증기압차)를 모델의 입력자료(Processed MODIS)로 사용하였을 때와 이러한 과정 없이 QC(Quality control)만 거친 MODIS 산출물을 그대로 입력자료(Unprocessed MODIS)로 사용하였을 때의 총일차생산량을 비교해 보고 그 활용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추가로 MODIS 총일차생산량 산출물(MYD17)과 에디공분산 총일차생산성 및 기계학습 알고리즘 기반의 총일차생산성과의 상관관계를 보고 그 적합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기계학습 알고리즘은 Support Vector Machine (SVM)으로 산림생태계 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계학습 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기계학습 알고리즘 기반(SVM 모델)의 총일차생산량 예측 결과는 MODIS 총일차생산량 산출물(MYD17)보다 에디공분산 총일차생산량과 전반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특히 식생 성장을 시작하는 시점의 값을 좀더잘 예측하는 결과를 보였다. 단일 지역에서 Unprocessed MODIS 입력자료로 훈련된 SVM 모델 결과는 피어슨 상관계수 0.75 - 0.95 (p < 0.001), 6개의 연구 지점에서 훈련된 SVM 모델 결과는 피어슨 상관계수 0.77 - 0.94 (p < 0.001) 사이를 보였다. 이 결과는 훈련 자료에 다양한 이벤트들이 포함되면 모델의 예측력이 향상되는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위성영상의 산출물을 재계산하여 새로운 산출물을 내는 과정을 거친 위성 자료가 아니어도 그 예측력에는 크게 문제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est covers 30% of the Earth's land area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global carbon flux through its ability to store much greater amounts of carbon than other terrestrial ecosystems. The Gross Primary Production (GPP) represents the productivity of forest ecosystem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

Keyword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 자료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우리나라의 산림 유역의 총일차생산량을추정해 보고 그 활용가능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산림 지역에서 미항공우주국(NASA)의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자료를입력 자료로 사용하여 기계학습 알고리즘 SupportVector Machine (SVM) 모델을 훈련하고 모델의 예측 결과를 지상 측정 자료(에디공분산 플럭스 타워)의 총일차생산량 및 MODIS 총일차생산량과 비교해 보았다.
  • 모델의 입력자료는 MODIS의 지상 산출물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산출물로 계산한 MODIS 처리 입력자료(Processed MODIS)와 NASA 데이터센터에서 제공되는MODIS 지상 산출물 자료를 재계산 없이 그대로 사용한 입력자료(Unprocessed MODIS)를 사용하였다. 또한구축된 모델을 다른 지역들로 적용하였을 때 기계학습알고리즘 모델의 예측력을 분석하고 향후 전국 산림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 먼저 단일 지점에서 훈련된 모델을 다른 지역으로 확장하여 적용하는 방법은해당 지역들에 자료가 충분치 않거나 자료의 수집이 어려울 경우에 적용해 볼 수 있고 예측하고자 하는 지역범위가 매우 클 경우 모든 지역을 다 훈련 할 수 없을 때적용 가능성을 볼 수 있다. 또한 지상 측정 자료의 부재나 측정 기간이 짧아 모델의 입력자료나 검증자료로 사용 하지 못하는 지역에 확장 적용이 가능한지 고찰해 볼수 있도록 생태적 구성이 비슷하고 식물 생리 현상이 비슷한 곳에 적용이 가능한지를 고찰해 볼 수 있다.
  • 이 연구는 기계학습 알고리즘과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하여 산림의 총일차생산량(GPP)의 추정 가능성과 산림생태계에서의 위성자료 활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농림위성 알고리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가치와 위성자료와 기계학습 알고리즘 간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산림일차생산성을 추정하는 방법에 대한 보다 접근이 쉬운 방안을 제시하였다.
  • 이 연구는 기계학습 알고리즘과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하여 산림의 총일차생산량(GPP)의 추정 가능성과 산림생태계에서의 위성자료 활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농림위성 알고리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가치와 위성자료와 기계학습 알고리즘 간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산림일차생산성을 추정하는 방법에 대한 보다 접근이 쉬운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복잡한 산림 지형에서도 SVM 알고리즘이 적합한 알고리즘 중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가설 설정

  • , 2019)을 포함한다. 총일차생산량은 야간 CO2 플럭스 자료 보정과정에서 얻어진 기온과호흡(야간 CO2 플럭스) 간의 관계가 주간에도 변화가없다는 가정 하에 추정한 주간의 호흡량과 주간에 관측된 CO2 플럭스의 차이로부터 계산한다.
  • 에디공분산 플럭스타워가 위치한 곳을 임상도와 함께 확인해 본 결과, 해당지역의 MODIS 픽셀은 제주(Jeju) 지역을 제외하고 나머지 모두 90% 이상이 산림으로 구성된 픽셀이었다. 제주(Jeju) 지역도 픽셀의 80%가 산림으로 해당 지역들의MODIS 값들은 산림지역의 값으로 대표 될 수 있다고가정하였다. 산림의 종류는 완도(WD)의 경우 94%가 활엽수림, 삼척(SC)은 약 92%가 침엽수림으로 구성되어있고 나머지 지역들은 약 40~68% 활엽수림, 약 11~48 %침엽수림, 약 9~27 %가 혼효림으로 분류되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