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irror Neuron System 계산 모델을 이용한 모방학습 기반 인간-로봇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uman-Robot Interface based on Imitative Learning using Computational Model of Mirror Neuron System 원문보기

한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23 no.6, 2013년, pp.565 - 570  

고광은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  심귀보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장류 대뇌 피질 영역 중 거울 뉴런들이 분포한 것으로 추정되는 몇몇 영역은 목적성 행위에 대한 시각 정보를 기반으로 모방학습을 수행함으로써 관측 행동의 의도 인식 기능을 담당한다고 알려졌다. 본 논문은 이러한 거울 뉴런 영역을 모델링 하여 인간-로봇 상호작용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자동화 된 의도인식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거울 뉴런 시스템 계산 모델은 동적 신경망을 기반으로 구축하였으며, 모델의 입력은 객체와 행위자 동작에 대한 연속된 특징 벡터 집합이고 모델의 모방학습 및 추론과정을 통해 관측자가 수행할 수 있는 움직임 정보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제한된 실험 공간 내에서 특정 객체와 그에 대한 행위자의 목적성 행동, 즉 의도에 대한 시나리오를 전제로 키넥트 센서를 통해 모델 입력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상 로봇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대응하는 움직임 정보를 계산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irror neuron regions which are distributed in cortical area handled a functionality of intention recognition on the basis of imitative learning of an observed action which is acquired from visual-information of a goal-directed action. In this paper an automated intention recognition system is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서 RNNPB를 이용한 모방학습 기능을 구현한 Tani[3]나 인지-실행 계층적 모델을 구축한 Demaris [10]와 같은 기존의 연구에서와 같이 의도적 행동의 대상을 인지하는 과정과 이에 대한 모방을 통한 의도를 파악하는 과정이 각각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RNNPB의 학습 과정을 보완하고 이를 토대로 동적 행동의 관측 입력에 내재된 행동의 의도를 추정하기 위한 계산 모델을 구축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특정 객체와 그에 대한 활용 목적을 가지는 임의의 손동작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의도를 추론하기 위하여 행위자 역할의 사용자와 관측자 역할의 로봇 에이전트 간에 제한된 실험 공간 및 목표 객체에 대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구상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의도 인식 시스템입, 출력을 계산하였다. 의도 인식 수행을 위한 거울 뉴런 계산 모델은 선행 연구에 따라 Recurrent Neural Network with Parametric Biases (RNNPB)를 토대로 구축하였으며[3] 기존의 RNNPB를 개선하기 위해 구조, 파라미터 학습 과정을 보완하였다.
  • 본 논문은 거울 뉴런 시스템의 계산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HRI 시스템에서의 목적성 행위에 대한 의도 인식을 수행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연구하였다. 거울 뉴런 계산 모델은 RNNPB를 기반으로 구축되었으며 사슬 모델과의 연동을 통해 거울 뉴런이 분포한 대뇌 피질 영역의 주요 동작 수행 과정을 모델링하였다.

가설 설정

  • (s2) 다면체 형 객체를 집어 작업 공간 상에 위치 시키고 구체 형 객체는 작업 공간에서 집어 내린다.
  • (s3) 격자 무늬 객체들을 집어 작업 공간 위에 위치시키고 다른 객체는 작업 공간에서 집어 내린다.
  • 거울 뉴런 시스템의 계산 모델을 기반으로 목적성 행위의 의도 추정을 위한 모방학습 기능 구현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다음 그림 8과 같은 예시의 HRI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다. 본 프레임워크에는 다 관절 액츄에이터를 이펙터로 활용하는 로봇 에이전트를 관측자로 가정하고 관측자가 제어 가능한 행동 유발 특성이 내재되었다고 가정된 객체들로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하였다. 이 때 로봇 에이전트는 KINECT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3차원 움직임 데이터 및 객체 인식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응 행동을 계산 수행하게 되는데 구체화된 과정은 다음 그림 7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인 거울 뉴런 시스템의 동작 특성은 어떠한가? 뇌 과학 분야에서 수행된 대뇌 피질 상 거울 뉴런 영역에 대한 연구는 심리학, 인지과학 등의 다 학제 간 분야에서 적용되어 왔다. 일반적인 거울 뉴런 시스템의 동작 특성은 행동 유발성(affordance)을 내포하는 임의의 행위에 대하여 관측자(observer)와 행위자(actor)를 전제했을 때, 실제 행위를 수행하지 않지만 행위를 관찰하는 과정에서 관측자의 거울 뉴런 시스템 영역이 행위를 수행하는 것과 유사한 활성화를 보이게 된다는 점이다 [2]. 이러한 특성은 행동에 대한 모방학습을 통해 의도를 인지하는 고유의 뇌 기능에 대한 설명을 가능하게 하며, 많은 연구자들이 거울 뉴런 시스템의 모방학습 기능을 직접적으로 활용하거나, 모델링하게 된 근거이다.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의 주된 논제 중 하나는?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Human Computer Interaction, HCI) 연구 분야에서 주된 논제 중 하나인 “사람의 의도를 기계가 인식하는 방법”에 대하여 여러 연구가 선행된 바 있으나 아직 명확한 해답은 나오지 않았다. 이 문제에 대해 최근 뇌 기능의 모델을 통한 비선형적 해석 방법이 주목을 받고 있는데, 사람의 의도를 인식하기 위하여 그 의도를 내포한 행동에 대한 모방을 통한 시도가 그 예이다.
거울 뉴런 시스템의 동작 특성이 가능하게 하는 것은? 일반적인 거울 뉴런 시스템의 동작 특성은 행동 유발성(affordance)을 내포하는 임의의 행위에 대하여 관측자(observer)와 행위자(actor)를 전제했을 때, 실제 행위를 수행하지 않지만 행위를 관찰하는 과정에서 관측자의 거울 뉴런 시스템 영역이 행위를 수행하는 것과 유사한 활성화를 보이게 된다는 점이다 [2]. 이러한 특성은 행동에 대한 모방학습을 통해 의도를 인지하는 고유의 뇌 기능에 대한 설명을 가능하게 하며, 많은 연구자들이 거울 뉴런 시스템의 모방학습 기능을 직접적으로 활용하거나, 모델링하게 된 근거이다. 예를 들어, Buccino와 동료 연구자들은 거울 뉴런에 의한 행동인식 과정에 대한 신경생리학적 선행 연구를 수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G. Rizzolatti, M. A. Arbib, "Language within our grasp," Trends in Neurosciences, vol. 21, no. 5, pp. 1-3, 1998. 

  2. G. Buccino, F. Binkofski, and L. Riggio, "The mirror neuron system and action recognition," Brain and Language, vol. 89, no. 2, pp. 370-376, 2004. 

  3. J. Tani, M. Ito, Y. Sugita, "Self-organization of distributedly represented multiple behavior schemata in a mirror system: Reviews of robot experiments using RNNPB," Neural Networks, vol. 17, no. 8-9, pp. 1273-1289, 2004. 

  4. S. Thill, D. Caligiore, A. M. Borghi, T. Ziemke, and G. Baldassarre, "Theories and computational models of affordance and mirror systems: An integrative review," Neuroscience & Biobehavioral Reviews, vol. 37, no. 3, pp. 491-521, 2013. 

  5. K. Friston, "Hierarchical models in the brain," PLoS Computational Biology, vol. 4, no. 11, pp. 1-24, 2008. 

  6. J. C. Park, J. H. Lim, H. Choi, and D. S. Kim, "Predictive coding strategies for developmental neurorobotics," Fronteirs in Psychology, vol. 3, no. 134, pp. 1-10, 2012. 

  7. W. Gerstner and W. M. Kistler, "Spiking Neuron Models. Single Neurons, Populations, Plastic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8. F. Chersi, P. F. Ferrari, and L. Fogassi, "Neuronal chains for actions in the parietal lobe: a computational model," PLoS One, vol. 6, no. 11, pp. e27652, 2011. 

  9. F. Chersi, "Learning through imitation: a biological approach to robotics," Autonomous Mental Development, IEEE Transactions on, vol. 4, no. 3, pp. 204-214, 2012. 

  10. Y. Demiris, and B. Khadhouri, "Hierarchical attentive multiple models for execution and recognition of actions," Robotics and autonomous systems., vol. 54, no. 5, pp. 361, 2006. 

  11. D. R. Deepthi, K. Eswaran, "A new hierarchical pattern recognition method using mirroring neural network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Applications, vol. 1, no. 12, pp. 70-78, 2010. 

  12. K.-E. Ko, S. M. Park, J. Y. Kim, K. B. Sim, "HMM-based Intent Recognition System using 3D Image Reconstruction Dat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ol.22, No.2, pp.135-140, 2012. 04. 

  13. R. Poppe, "Vision-based human motion analysis: An overview," Computer Vision and Image Understanding, vol. 108, pp. 4-18,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