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화호 상류 기수역에서 입자성유기물에 대한 조류영향
Effect of Algal Fraction to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the Upper Regions of a Brackish Lake Sihwa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6 no.4, 2013년, pp.499 - 506  

최광순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  김세원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  김동섭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  허우명 (강원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수와 담수가 공존하는 시화호 상류 기수역에서 입자성유기물에 대한 조류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2005년과 2006년 3월부터 11월까지 기수역내 7개 지점을 대상으로 입자성유기탄소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식물플랑크톤 색소(chlorophyll a; Chl-a), pheophytin a; Pheo-a)의 시공간적 변동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POC 농도는 $1.0{\sim}76.6mgL^{-1}$ (평균 $7.4mgL^{-1}$)의 범위로 봄에 높은 계절변화를 보였으며, 염분성층이 강하고 고탁도층이 형성되는 중류부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살아있는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의 지표로 이용되는 Chl-a 농도는 $1.3{\sim}942.9{\mu}gL^{-1}$ (평균 $71.0{\mu}gL^{-1}$) 범위로 매우 높은 값을 보였고, 4월에 중류부에 최고치를 보여 POC와 유사한 변동을 보였다. 한편 Pheo-a 농도는 $1.4{\sim}1,545.5{\mu}gL^{-1}$ (평균 $59.9{\mu}gL^{-1}$)의 범위로, total Chl-a의 평균 44.2%로 죽거나 활성을 잃은 식물플랑크톤의 양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POC 농도는 식물플랑크톤 색소와 강한 양의 상관(Chl-a (r=0.93), total Chl-a (r=0.88), >Pheo-a (r=0.81))을 보였는데, 이는 시화호 기수역에서 식물플랑크톤이 POC의 중요한 기원임을 시사한다. 한편 식물플랑크톤 색소와 POC와의 회귀식으로부터 POC/Chl-a 비(82.9)보다 POC/total Chl-a 비(35.9)가 하구에서 조사된 POC/Chl-a 비(40~60)에 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시화호 기수역과 같이 Pheo-a 농도가 높은 수역에서는 조류기원성 POC를 산정하거나 또는 수체의 POC 농도에 대한 식물플랑크톤의 기여도를 평가할 때 Chl-a 농도와 함께 Pheo-a 농도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stimate the effect of algae to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the upper regions of brackish Lake Sihwa,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and phytoplankton pigments (chlorophyll a; Chl-a, pheophytin-a; Pheo-a), and their relationships were studied at seven sit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8a), 이 구역에 대한 수질오염의 원인규명과 체계적인 수질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화호 기수역에서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 POC의 시공간적 분포를 조사하고, Chl-a/Pheo-a 비, POC/ Chl-a 비 및 상관관계로부터 식물플랑크톤의 생리적활성도와 유기물기여도를 평가하여, 시화호 기수역의 수질관리대책 수립에 대한 기초자료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중의 유기물이 많아지면 나타나는 부작용은 무엇인가? 수중의 유기물은 수중생태계의 탄소순환과정에서 분해자의 에너지원과 상위 먹이연쇄과정으로 전달되는 에너지원으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한편, 그 함량이 많아지면 수중의 산소고갈현상, 정수처리의 장애 및 발암 물질 생성 등 수질을 악화시키기는 주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수질오염의 정도를 판단하는 지표로도 사용된다(Krasner et al., 1994; Wetzel, 2001).
호수에서 1차생산자의 역할을 하는 것은 무엇인가? 호수 내 유기물의 함량은 유역으로부터의 외부기원유기물과 호수내의 1차생산자에 의한 내부기원유기물에 의해 결정되는데, 호수의 영양상태가 증가할수록 자체생성유기물의 비중이 더 커진다(Wetzel, 2001). 그리고 대부분 호수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이 중요한 1차생산자의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호수생태계의 전반적인 대사과정을 파악하고 수질을 관리하는데 있어,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및 수중 유기물 함량에 대한 기여도 평가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시화호의 연간 유립수량은 얼마인가? 1). 수표면적에 대한 유역면적 비가 약 10배로 국내 다른 댐 저수지(30~50배)에 비해 작기 때문에 유역으로부터 유입되는 연간 유입수량은 214×106m3 yr-1 으로 총 저수량에 비해 적은 반면, 1997년부터 배수갑문을 통한 해수유통이 이루어져 이를 고려한 수리학적 체류시간은 15일 정도이다(MMAF, 2005). 그러나 해수유통에 의한 물순환은 대부분 방조제 근처에서 일어나고 시화호 상류부에 매우 제한적인 특성을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rin, L., X.A.G. Moran and M. Estrada. 2002. Phytoplankton size distribution and growth rates in the Alboran Sea (SW Mediterrancean): short term variablility related to mesoscale hydrodynamics.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24: 1019-1033. 

  2. Berg, J.A. and R.I.E. Newell. 1986.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in the composition of seston available to the suspension feeder Crassostrea virginica. Estuarine and Coastal Marine Science 23: 375-386. 

  3. Bodineau, L., G. Thoumelin, V. Beghin and M. Wartel. 1998. Particulate organic matter composition in the Estuarine Turbidity Maxima (ETM) of the Seine River estuary. Hydrobiologia 373/374: 281-295. 

  4. Choi, K., S.W. Kim, D.S. Kim, Y.T. Oh, W.M. Heo, Y.K. Lee and Y.S. Park. 2008a.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basic water quality in the upper regions of brackish Lake Sihwa with a limited water exchange.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41: 1-10. 

  5. Choi, K., S.W. Kim, D.S. Kim, W.M. Heo, Y.K. Lee, I.S. Hwang and H.J. Lee. 2008b. Eutrophication in the upper regions of brackish Lake Sihwa with a limited water exchange.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41: 216-227. 

  6. Colijn, F. 1982. Light absorption in the waters of the Ems-Dollard estuary and its consequences for growth of phytoplankton and microphytobenthos. Netherland Journal of Sea Research 21: 25-33. 

  7. Eppley, R.W., W.G. Harrison, S.W. Chisholm and E. Stewart. 1977.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surface waters off Southern California and its relationship to phytoplankton. Journal of Marine Research 35: 671-696. 

  8. Geider, R.J., H.L. MacIntyre and T.M. Kana. 1997. Dynamic model of phytoplankton growth and acclimation: responses of the balanced growth rate and the chlorophyll a:carbon ratio to light, nutrient-limitation and temperature.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148: 187-200. 

  9. Heo, W.M., B. Kim and M.S. Jun. 1999. Evaluation of eutrophication of lagoons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32: 141-151. 

  10. Horne, A.J. and C.R. Goldman. 1994. Limnology. McGraw-Hill College. Singapore. 

  11. Jonge, V.N.de. 1980. Fluctuation in the organic carbon to chlorophyll a ration for estuarine benthic diatom populations. Marine Ecology-Progress Series 2: 345-353. 

  12. Kim, B., K. Choi, C. Kim, U.H. Kim and Y.H. Kim. 2000. Effects of the summer monsoon on the distribution and loading of organic carbon in a deep reservoir, Lake Soyang, Korea. Water Research 34: 3495-3504. 

  13. KOWACO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2006. Elementary survey and research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Lake Sihwa. KOWACO. 

  14. Kransner, S.W., M.J. Sclimenti and E.G. Means. 1994. Quality degradation: implication for DBP formation. Journal of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86: 34-47. 

  15. Lee, P.Y., C.K. Kang, W.J. Choi, W.C. Lee and H.S. Yang. 2001.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the southeastern coastal bays of Korea. Journal of Korean Fisheries Society 34: 57-69. 

  16. Lee, Y.J., M.S. Kim, E.J. Won and K.H. Shin. 2006. An application of 13C tracer for the determination of size fractionated primary productivity in upper stream of Lake Shihwa.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39: 93-99. 

  17. Lorenzen, C.J. 1967. Determination of chlorophyll and pheopigments: spectrophotometric equation. Limnology and Oceanography 12: 343-346. 

  18. Magni, P. and S. Montani. 2000. Water chemistry variability in the lower intertidal zone of an estuary in the Seto Inland Sea, Japan: seasonal patterns of nutrients and particulate compounds. Hydrobiologia 432: 9-23. 

  19. Malone, T.C. 1977. Environmental regulation of phytoplankton productivity in the lower Hudson Estuary. Estuarine and Coastal Marine Science 5: 157-171. 

  20. McLusky, D.S. and M. Elliott. 2004. The Estuarine Ecosystem: Ecology, Threats, and Manag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1. ME (Ministry of Environment). 1999. KEOM Standard Method for Water. ME. 

  22. MMAF(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2005. The Project for Improvement of Marine Environment of Lake Sihwa. MMAF. 

  23. MMAF(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2006. The Project for Improvement of Marine Environment of Lake Sihwa. MMAF. 

  24. Nixon, S.W. 1990. Marine eutrophication: a growing international problem. Ambio 19: 101. 

  25. Park, Y.C., J.K. Park, M.W. Han, S.K. Son, M.K. Kim and S.H. Huh. 1997. Biogeochemical study of dissolved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under Oxic/Anoxic environment in Lake Shihwa. "The Se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 53-68. 

  26. Peterson, D.H. and J.F. Festa. 1984. Numerical simulation of phytoplankton productivity in partially mixed estuaries. Estuarine and Coastal Marine Science 19: 563-589. 

  27. Shin, J.K., D.S. Kim and K.J. Cho. 2000. Dynamics of water environmental factors and phytoplankton before and after inflow of seawater in Shingwa Reservoir.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9: 109-117. 

  28. Tsutsumi, H. 2006. Critical events in the Ariake Bay ecosystem: Clam population collapse, red tides, and hypoxic bottom water. Plankton Benthos Research 1: 3-25. 

  29. Wetzel, R.G. 2001. Limnology. 3th ed., Academic Press, NewYor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