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경항통 연구에서의 경혈 선정에 관한 계통적 연구
Systematic Review of Selection of Acupoints in Domestic Clinical Studies Related to Nuchal Pain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7 no.6, 2013년, pp.698 - 704  

이형은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이은정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오민석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which acupoints are selected to treat nuchal pain and attempt to analyze the meaning of those acupoints in current clinical trials. We searched ten electronic databases and manually checked related Korean journals and references. We included randomized co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무작위 대조군 임상연구(Randomized controlled trial, 이하 RCT), 대조군 임상연구(Controlled clinical trial, 이하 CCT), 임상 사례보고(Case report/series), 문헌고찰 (Literature review)을 포함한 국내의 경항통 연구에서 사용된 경혈의 빈도와 선정된 경혈의 한의학적 의미를 분석하였으며, 이는 향후 경항통 치료에 있어 경혈 선정에 대한 치료전략을 수립하는데 참고 자료로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혈의 경락별 분포의 분석 결과는? 경혈의 경락별 분포를 구체적으로 분석해보면, 十二經脈중 手足三陰經(8개, 9.75%)에 비하여 경락 유주 상 경항부를 직접 주행하는 手足三陽經(53개, 64.63%)이 빈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手少陰心經의 경혈은 사용되지 않았다. 또한 董氏奇穴을 제외하고 경항부를 직접 주행하는 手足三陽經과 督·任脈중 任脈과 足陽明胃經을 제외한 상위 6개의 경락이 연구에 사용된 전체 82개 경혈 중 대부분인 70개(85.36%)를 포함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경항통 치료에 사용되는 경혈의 선정은 경락 유주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된다.
경항통이란 무엇인가? 경항통은 경항부의 동통, 즉 목의 전후좌우에 발생된 동통을 말하며, 경항부의 운동 범위 제한이나 국소부위 압통 및 견갑부와 상지방산통을 특징으로 하고, 전체 인구의 67% 가량이 일생에 한 번 이상 경험하며 만성화되면 환자의 삶의 질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1). 경추 부위는 흉, 요추와는 달리 운동범위가 넓고 주변에 해부학적 구조물들이 많지 않기 때문에 손상의 가능성이 많고 경추 손상은 접촉, 과도한 사용, 비정상적인 힘의 전달, 비정상적인 정렬의 원인과 같은 자세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2).
현대의학에서 경항통의 원인은 무엇이 있는가? 현대의학에서 경항통의 원인으로는 경추 추간판 탈출증, 경추의 골관절염, 경부 척추증, 척추 종양, 사경증, 경부 염좌, 경부 신경성 긴장 등이 있으며3), 이 중 발생빈도가 높은 것은 경추 추간판 탈출증과 퇴행성 병변에 의한 것이고4), 치료는 대부분 보존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Wang, W.T., Olson, S.L., Campbell, A.H., Hanten, W.P., Gleeson, P.B. Effectiveness of physical therapy for patients with neck pain: an individualized approach using a clinical decision-making algorithm. Am J Phys Med Rehabil 82(3):203-218, 2003. 

  2. 문상복, 이원재, 홍창배, 김기진. 경부 신전근력운동 및 맥캔지(Mckinzie) 경부운동이 경부통 환자의 경부근력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6(3):687-698, 2007. 

  3.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학. 서울, 최신의학사, pp 583-586, 946, 2006. 

  4. 서울대학교병원 편저. 전공의진료 편람 가정의학과. 서울, 의학출판사 pp 497-499, 1994. 

  5.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 서울, 군자출판사. p 71, 2011. 

  6.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 서울, 군자출판사. pp 70-75, 2006. 

  7. 이준석, 이슬지, 남지환, 김기원, 이민정, 임수진, 전재윤, 송주현. 교통사고 후 경항통 발생환자 중 약침치료군, 추나치료군, 추나약침 병행치료군 비교연구. 대한침구의학회지 29(5):87-95, 2012. 

  8. 이재훈, 김준수, 양기영, 한상엽, 이차로, 신홍균. 교통사고 후 발생한 경항통에 대한 약침과 추나의 치료효과 비교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2(1):75-83, 2012. 

  9. 김선민, 김지용, 전병철. 교통사고로 유발된 경항통 환자의 경추 만곡도에 따른 통증 및 기능 호전도 비교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2(4):115-122, 2012. 

  10. 박재연, 윤경진, 최유진, 김민석, 유성진, 이참결, 노정두, 이은용. 갱년기 여성의 경항통에 대한 홍화 약침 치료의 임상적 고찰. 대한약침학회지 14(4):71-80, 2011. 

  11. 김민석, 박재연, 최유진, 윤경진, 이참결, 이은용, 노정두. 편타성 손상으로 인한 경항통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일반침 치료와 간접구 병행치료의 임상적 효과비교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8(6):85-91, 2011. 

  12. 박세운. 경항통에 대한 침치료의 무작위 대조군 연구. 원광대학교 한의학과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3. 박재연, 윤경진, 최유진, 김민석, 전재천, 이태호, 노정두, 이은용. 경항통의 침치료에 있어서 근위취혈방법과 근위취혈.원위취혈 병행방법에 의한 치료효과 비교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8(1):85-92, 2011. 

  14. 김소정, 장진영, 김남식, 김용석, 남상수. 만성 경항통 환자에 대한 근위취혈과 원위취혈 침치료 효과 비교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8(5):57-64, 2011. 

  15. 여경찬, 윤인애, 김지나, 문성일. 경항통 환자의 치료시 자세 이완치료 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5(1):1-9, 2010. 

  16. 전현정, 김성환, 김지현, 이세민, 신화영, 이윤규, 이봉효, 정태영, 김재수, 이경민, 임성철. 교통사고로 유발된 경항통 환자 197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7(2):143-154, 2010. 

  17. 박지혜, 권희완, 성선희, 이혜경. 風池穴(GB20)과 中渚穴(TE3)이 경항통에 미치는 효과. 국제통합대체의학회지 6(1):47-56, 2010. 

  18. 전태동, 이한길, 홍서영, 허동석, 윤일지. 교통사고로 유발된 경항통 환자의 근에너지기법(MET)의 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19(1):125-134, 2009. 

  19. 오원교, 이유진, 신병철. 거북목증후군의 경추만곡 호전에 대한 봉추나요법과 침술의 효과와 방사선학적 평가방법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19(1):113-124, 2009. 

  20. 정원희, 정지은, 서상경, 강준혁, 이창희. 교통사고로 유발된 경항통 환자의 근막이완술의 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4(2):21-29, 2009. 

  21. 이휘용, 송범용, 육태한, 강지숙, 홍권의. 경항통 환자에 대한 원위취혈 및 근위취혈의 침치료 직후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5(6):183-192, 2008. 

  22. 류기준, 김지형, 안건상, 이제균, 권승로. 경추 Disc Bulging과 Protrusion 및 Uncovertebral Joint Arthrosis 소견을 보인 경항통 환자를 대상으로 보존적 치료와 앙와위 경추 신전법 및 교정법을 병용한 치험 1례.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2(2):33-40, 2007. 

  23. 이경열. 경항부 통증 환자의 경부 추나와 침(acupuncture)의 병합요법 효과. 포천중문 의과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4. 박서영, 김재수, 고경모, 최성훈, 이윤규, 이윤경, 이경민, 이봉효, 임성철, 우창훈, 안희덕, 정태영, 서정철. 교통사고로 유발된 경항통 환자의 추나요법의 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4(6):37-44, 2007. 

  25. 류헌식, 전성하, 박동수, 이수길. 과소전만된 경항통 환자에 대한 추나요법 임상연구.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1(2):11-20, 2006. 

  26. 오세춘, 박원형. 추나요법의 경항통 치료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추나의학회지 6(1):1-9, 2005. 

  27. 서정철, 서보명, 김성웅, 이경민, 윤종석, 이세연, 김경운, 이윤경, 임성철, 정태영, 한상원, 황재옥. Rainbow Power Therapy의 경항통에 대한 효과.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1(2):147-159, 2004. 

  28. 이채우, 조태성, 박인범, 김상우, 안창범, 송춘호, 윤현민, 장경전. 동씨침의 경항통 치료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2):50-67, 2003. 

  29. 김영욱, 이경민, 김성웅, 이세연, 서정철, 정태영, 임성철, 한상원. Pain Disability Index와 Visual Analogue Scale을 이용한 경항통에 대한 팔체질침의 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0(1):202-208, 2003. 

  30. 강영화, 김효은, 조명제, 김태우, 윤기붕, 김은영. 연부조직 손상으로 인한 경항통 환자의 봉약침 치료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9(6):67-79, 2002. 

  31. 김효은, 강영화, 조명제, 김태우, 김은영, 나창수. 연부조직 손상으로 인한 경항통 환자의 홍화 약침 치료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9(4):112-123, 2002. 

  32. 정광식, 이인선. 경항통에 전신조정술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임상적 고찰.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11(2):15-26, 2001. 

  33. 조은희, 조남근, 허태영, 윤민영, 문형철. 경항통에 대한 임상적 연구. 한국전통의학지 11(1):21-32, 2001. 

  34. 김기옥, 이종수. 추나요법이 경항통에 미치는 임상적 효과. 경희한의대논문집 22(1):307-325, 1999. 

  35. 이병렬, 이현, 박태균. 경항통환자 50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6(2):69-82, 1999. 

  36. 유원근, 이명종. 항강증에 대한 간섭파치료기의 한의학적 임상응용에 관한 연구. 한방재활의학회지 8(1):64-71, 1998. 

  37. 하지용. 경항통에 대한 동의학적 병리 및 임상자료. 대한동의병리학회지 10(1):6-10, 1996. 

  38. 윤태식, 문재호, 신정순. 경추부 신경근병변의 재활치료에 대한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11(2):130-139, 1987. 

  39. 정선희, 박동석, 남상수, 이재동, 최도영, 안병철, 이윤호, 최용태. 항통(項痛) 환자 치료의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5(1):81-97, 1998. 

  40. 구희서, 정진우 공역. 목의 동통과 치료. 서울, 신문사. pp 13-14, 1992. 

  41. 中醫硏究院主編. 중의증상감별진단학. 북경, 인민위생출판사. pp 170-173, 1987. 

  42. 양유걸. 黃帝內經素問譯釋. 서울, 일중사. pp 119-123, 142-144, 162, 211, 235-237, 244-247, 251-253, 1991. 

  43. 장중경. 중경전서. 서울, 대성문화사. p 50, 88, 103, 108, 109, 1993. 

  44. 공정현. 만병회춘. 서울, 일중사. p 3, 1991. 

  45. 전국 한의과대학 재활의학과교실. 동의재활의학과학. 서울, 서원당. pp 281-306, 1995. 

  46. 허준. 동의보감. 서울, 법인문화사. pp 497-498, 2005. 

  47. 임준규, 신현대. 동의물리요법과학. 서울, 고문사. pp 5, 13-29, 36-41, 1986. 

  48. 윤창렬, 김용진 편저. 난경. 대전, 주민출판사. p 471, 539, 2002. 

  49. 임윤경, 김준표, 김태한. 대학경락경혈학 각론 上, 下. 대전, 오비기획. p 337, 763, 768, 969, 975, 2007. 

  50. 김선호. 선호 영추. 대전, 주민출판사. pp 135-174, 2003. 

  51. 전국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편찬위원회. 유편황제내경. 대전, 주민출판사. p 227, 381, 2005. 

  52. 王肯堂. 六科證治準繩傷寒篇. 서울, 大成出版社. pp 106-108, 1992. 

  53. 김현욱, 김성수, 강정아, 남동우, 김은정, 홍권의, 김성철, 이재동, 김갑성, 이건목. 경항통에 침치료를 시행한 무작위대조군연구(RCT)들에 대한 계통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6(2):103-123, 2009. 

  54. Xu, S.J., Liang, Z.H., Fu, W.B. Chronic neck pain of cervical spondylosis treated with acupuncture and moxibustion in terms of the heart and kidney theor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Zhongguo Zhen Jiu. 32(9):769-775, 2012. 

  55. Liang, Z.H., Di, Z., Jiang, S., Xu, S.J., Zhu, X.P., Fu, W.B., Lu, A.P. The optimized acupuncture treatment for neck pain caused by cervical spondylosis: a study protocol of a multicentr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rials 13: 107-114, 2012. 

  56. Dong, W.K., Lin, X.H. Clinical observation on cervical spondylosis of neck type treated with acupuncture at original and terminal points of trapezius. Zhongguo Zhen Jiu 23(3):211-214, 2012. 

  57. Matsubara, T., Arai, Y.C., Shiro, Y., Shimo, K., Nishihara, M., Sato, J., Ushida, T. Comparative effects of acupressure at local and distal acupuncture points on pain conditions and autonomic function in females with chronic neck pain.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doi: 10.1155/2011/543291, 2011. 

  58. Liang, Z.H., Yang, Y.H., Yu, P., Zhu, X.P., Wu, Z.L., Zhang, J.F., Fu, W.B.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therapeutic effect of acupuncture on neck pain caused by cervical spondylosis and factors influencing therapeutic effect. Zhongguo Zhen Jiu 29(3):173-176, 2009. 

  59. Chen, K.H., Hsiao, K.Y., Lin, C.H., Chang, W.M., Hsu, H.C., Hsieh, W.C. Remote effect of lower limb acupuncture on latent myofascial trigger point of upper trapezius muscle: a pilot study.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doi: 10.1155/2013/287184, 2013. 

  60. Guo, Y.Q., Chen, L.Y., Fu, W.B., Xu, M.Z., Ou, X.m. Clinically randomized controlled study on abdominal acupuncture for treatment of cervical spondylosis. Zhongguo Zhen Jiu 27(9):652-656,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