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리쟁이 뿌리 성분이 조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The Stimulatory Effects on the Osteoblast Cells of the Root Constituents from Rumex crispus 원문보기

약학회지 = Yakhak hoeji, v.57 no.6, 2013년, pp.406 - 411  

박혜진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  정재훈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  현한빛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  황혜성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  김하형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umex crispus (Curled Dock, Polygonaceae) is a perennial wild plant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as a laxative, astringent, and to treat blood and skin disease. The ethanol extract of R. crispus was obtained and its carbohydrate contents were analyzed using high-performance anion-exchange chromato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약재로 사용되는 뿌리 부분은 골다공증에 관해 보고된 것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조되지 않은 소리쟁이 뿌리로부터 ethanol 추출물을 얻은 후 계통적 추출방법에 의해 ethyl acetate, chloroform 분획물을 얻은 후 이를 시료로 하여 조골 세포의 생존율과 분화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소리쟁이 뿌리 ethanol 추출물과 그로부터 극성에 따라 제조한 ethyl acetate 및 chloroform 분획을 대상으로 HPAEC-PAD를 이용하여 그 구성당 성분을 분석하고 인체 조골세포주인 MG-63 세포를 이용하여 세포생존율과 ALP 활성, 석회화 형성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소리쟁이 뿌리의 ethanol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의 증식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 범위에서 ALP 활성과 석회화 결절 형성 정도를 유의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상승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리쟁이은 어디에 사용되는가? 소리쟁이(Rumex crispus L.)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라는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개울이나 들 등의 습한 곳에서 자라고, 높이는 약 80 센티미터 정도로, 어린순과 어린잎은 식용으로 이용되며, 뿌리는 염료로도 사용되는데 통변, 지혈, 소종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 민간에서는 즙을 내거나 찧어서 외용제로 사용하기도 한다.1) 또한, 소리쟁이는 우이대황이라 칭하며, 급성간염, 만성기관지염, 변비에 효력이 있고, 지혈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리쟁이의 서식지는? 소리쟁이(Rumex crispus L.)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라는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개울이나 들 등의 습한 곳에서 자라고, 높이는 약 80 센티미터 정도로, 어린순과 어린잎은 식용으로 이용되며, 뿌리는 염료로도 사용되는데 통변, 지혈, 소종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 민간에서는 즙을 내거나 찧어서 외용제로 사용하기도 한다.1) 또한, 소리쟁이는 우이대황이라 칭하며, 급성간염, 만성기관지염, 변비에 효력이 있고, 지혈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골형성자극제로서 이용 가능한 새로운 의약품과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이유는? 8) 그러나 골흡수억제제는 골량의 증가 또는 회복 효과는 미미하므로 새로운 골다공증의 치료제로서 뼈의 파괴되거나 변형된 미세구조를 채워주는 동화적 치료제인 골형성자극제의 필요성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골형성자극제로는 현재 부갑상선 호르몬이 유일한데 조골세포에 작용하여 세포사멸을 억제하고 생존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으나,9,10) 매일 투여해야하고 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고가이므로 질환이 심한 환자나 다른 약제가 듣지 않는 경우에만 사용되고 있다.11) 따라서, 골형성자극제로서 이용 가능한 새로운 의약품과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특히, 골형성자극제는 신생 골 형성을 자극하는 조골세포의 생성과 분화 과정을 촉진해야 하며 조골세포의 세포 생존율, 염기성 인산 분해 효소(alkaline phosphatase, ALP) 활성, 석회화결절 형성 관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Yun, Y. S. and Jeong, K. S. : Polyphenol contents of Rumex crispus root extract with hot water and its antioxidative effect.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International, 21, 1265 (2012). 

  2. Lee, S. S., Kim, D. H., Yim, D. S. and Lee, S. K. : Anti- Inflammatory, analgesic and hepatoprotective effect of semen of Rumex crispus. Korean J. Pharmacogn., 38, 334 (2007). 

  3. Suh, H. J., Lee, K. S., Kim, S. R., Shin, M. H., Park, S. G. and Park, S. : Determination of singlet oxygen quenching and protection of biological systems by various extracts from seed of Rumex crispus L. J. Photochem. Photobiol. B, 102, 102 (2011). 

  4. Choi, G. J., Lee, S. W., Jang, K. S., Kim, J. S., Cho, K. Y. and Kim, J. C. : Effects of chrysophanol, parietin, and nepodin of Rumex crispus on barley and cucumber powdery mildews. Crop Prot., 23, 1215 (2004). 

  5. Shiwani, S., Singh, N. K. and Wang, M. H. : Carbohydrase inhibition and anti-cancerou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properties along with DNA and protein protection ability of methanolic root extracts of Rumex crispus. Nutr. Res. Pract., 6, 389 (2012). 

  6. Yildirim, A., Mavi, A. and Kara, A. A. :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Rumex crispus L. extracts. J. Agric. Food Chem., 49, 4083 (2001). 

  7. Goltzman, D. : Discoveries, drugs and skeletal disorders. Nat. Rev. Drug Discov., 1, 784 (2002). 

  8. Rodan, G. A. and Martin, T. J. : Therapeutic approaches to bone Diseases. Science, 289, 1307 (2000). 

  9. Berg, C., Neumeyer, K. and Kirkpatrick, P. : Teriparatide. Nat. Rev. Drug Discov., 2, 257 (2003). 

  10. Ducy, P., Schinke, T. and Karsenty, G. : The osteoblast : a sophisticated fibroblast under central surveillance. Science, 289, 1501 (2000). 

  11. 대한골대사학회. "골다공증의 진단 및 치료 지침 2011". 

  1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71793호. 

  13.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070901호. 

  14. Tominaga, H., Ishiyama, M., Ohseto, F., Sasamoto, K., Hamamoto, T., Suzuki K. and Watanabe, M. : A water-soluble tetrazolium salt useful for colorimetric cell viability assay. Anal. Commun., 36, 47 (1999). 

  15. Hawkins, D. H. and Abrahamse, H. : Time-dependent responses of wounded human skin fibroblasts following phototherapy. J. Photochem. Photobiol. B, 88, 147 (2007). 

  16. Chiu, R., Ma, T., Smith, R. L. and Goodman, S. B. : Polymethylmethacrylate particles inhibit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of bone marrow osteoprogenitor cells. J. Biomed. Mater. Res., 77A, 850 (2006). 

  17. Gregory, C. A., Gunn, W. G., Peister, A. and Prockop, D. J. : An alizarin red-based assay of mineralization by adherent cells in culture: comparison with cetylpyridinium chloride extraction. Anal. Biochem., 329, 77 (2004). 

  18. Stanford, C. M., Jacobson, P. A., Eanes, E. D., Lembke, L. A. and Midura, R. J. : Rapidly forming apatitic mineral in an osteoblastic cell line (UMR 106-01 BSP). J. Biol. Chem., 270, 9420 (1995). 

  19. Sugimoto, E. and Yamaguchi, M. : Stimulatory effect of daidzein in osteoblastic MC3T3-E1 cells. Biochem. Pharmacol., 59, 471 (2000). 

  20. Prouilleta, C., Maziereb, J. C., Maziereb, C., Wattela, A., Braziera, M. and Kamela, S. : Stimulatory effect of naturally occurring flavonols quercetin and kaempferol on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n MG-63 human osteoblasts through ERK and estrogen receptor pathway. Biochem. Pharmacol., 67, 1307 (2004). 

  21. Stein, G. S., Lian, J. B. and Owen. T. A. : Relationship of cell growth to the regulation of tissue-specific gene expression during osteoblast differentiation. FASEB J., 4, 3111 (1990). 

  22. Chiu, R., Ma, T., Smith, R. L. and Goodman, S. T. : Polymethylmethacrylate particles inhibit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of bone marrow osteoprogenitor cells. J. Biomed. Mater. Res., 77A, 850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