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기투석용 바이폴라막의 개발 및 응용동향
Development and Application Trend of Bipolar Membrane for Electrodialysis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3 no.5, 2013년, pp.319 - 331  

김득주 (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공학연구원) ,  남상용 (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공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바이폴라막을 이용한 전기투석공정은 의약산업, 음식산업 등과 같은 고부가 가치산업에 이용되어 왔으며, 용액으로부터 산 또는 염기를 생산하거나 회수할 수 있는 공정으로 많은 각광을 받아왔다. 전기투석공정은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인 시스템으로 이온교환공정, 추출공정, 흡착공정과 같은 타 공정과의 복합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온교환막과 이를 이용한 잠재성을 가진 응용분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lectrodialysis with bipolar membranes (EDBM) has recently gained increasing attention for the recovery and production of acids or bases from the corresponding salt solutions and other high value-added business like food processing and biochemical industry. EDBM possesses economical and environmen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를 극복하고자 정부차원의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고 앞으로 발전 가능성이 고부가가치산업으로써 계속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분야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바이폴라막 소재에 대한 연구동향과 바이폴라막의 응용 및 활용방안에 대하여 최근까지 개발된 내용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아민화합물의 경우 알킬체인길이가 길어질수록 상대적으로 이온교환능력이 향상되었으며 막의 저항 또한 감소가 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방향족 그룹을 포함하는 다이아민 화합물은 오히려 막의 저항성을 급격히 증가시키는 문제를 야기하였다[6]. 또한 Wessling 그룹은 poly (ether sulfone)와 SPEEK 고분자를 블렌딩하여 SPEEK의 함량과 도입된 Na+, H+이온에 따른 이온 교환능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최적화된 조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Fig. 4)[7]. Xue그룹은 poly (2,6-dimethyl1,4-phenylene oxide) (PPO) 고분자와 methylamine (MA), dimethylamine (DMA), trimethylamine (TMA), triethylamine (TEA), tri-n-propylamine (TPA), tri-n-butylamine (TBA) and dimethyethanolamine (DMEA)과 같은 다른 종류의 아민화합물을 이용하여 도입된 아민 그룹이 이온교환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합성 및 반응 메커니즘을 scheme 1, Fig.
  • 상용화된 이온교환막에 비하여 이온교환능력 등 전반적인 물성이 낮았지만 poly (ether sulfone) 고분자와의 블렌딩, 술폰화도의 조절을 통하여 이온교환능력의 조절이 가능하였으며 순수 고분자의 개질을 통하여 향상된 물성을 나타냄을 확인가능하였다[5]. 또한 quaternized PSf 고분자(Fig. 3)와 알킬그룹 체인 사슬길이가 조절된 다양한 종류의 아민 화합물을 이용하여 음이온 교환막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아민화합물의 경우 알킬체인길이가 길어질수록 상대적으로 이온교환능력이 향상되었으며 막의 저항 또한 감소가 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방향족 그룹을 포함하는 다이아민 화합물은 오히려 막의 저항성을 급격히 증가시키는 문제를 야기하였다[6].
  • 양ㆍ음이온 교환막은 다양한 소재에 대하여 연구개발이 진행되어 왔으며 현재까지 개발되어온 이온교환막 소재에 대하여 Table 3에 정리하였다. 본고에서는 바이폴라막을 제조하기 위한 여러 인자 중 고성능을 가지는 이온교환막 및 바이폴라막의 제조를 위한 연구동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Wessling 등은 sulphonated poly (ether ether ketone) (SPEEK) 고분자를 이용하여 cation exchange membrane을 제조하였으며 Neosepta社의 CMX, CM2, CMS 분리막과의 비교성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 바이폴라막은 양이온/음이온 교환막을 접합시켜 양극성의 물질을 동시에 분리할 수 있는 장점으로 바이폴라막을 이용한 전기투석 공정의 경우 높은 효율성과 빠른 처리시간으로 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금속이온의 제거, 식품분야, 전지 시스템, 유기산ㆍ염의 회수, 정제, 확산투석, 초순수 제조 등 산업계 전반적인 부분에서 적용이 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현재까지 개발된 양이온/음이온 교환막 및 바이폴라막을 제조하기 위한 소재탐색 및 공정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Table 1에 나타내었듯이 대부분의 바이폴라막 소재는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의 주도하에 기술이 집중되어 있으며 국내에서는 연구실 규모로 일부 대학 및 연구기관에서 개발이 진행 중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온교환막이 응용되는 분야는 무엇인가? 투과 선택되어지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기체분리막, 수처리용 분리막, 이온교환막 등 그 활용성도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최근 들어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다. 다양한 종류의 분리막 중, 이온교환막은 양이온 및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이온선택성 막으로 연료전지 시스템, 유기산의 정제, 산ㆍ염기회수, 확산투석, 초순수 제조 등 광범위한 분야에 응용이 되고 있다. 실제 이온교환막은 해수에 대한 제염공정에 적용하고자 개발되었지만 다양한 성능을 가지는 막 소재의 개발이나 시스템의 설계의 발전에 의하여 점점 그 활용 가능성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전기투석과 역삼투법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그 중 전기투석(electrodialysis) 공정의 경우 이온교환막과 전기투석조의 양단에서 공급이 되는 전기적 힘을 구동력으로 이용하여 이온성 물질을 분리해내는 막분리 공정이다. 전기투석은 역삼투법과 비교하여 분리막을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나 역삼투법의 경우 구동력이 압력을 이용하여 수중의 모든 물질이 제거되는 반면에 전기투석법은 전기적 힘에 의해 구동이 되어 전기적인 전하를 가진 물질만 제거가 되므로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멤브레인을 이용한다[1-2]. 양이온 교환막은 양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며, –SO3− COO− 등의 음전하 작용기를 포함하여 양이온을 투과시키고 음이온 교환막은 –NH3+,–NR3+ 등의 양전하 작용기를 포함하여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게 된다.
공급된 H 이온과 함께 산이 생성되며 OH 이온에 의해 염이 생성되어 동시에 산과 염기를 생산 및 농축을 시킬 수 있는 바이폴라막의 원리로 인해 가능한 효율적 장점은 무엇인가? 바이폴라막은 공급된 H이온과 함께 산이 생성되며 OH이온에 의해 염이 생성되어 동시에 산과 염기를 동시에 생산 및 농축을 시킬 수 있는 시스템으로 기존의 단일 이온교환막보다 향상된 효율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원리로 전기투석으로 응용할 경우 산화환원반응이 필요하지 않고, 한대마다 전극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설치공간이 작고 운영비의 저감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바이폴라막과 양이온 교환막, 음이온 교환막을 이용하여 산ㆍ염기를 변환하는 시스템으로 만들어 이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J. H. Song and S. H. Moon, "Principles and Current Technologies of Continuous Electrodeionization", Membrane Journal, 16, 3 (2006). 

  2. M. K. Hong, S. D. Han, H. J. Lee, and S. H. Moon, "A Study on Process Performances of Continuous Electrodeionization with a Bipolar Membrane for Water Softening and Electric Regeneration", Membrane Journal, 17, 3 (2007). 

  3. C. S. Lee, H. S. Shin, J. H. Jun, S. Y. Jung, and J. W. Rhim, "Recent Development Trends of Cation Exchange Membrane Materials", Membrane Journal, 12, 1 (2002). 

  4. C. Huang and T. Xu, "Electrodialysis with bipolar membran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nviron. Sci. Technol., 40, 17 (2006). 

  5. J. Balster, O. Krupenko, I. Punt, D. F. Stamatialis, and M. Wessling, "Prepar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monovalent ion selective cation exchange membranes based on sulphonated poly (ether ether ketone)", J. Membr. Sci., 263, 1 (2005). 

  6. E. N. Komkova, D. F. Stamatialis, H. Strathmann, and M. Wessling, "Anion-exchange membranes containing diamines: preparation and stability in alkaline solution", J. Membr. Sci., 244, 1 (2004). 

  7. F. G. Wilhelm, I. G. M. Punt, N. F. A. Van der Vegt, H. Strathmann, and M. Wessling, "Cation permeable membranes from blends of sulfonated poly (ether ether ketone) and poly (ether sulfone)", J. Membr. Sci., 199, 1 (2002). 

  8. T. Xu, R. Fu, W. Yang, and Y. Xue, "Fundamental studies on a novel series of bipolar membranes prepared from poly (2, 6-dimethyl-1, 4-phenylene oxide) (PPO) : II. Effect of functional group type of anion-exchange layers on I-Vcurves of bipolar membranes", J. Membr. Sci., 279, 1 (2006). 

  9. T. Xu and W. Yang, "Fundamental studies on a novel series of bipolar membranes prepared from poly (2, 6-dimethyl-1, 4-phenylene oxide) (PPO) : I. Effect of anion exchange layers on I-Vcurves of bipolar membranes", J. Membr. Sci., 238, 1 (2004). 

  10. J. H. Hao, C. Chen, L. Li, L. Yu, and W. Jiang, "Preparation of bipolar membranes (I)", J. Appl. Polym. Sci., 80, 10 (2001). 

  11. J. H. Hao, L. Yu, C. Chen, L. Li, and W. Jiang, "Preparation of bipolar membranes. II", J. Appl. Polym. Sci., 82, 7 (2001). 

  12. L. Lebrun, E. Da Silva, G. Pourcelly, and M. Metayer, "Elabor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ionexchange films used in the fabrication of bipolar membranes", J. Membr. Sci., 227, 1 (2003). 

  13. M.-S. Kang, A. Tanioka, and S.-H. Moon, "Effects of interface hydrophilicity and metallic compounds on water-splitting efficiency in bipolar membranes", Korean J. Chemi. Eng., 19, 1 (2002). 

  14. S.-D. Li, C.-C. Wang, and C.-Y. Chen,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bipolar membrane by plasma-induced polymerization", J. Membr. Sci., 318, 1 (2008). 

  15. C.-L. Hsueh, Y.-J. Peng, C.-C. Wang, and C.-Y. Chen, "Bipolar membrane prepared by grafting and plasma polymerization", J. Membr. Sci., 219, 1 (2003). 

  16. R.-Q. Fu, T.-W. Xu, Y.-Y. Cheng, W.-H. Yang, and Z.-X. Pan, "Fundamental studies on the intermediate layer of a bipolar membrane: Part III. Effect of starburst dendrimer PAMAM on water dissociation at the interface of a bipolar membrane", J. Membr. Sci., 240, 1 (2004). 

  17. X. Huang, D. Huang, X. Ou, F. Ding, and Z. Chen, "Synthesis and properties of side-chain-type ion exchange membrane PEEK-g-StSO3Na for bipolar membranes", Applied Surface Sci., 258, 7 (2012). 

  18. K. Venugopal and S. Dharmalingam, "Fundamental studies on a new series of SPSEBS-PVA-QPSEBS bipolar membrane : Membrane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J. Appl. Polym. Sci., 127, 6 (2013). 

  19. R. Fu, T. Xu, G. Wang, W. Yang, and Z. Pan, "PEG catalytic water splitting in the interface of a bipolar membrane",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263, 2 (2003). 

  20. A. M. Rajesh, T. Chakrabarty, S. Prakash, and V. K. Shahi, "Effects of metal alkoxides on electro- assisted water dissociation across bipolar membranes", Electrochim. Acta, 66, 1 (2012). 

  21. K. Zhang, M. Wang and, C. Gao, "Ion conductive spacers for the energy-saving production of the tartaric acid in bipolar membrane electrodialysis", J. Membr. Sci., 387-388, 1 (2012). 

  22. Y. Wei, C. Li, Y. Wang, X. Zhang, Q. Li, and T. Xu, "Regenerating sodium hydroxide from the spent caustic by bipolar membrane electrodialysis (BMED)", Sep. Purif. Technol., 86, 1 (2012). 

  23. Y. Wei, Y. Wang, X. Zhang, and T. Xu, "Comparative study on regenerating sodium hydroxide from the spent caustic by bipolar membrane electrodialysis (BMED) and electro-electrodialysis (EED)", Sep. Purif. Technol., 118, 80 (2013). 

  24. J. Shen, J. Huang, L. Liu, W. Ye, J. Lin, and B. Van der Bruggen, "The use of BMED for glyphosate recovery from glyphosate neutralization liquor in view of zero discharge", J. Hazardous Materials, 260, 1 (2013). 

  25. X.-x. Wang, M. Wang, Y.-x. Jia, and T.-t. Yao, "The feasible study on the reclamation of the glyphosate neutralization liquor by bipolar membrane electrodialysis", Desalination, 300, 1 (2012). 

  26. A. Iizuka, Y. Yamashita, H. Nagasawa, A. Yamasaki, and Y. Yanagisawa, "Separation of lithium and cobalt from waste lithium-ion batteries via bipolar membrane electrodialysis coupled with chelation", Sep. Purif. Technol., 113, 1 (2013). 

  27. C. Jiang, Y. Wang, and T. Xu, "An excellent method to produce morpholine by bipolar membrane electrodialysis", Sep. Purif. Technol., 115, 100 (2013). 

  28. Y. Wang, N. Zhang, C. Huang, and T. Xu, "Production of monoprotic, diprotic, and triprotic organic acids by using electrodialysis with bipolar membranes: Effect of cell configurations", J. Membr. Sci., 385-386, 1 (2011). 

  29. Z. Zhou, J. Zhang, J. Xing, Y. Bai, Y. Liao, and H. Liu, "Membrane-Based Continuous Remover of Trifluoroacetic Acid in Mobile Phase for LC-ESIMS Analysis of Small Molecules and Protein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Mass Spectrometry, 23, 7 (2012). 

  30. L.-F. Gutierrez, L. Bazinet, S. Hamoudi, and K. Belkacemi, "Production of lactobionic acid by means of a process comprising the catalytic oxidation of lactose and bipolar membrane electrodialysis", Sep. Purif. Technol., 109, 1 (2013). 

  31. K. Ghyselbrecht, M. Huygebaert, B. Van der Bruggen, R. Ballet, B. Meesschaert, and L. Pinoy, "Desalination of an industrial saline water with conventional and bipolar membrane electrodialysis", Desalination, 318, 1 (2013). 

  32. Y. Wei, Y. Wang, X. Zhang, and T. Xu, "Comparative study on the treatment of simulated brominated butyl rubber wastewater by using bipolar membrane electrodialysis (BMED) and conventional electrodialysis (ED)", Sep. Purif. Technol., 110, 1 (2013). 

  33. M.-L. Lameloise and R. Lewandowski, "Recovering l-malic acid from a beverage industry waste water: Experimental study of the conversion stage using bipolar membrane electrodialysis", J. Membr. Sci., 403-404, 1 (2012). 

  34. J.-X. Zhuang, Q. Chen, S. Wang, W.-M. Zhang, W.-G. Song, L.-J. Wan, K.-S. Ma, and C.-N. Zhang, "Zero discharge process for foil industry waste acid reclamation: Coupling of diffusion dialysis and electrodialysis with bipolar membranes", J. Membr. Sci., 432, 1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