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벼 벼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저항성 품종 육성에 이용할 유전자원을 탐색하기 위하여 주요 농업적 특성 및 벼잎집무늬마름병 저항성 검정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40개 벼 유전자원의 주요 농업적 특성은 파종 후 출수까지 일수는 62일에서 112일까지 분포하였고 간장은 최소 59 cm에서 129 cm 범위에 분포하였으며, 이삭길이는 가장 짧은 품종은 PL3212가 17 cm, 가장 긴 품종은 Moroberekan가 29 cm이었다. 수량 구성요소 중 수수는 최소 5개에서 최대 15개 범위에 분포하였고, 수당립수는 최저 77개에서 최고 240개 범위에 분포하였다. 현미천립중은 평균 22.1 g으로 최저 13.6 g인 소립종에서 최고 29.3 g의 대립종까지 분포하였다. 2. 인디카형 조생종 1품종, 중생종 8품종, 중만생종 10품종 및 만생종 2품종에 대해 벼잎집무늬마름병에 의한 평균 병반형성비율은 각각 27.2, 45.3, 58.1 및 36.0%이었다. 자포니카형 조생종 5품종, 중생종 1품종, 중만생종 1품종 및 만생종 1품종의 벼잎집무늬마름병에 의한 평균병반형성비율은 각각 48.8, 34.2, 56.9 및 69.0% 이었고, 통일형 품종은 중생종과 중만생종 각각 2품종의 평균 병반형성비율이 32.0 및 28.9% 이었다. 3. 인디카형 중만생 품종 IR579-Es44와 IR64, 통일형 중생종 가야벼와 중만생종 아름벼 등 4품종은 벼잎집무늬마름병균 KACC No. 40101에 의한 병반형성비율이 22.9~27.2%로 중도저항성 반응을 보였다. 4. 벼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해 중도 저항성을 나타낸 IR579-Es44, IR64, 가야벼 및 아름벼는 흰잎마름병에 대해 저항성이고 아름벼를 제외한 나머지 품종은 도열병에도 저항성을 보였으며 특히 간장이 작아 도복의 위험이 적고 기타 농업적 특성이 우수한 IR579-Es44, 가야벼, IR64는 각각 조생종, 중생종, 중만생 등 숙기별로 벼잎집무늬마름병 저항성 품종을 육성하는데 활용할 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ice sheath blight (ShB),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K$\ddot{u}$hn, is one of the serious fungal disease resulting in severe yield loss in rice field worldwide. There are limited sources of genetic resistance and no commercial cultivar with high level of ShB resistance is currently ava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987a). 따라서 본 연구는 유묘기에 벼잎집무늬마름병 저항성을 평가함으로써 군락내 미세기상, 초형 및 꽃피는 시기 등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벼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고도의 저항성을 가진 유전자원을 선발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 벼 재배포장에서 벼잎집무늬마름병이 심하게 발병한 시기에 벼잎집무늬마름병의 발병이 적거나 발병하지 않은 국내외 육성품종 및 수집 유전자원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서 보유한 벼잎집무늬마름병 저항성 유전자원을 분양받아 총 40품종 및 유전자원을 벼잎집무늬마름병 저항성원을 탐색하기 위해 활용하였다. 벼잎집무늬마름병 저항성 QTLs 분석에 많이 활용되는 Lemont 품종 및 Jasmine 85 품종(Pan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벼잎집무늬마름병은 논을 써레질 할 때 어떻게 벼잎집에 침입하는가? 벼잎집무늬마름병은 기주범위가 넓고 도열병 및 흰잎마 름병 등과 더불어 벼농사에서 문제가 되는 대표적인 병으로서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표면이나 토양내에서 균사 혹은 균핵의 형태로 월동한다. 논을 써레질 할 때 물표면에 떠오른 균핵은 이앙 후 수면부위의 잎집에 부착한 다음 발아하여 균사에 의해 벼잎집의 조직내로 침입하여 병반이 형성된다. 병반은 잎집 아래부위에서부터 위쪽으로 계속 진전되며 심하면 이삭에도 발병하는데 이 병의 발생과 피해는 병원균 의 밀도, 생육기간 중의 온도, 습도 등의 기상조건 및 재배 방법 등에 의하여 크게 달라진다(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2005).
벼잎집무늬마름병의 병원균이 월동 하는 방법은? 벼잎집무늬마름병은 기주범위가 넓고 도열병 및 흰잎마 름병 등과 더불어 벼농사에서 문제가 되는 대표적인 병으로서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표면이나 토양내에서 균사 혹은 균핵의 형태로 월동한다. 논을 써레질 할 때 물표면에 떠오른 균핵은 이앙 후 수면부위의 잎집에 부착한 다음 발아하여 균사에 의해 벼잎집의 조직내로 침입하여 병반이 형성된다.
벼잎집무늬마름병에 의한 수량 감소를 줄일 수 있는 가장 적극적인 방법은? 2007).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고온 및 잦은 강우로 인해 벼잎집무늬마름병 발생이 더욱 심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벼잎집무늬마름병에 의한 수량 감소를 줄일 수 있는 가장 적극적인 방법으로 저항성 품종을 육성하는 것은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벼잎집무늬마름병은 재배환경 및 군락내 미세기상의 영향을 크게 받을 뿐만 아니라 품종간 발병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고도의 저항성을 가진 품종이 없으므로 벼잎 집무늬마름병에 대한 저항성 품종을 육성하는데 어려움이 많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min, K. S. 1975. An Improved Method for Evaluating Rice Sheath Blight. Phytopathological Notes 214-215. 

  2. Han, Y. P., Y. Xing, S. Gu, Z. Chen, X. Pan, and X. Chen. 2003. Effect of morphological traits on sheath blight resistance in rice. Acta Botanica Sinica 45 : 825-831. 

  3. Jia, Y., F. Correa-Victoria, A. McClung, L. Zhu, G. Liu, Y. Wamishe, J. Xie, M. A. Marchetti, S. R. M. Pinson, J. N. Rutger, and J. C. Correll. 2007. Rapid determination of rice cultivar responses to the sheath blight pathogen Rhizoctonia solani using a micro-chamber screening method. Plant Dis. 91 : 485-489. 

  4. Kim, C. K., C. S. Kang, S. J. Rim, E. J. Lee, and K. H. Lee. 1981. Ecological Studies on rice sheath blight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I. The difference of disease development between Jinheung and Yushin. Korean J. Pl. Prot. 20(2) : 71-75. 

  5. Kim, C. K. and H. S. Min. 1983. Ecological studies on rice sheath blight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II. Forecasting and control of rice sheath blight. Korean J. Pl. Prot. 22(1) : 21-25. 

  6. Kim, C. K., D. S. Ra, and H. S. Min. 1985. Ecological studies on rice sheath blight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III. Cultural method and disease development. Korean J. Pl. Prot. 24(1) : 7-10. 

  7. Kim, K. H. and K. J. Yang. 1987a. Studies on varietal resistance to sheath blight disease in rice. I. Selection of Rhizoctonia solani isolate for screening of varietal resistance to rice sheath blight disease. Korean J. Crop Sci. 32(1) : 55-60. 

  8. Kim, K. H. and J. H. Kwon. 1987b. Studies on varietal resistance to sheath blight disease in rice. III. Varietal difference of resistance. Korean J. Crop Sci. 32(3) : 302-309. 

  9. Kim, K. H. and J. H. Kwon. 1988. Studies on varietal resistance to sheath blight disease in rice. III. Variation of varietal resistance by inoculating different fungus isolates. Korean J. Crop Sci. 34(3) : 309-314. 

  10. Kim, K. H. and S. B. Lee. 1989. Studies on Varietal resistance to sheath blight disease in rice. IV. Varietal difference in disease severity and grain yield loss. Korean J. Crop Sci. 34(1) : 14-22. 

  11. Lee, F. N. and M. C. Rush. 1983. Rice sheath blight: A major rice disease. Plant Dis. 67 : 829-832. 

  12. Lee, Y. H., D. S. Ra, W. H. Yeh, H. W. Choi, I. S. Myung, S. W. Lee, Y. H. Lee, S. S. Han, and H. S. Shim. 2010. Survey of major disease incidence of rice in Korea during 1999-2008. Res. Plant Dis. 16(2) : 183-190. 

  13. Liu, G., Y. Jia, F. J. Correa-Victoria, G. A. Prado, K. M. Yeater, A. McClung, and J. C. Correll. 2009. Mapping quantitative trait loci responsible for resistance to sheath blight in rice. Phytopathology 99 : 1078-1084. 

  14. Marchetti, M. A. 1983. Potential impact of sheath blight on yield and milling quality of short-statured rice lines in the southern United States. Plant Dis. 67 : 162-165. 

  15. Marchetti, M. A. 1991. Quant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heath blight severity and yield loss in rice. Plant Dis. 75 : 773-775. 

  16. Pan, X. B., J. H. Zou, Z. X. Chen, J. F. Lu, H. X. Yu, H. T. Li, Z. B. Wang, X. Y. Pan, M. C. Rush, and L. H. Zhu. 1999. Tagging major quantitative trait loci for sheath blight resistance in a rice variety, Jasmine 85. Chin Sci. Bull. 44 : 1783-1789. 

  17. Park, D. S., R. J. Sayler, Y. G. Hong, M. H. Nam, and Y. N. Yang. 2008. A method for inoculation and evaluation of rice sheath blight disease. Plant Dis. 92 : 25-29. 

  18. Slaton, N. A., R. D. Cartwright, J. Meng, E. E. Gbur, and R. J. Norman. 2003. Sheath blight severity and rice yield as affected by nitrogen fertilizer rate, application method and fungicide. Agron. J. 95 : 1489-1496. 

  19. Srinivasachary, Laetitia Willocquet and Serge Savary. 2011. Resistance to rice sheath blight (Rhizoctonia solani Kuhn) [(teleomorph: Thanatephorus cucumeris (A. B. Frank) Donk.] disease: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Euphytica 178 : 1-22. 

  20. Tan, W. Z., W. Zhang, Z. Q. Ou, C. W. Li, G. J. Zhou, Z. K. Wang, and L. L. Yin. 2007. Analyses of the temporal development and yield losses due to sheath blight of rice (Rhizoctonia solani AGI.I a). Agricultural Sciences in China 6 : 1074-1081. 

  21. Tang, Q., S. Peng, R. J. Buresh, Y. Zou, N. P. Castilla, T. W. Mew, and X. Zhong. 2007. Rice varietal difference in sheath blight development and its association with yield loss at different levels of N fertilization. Field Crops Res. 102 : 219-227. 

  22. Yu, Seung Heon. 1981. Occurrence of rice sheath blight and its control in Korea. Korean J. Pl. Prot. 20(1) : 59-66. 

  23. Wang, L., W. W. Huang, L. M. Liu, Q. Fu, and S. W. Huang. 2011. Evaluation of resistance to sheath blight(Rhizoctonia solani) in partial Indica hybrid rice combinations from Southern China. Acta Agron. Sin. 37(2) : 263-270. 

  24. Wu, W., J. Huang, K. Cui, L. Nie, Q. Wang, F. Yang, F. Shah, F. Yao, and S. Peng. 2012. Sheath blight reduces stem breaking resistance and increases lodging susceptibility of rice plants. Field Crops Research 128 : 101-108. 

  25. Zou, J. H., X. B. Pan, Z. X. Chen, J. Y. Xu, J. F. Lu, W. X. Zhai, and L. H. Zhu. 2000. Mapping quantitative trait loci controlling sheath blight resistance in two rice cultivars (Oryza sativa L.). Theor. Appl. Cenet. 101 : 569-573. 

  26. Zuo, S. M., Z. B. Wang, X. J. Chen, F. Gu, Y. F. Zhang, Z. X. Chen, X. B. Pan, and C. H. Pan. 2009. Evaluation of resistance of a novel rice line YSBR1 to sheath blight. Acta Agron. Sin. 35(4) : 608-614. 

  27. 농촌진흥청. 2003. 제4판 농업과학기술 연구조사분석기준. 문성사. 

  28.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2005. 식량작물 병해충 잡초 진단과 방제. 농경과원예.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