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밀로스함량 차이에 따른 벼 배유전분의 이화학적 특성평가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Endosperm with Different Amylose Content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8 no.3, 2013년, pp.274 - 282  

정종민 (국립식량과학원 춘천출장소) ,  정지웅 (국립식량과학원 춘천출장소) ,  이상복 (국립식량과학원 답작과) ,  김명기 (국립식량과학원 철원출장소) ,  김보경 (국립식량과학원 답작과) ,  손재근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밀로스 함량차이에 따른 배유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아밀로스 함량의 차이를 보이는 찰벼, 저 아밀로스, 중간 아밀로스, 고 아밀로스 품종의 외관특성, 화학특성, 호화특성 및 기계적 식미치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료들의 아밀로스 함량은 6.3%~30.9% 범위로 아밀로스 함량차이에 따라 4개 그룹 찰벼(A), 저 아밀로스(B), 중간 아밀로스(C), 고 아밀로스(D) 품종군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각 그룹에 속한 품종들의 단백질함량은 5.8~7.5%로 품종간 차이가 있었으나 아밀로스 함량에 따라 분류된 그룹간 차이는 없었다. 2. 시험재료의 외형적 특성을 보면, 백도는 찰벼 품종군이 가장 높고 저아밀 중간아밀로스 품종군이 가장 낮았다. 현미경도는 고 아밀로스 품종 및 찰벼 품종이 메벼품종과 저 아밀로스 품종보다 대체적으로 낮았다. 알카리 붕괴도는 5.2~6.9의 분포를 보였으며 아밀로스 함량이 증가할수록 붕괴도가 커졌으며, 아밀로스 함량과 알카리 붕괴도 간 매우 높은 양의 상관($r=0.884^{**}$)을 보였다. 3. 아밀로그램 특성을 살펴보면 저 아밀로스 품종군은 호화개시온도가 중간 아밀로스 품종과 비슷한 반면 최고 점도와 강화점도는 높고 최종점도와 치반점도는 낮았다. 고 아밀로스 품종군은 호화개시온도가 다른 품종군에 비해 높고, 최고점도와 최저점도가 매우 낮았으며 최종점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서 강하점도는 낮고 치반점도는 높은 특성을 보였다. 4. 식미관련 이화학적 특성들 간 상관을 살펴보면 아밀로스 함량은 알카리 붕괴도와 상당히 높은 양의 상관($r=0.88^{**}$)을 Toyo-윤기치와는 높은 음의 상관($r=-0.89^{**}$) 나타냈고, 아밀로그램 특성 중에서는 호화개시온도, 치반점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을 보이며, 강하점도와는 음의 상관을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grains of 8 varieties having various amylose content. Amylose contents of 8 varieties were ranged from 6.3 to 30.9% and could be classified into 4 groups, such as waxy, low-amylose, nonglutinous, and high-amylose. Prote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규모가 커지고 있는 쌀 가공식품 시장에서 다양한 아밀로스 함량을 가지는 품종은 여러 가지 형태의 쌀 가공 식품 개발에 적합하여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밀로스 함량이 다른(찰벼, 저 아밀로스 벼, 중간아밀로스, 고 아밀로스 벼)벼 품종들의 배유전분의 이 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여 쌀의 가공적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L: Lightness, a: redness, b: yellownes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쌀을 통한 1인당 에너지원과 단백질 섭취량의 몇 %를 차지하는가? 쌀은 우리민족의 주식으로 수천 년간 재배되어 왔고, 국민 1인당 에너지원의 약 30%, 단백질 섭취량의 21% 정도를 밥을 통해 얻고 있을 만큼 영양학적으로 기여하는 바도 크다(Choi, 2002c). 그러나 근래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과 식생활 패턴의 변화로 국민1인당 쌀 소비량은 70년대 130 kg대에서 70 kg대 까지 감소하였다(KOSTAT, 2013).
식생활 패턴의 변화로 인해 1인당 쌀 소비량은 70년대 비해 현재는 얼마나 감소했는가? 쌀은 우리민족의 주식으로 수천 년간 재배되어 왔고, 국민 1인당 에너지원의 약 30%, 단백질 섭취량의 21% 정도를 밥을 통해 얻고 있을 만큼 영양학적으로 기여하는 바도 크다(Choi, 2002c). 그러나 근래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과 식생활 패턴의 변화로 국민1인당 쌀 소비량은 70년대 130 kg대에서 70 kg대 까지 감소하였다(KOSTAT, 2013). 우리나라에서의 쌀 연구는 증산, 취반미의 품질, 병해충 저항성 등에 치중되어 왔다.
쌀의 품질 중 식미와 가공적성의 주요 요소인 아밀로스 함량 기준은? 쌀의 품질은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및 미량요소 함량과 같은 화학적 특성이나 쌀알의 크기와 모양, 심복백, 알칼리 붕괴도, 수분흡수 및 호화특성과 같은 물리적 특성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특히, 식미와 가공적성의 주요 요소인 아밀로스 함량에 따라 찰(1-2%), 저 아밀로스(7-20%), 멥쌀(20-25%) 및 고 아밀로스(25% 이상) 등으로 구분된다(Matveev et al.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Cheo, Z. R. and M. H. Heu. 1975. Optimum conditions for alkali digestivity test in rice. Korea J. Crop Sci. 19 : 7. 

  2. Chikubu, S., S. Watanabe, T. Sugimoto, N. Mamabe, F. Sakai, and Y. Taniguhi. 1985. Establishment of palatability estimation formula of rice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J. Jpn. So. Starch Sci. 32 : 51-60. 

  3. Choi, H. C. 200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varietal improvement related to palatability of cooked rice or suitability to food processing in rice. Symposium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p. 58-80. 

  4. Choi, H. C., H. G. Hwang, H. C. Hong, Y. G. Kim, and H. Y. Kim, et al. 2002a. A japonica specialty rice for fermentation food processing, opaque rice cultivar "Seolgaeng". Treat. of Crop Res. 3 : 45-51. 

  5. Choi, H. C., H. G. Hwang, H. C. Hong, Y. G. Kim, and H. Y. Kim, et al. 2002b. A lodging tolerance and dull rice cultivar "Baegjinju". Treat. of Crop Res. 3 : 59-65. 

  6. Choi, H. C. 2002c.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in varietal improvement of rice cultivars for high-quality and valueadded product. Korean J. Crop Sci. 47 : 15-32. 

  7. Choi, H. C., H. G. Hwang, H. C. Hong, Y. G. Kim, H. P. Moon, et al. 2003. A med-late maturing, lodging tolerance and high amylose speciality rice cultivar "Goamybyeo 2". Treat. of Crop Res. 4 : 149-157. 

  8. Choi, S. Y. and M. S. Shin. 2009. Prorerties of flours prepared from domestic high amylose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 16-20. 

  9. Endo, I., S. Chikubu, M. Suzuki, K. Kobayashi, and M. Naka. 1973. Palatability evaluation of cooked milled rice by physicochemical measurement. Rept. Nat. Food Res. Inst. 31 : 1-11. 

  10. Fitzgerald, M. A. and R. F. Reinke. 2006. Rice Grain Quality III. A Report for the rural indust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oration. RIRDC Publication No. 06/056 RIRDC. 

  11. Heu, M. H. and S. Z. Park. 1990. Breeding strategies for quality diversification in rice. Proc. Symp. Rice quality. RDA, Korea. pp. 41-58. 

  12. Hiroyoki, M. and Y. Takeda. 2000. Chewing properties of cooked rice from new characteristics rice cultivars and their relation to starch molecular structures. J. Appl. Glycosci. 47 : 61-65. 

  13. Hong, Y. H., H. S. Ahn, S. K. Lee, and S. K. Jun. 1989. Relationship of properties of rice and texture of japonica and j/indica cooked rice. Korean J. Food and Sci. Thechnol. 20: 59-62. 

  14. Huang, J. R, H. A. Schols, J. G. Jeroen, J. Zhengyu, E. Sulmann, and G. J. V. Alphons. 2007.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mylopectin chain profiles of cowpea, chickpea and yellow pea starches. Food Chemistry. 101 : 1338-1345. 

  15. Jeung, J. U. and Y. S. Shin. 2011. Evaluations on the Namil (SA)-flo1, a floury japonica rice line, for dry milling process to produce rice flour. Korean J. Crop Sci. 56 : 57-63. 

  16. Juliano, B. O., L. U. Onate, and D. Mundo. 1965. Relation of starch composition, protein content and gelatinization temperature to cooking and eating qualities of milled rice. Food Technol. 19 : 1006-1011. 

  17. Juliano, B. O. 1985. Criteria and test for rice grain qualities.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 St paul, MN, USA, p. 443-524. 

  18. Kang, H. J., I. K. Hwang, K. S. Kim, and H. C. Choi. 2003. Comparative structure and physicochemical and properties of Ilpumbyeo, a high-quality japonica, and its mutant, Suweon 464. J. Agric. Food Chem. 51 : 6598-6603. 

  19. Kang, H. J., H. S. Seo, and I. K. Hwang. 2004. Comparison of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characteristics among endosperm mutant rices derived from Ilpumbyeo.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 879-884. 

  20. Kim, D. C. 2002. Post harvest technology for high quality rice.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1 : 35-43. 

  21. Kim, J. U., K. H. Lee, and D. Y. Kim. 1972. Studies on the quality of Korean rice. Korean J. Agric. Chem. Soc. 15 : 65-75. 

  22. Kim, K. H. and S. M. OH. 1992. Varietal variation of alkali digestion value and its relationship with gelatinization temperature and water absorption rate of milled rice grain. Korean J. Crop Sci. 37 : 28-36. 

  23. Kim, K. O., S. S. Kim, N. K. Seong, and Y. C. Lee. 2004. Evaluation and management methode of sensory test. Shinkwangpub pp. 210-218. 

  24. Kim, M. H., D. G. Park, D. H. Kim, and S. S. Kim. 2005. Agricultural Outlook 2005(II); Prospects and challenges related with the rice market opening in Korea.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pp. 91-97. 

  25. Kim, S. K., S. J. Jeong, K. Kim, J. C. Chae, and J. H. Lee. 1984. Tentative classification of milled rice by sorption kinetics. J. Korean Chem. Soc. 27 : 204-210. 

  26. Kim, S. K., J. C. Chae, M. S. Lim, and J. H. Lee. 1985. Interrelationship between amylose content and physical properties of milled rice. Korean J. Crop Sci. 30 : 320-325. 

  27. KOSTAT. 2013. Survey results on the grain consumption of Korea in 2012. Statistics Korea. 

  28. Kum, J. S. 2008. Blooming of rice processing industry. Food Industry and Nutrition. 13 : 9-14 

  29. Kwak, T. S. 2011. Characteristics variation of amylogram properties by the year variation of the rapidity of grain filling in the recombinant inbred lines of rice. Korean J. Intl. Agri. 23(3) : 302-305. 

  30. Kwon, Y. W., E. W. Lee, and B. W. Lee. 1990. Climate, soil and cultural technology of the areas producing high quality rice in Korea-with emphasis on the difference between Ichon and other regions. RDA. J. Crop Sci. 33 : 291-303. 

  31. Lee, J. H., Y. S. Jo, M. T. Song, S. J. Yang, H. G. Hwang, N. S. Kim, H. C. Choi, and H. P. Moon. 2000. Analysis of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related to rice gelatinization. Korean J. Crop Sci. 32 : 211-217. 

  32. Lee, J. Y. 2009. Policy suggestion on rice processing industry. 26th Edition, Korean Technical Working Group pp. 1-21. 

  33. Lim, S. J., D. U. Kim, J. K. Sohn, and S. K. Lee. 1995. Varietal variation of amylogram properties and its relationships with other eating quality characteristics in rice. Korea J. Breeding 27 : 268-275. 

  34. Matveev, Y. I, van Soest J. J. G., C. Nieman, L. A. Wasserman, V. A. Protserov, M. Ezernitskaja, and V. P. Yuryev.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rmodynamic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low and high amylose maize starches. Carbohydrate Polymers. 44 : 141-160. 

  35. RDA. 2003. Analysis criteria on agricultural research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p. 288-290. 

  36. Song, J., H. J. Kim, D. S. Kim, C. K. Lee, J. T. Youn, S. L. Kim, and S. J. Suh.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es in japonica rices of different amylose content. Korean J. Crop Sci. 53 : 285-291. 

  37. Yong, S. C., K. H. Lee, H. J. Ha, Y. H. Choi, E. M. Kim, and S. Y. Park. 2012. Effect of steaming and dehydration condition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parboiled rice (Olbyeossal). J. Appl. Biol. Chem. 55 : 185-18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