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콩의 잎 크기와 종실 무게와의 상관
Correlation between Leaf Size and Seed Weight of Soybea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8 no.4, 2013년, pp.383 - 387  

박규환 (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 ,  백인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한원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강성택 (단국대학교 식량생명공학과) ,  정명근 (강원대학교 생약자원개발학과) ,  고종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콩 품종육성에 있어 잎의 크기가 종실무게와 관련된 형질의 초기 분리세대에서 조기선발 지표로서 활용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재래종, 도입종 및 야생종 등 229개 품종 및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단엽과 제1본엽 및 제3본엽과 종실 무게와의 상관관계를 조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험재료 229개 품종 및 유전자원의 단엽 면적은 $3.2{\sim}33.8cm^2$, 제1본엽 면적은 $9.2{\sim}29.5cm^2$, 제3본엽 면적은 $7.2{\sim}58.9cm^2$, 종실의 100립 무게는 2.7~39.0 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2. 엽 면적과 종실 무게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고, 상관의 크기는 단엽(r=$0.80^{**}$), 제1본엽($0.75^{**}$), 제3본엽($0.67^{**}$) 순으로 나타났다. 3. 엽의 장폭과 종실무게 사이에는 유의한 정의 상관이 있었고 단엽의 길이(0.71)와 폭(0.79)이 제1본엽, 제3본엽 보다 상관이 높았으며, 엽장보다는 엽폭이 높은 상관을 보였다. 조사된 콩 잎의 장 폭비는 상위엽이 높았다. 4. 콩 종실크기와 관련된 생육 초기선발의 간접지표로서 단엽 크기와 단엽의 폭을 이용하는 것이 제일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whether the leaf size is likely to be used as a selection criterion for large seed genotype in soybean (Glycine. max (L.) Merr.) breeding program. Two hundred twenty nine soybean germplasms which had collected in Korea, United States, China and Japan were used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수집된 229종의 다양한 콩 품종 및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생육초기 잎 형질의 크기를 조사하고 이들과 종자 무게간의 상호관계를 구명하여 용도별 대립 및 소립의 품종육성에 필요한 조기 선발지표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 콩 품종육성에 있어 잎의 크기가 종실무게와 관련된 형질의 초기 분리세대에서 조기선발 지표로서 활용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재래종, 도입종 및 야생종 등 229개 품종 및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단엽과 제1본엽 및 제3본엽과 종실 무게와의 상관관계를 조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민족의 식문화에서 콩은 어떻게 이용되는가? 한민족의 식문화에서 콩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이유는 콩 종실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식물성 단백질로 된장, 간장, 청국장, 두부, 두유, 콩나물, 떡고물, 콩조림, 콩 강정, 풋콩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현재(2012년도) 콩 재배면적은 80,800ha, 생산량은 11만 2천 톤으로 전체 자급률은 9% 내외이며 식용 콩의 자급율은 30% 정도로 수입 콩과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용도별 고품질 다수성 품종 육성이 필요하다.
콩잎의 크기와 종실 무게의 관계를 Chung & Spech는 어떻게 설명 했는가? 콩잎의 크기는 종실 무게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용도별 다양한 크기의 콩 품종을 육성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Chung & Spech(1997)는 대두 종자의 크기가 서로 다른 12계통을 재료로 하여 잎의 크기와 종실 무게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개화 전 종자 크기에 대한 간접 선발로서 잎 크기의 이용성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콩 종실 크기의 차이는 자엽 세포수의 차이와 관련이 있고(Guldan & Brun, 1985), 콩 종실이 클수록 자엽의 세포수가 많고 세포의 크기가 크다는 연구결과(Swank et al.
2012년도 국내 콩 재배 현황은? 한민족의 식문화에서 콩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이유는 콩 종실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식물성 단백질로 된장, 간장, 청국장, 두부, 두유, 콩나물, 떡고물, 콩조림, 콩 강정, 풋콩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현재(2012년도) 콩 재배면적은 80,800ha, 생산량은 11만 2천 톤으로 전체 자급률은 9% 내외이며 식용 콩의 자급율은 30% 정도로 수입 콩과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용도별 고품질 다수성 품종 육성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ravo, J. A., W. R. Fehr, and S. Rodriguez de Cianzio. 1980. Use of pod width for indirect selection of seed weight in soybeans. Crop Sci. 20: 507-510. 

  2. Chung, J. and J. E. Spech. 1997. Use of leaf size for indirect selection of size in soybean. Korean J. Crop Sci. 42 : 810-813. 

  3. Domingo, W. E. 1945. Inheritance of number of seeds per pod and leaflet shape in the soybean. J. Agric. Res. 70 : 251-268. 

  4. Fraser, S. J, D. B. Egli, and J. E. Leggett. 1982. Pod and seed development in soybean cultivars with differences in seed size. Agron. J. 74 : 81-85. 

  5. Fraser, S. J and W. R. Fehr. 1981. Associations among pod dimensions seed weight in soybeans. Crop Sci. 21 : 547-550. 

  6. Guldan, S. J. and W. A. Brun. 1985. Relationship of cotyledon cell number and seed respiration to soybean seed growth. Crop Sci. 25 : 815-819. 

  7. Lersten, N. R and J. B. Carlson. 1987. Vegetative morphology. In J. R. Wilcox editor. "Soybeans: Improvement, Production and Uses." 2nd ed. Agronomy no. 16 : 49-94. ASA-CSSASSSA, Madison, Wisconsin. 

  8. Jong, S. K. and H. S. Kim. 2009. Variation of leaf characters in cultivating and wild soybean [Glycine max (L.) Merr.] germplasm. Korean J. Breed. Sci., 41(1) : 16-24. 

  9. Swank, J. C., D. B. Egli, and T. W. Pfeiffer. 1987. Seed growth characteristics of soybean genotypes differing in duration of seed fill. Crop Sci. 27 : 85-89. 

  10.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tatistical year book. 2012.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Korea. 

  11. Takahashi, N. 1934. Linkage relation between the genes for the forms of leaves and the number of seeds per pod of soybean. Jpn. J. Genet. 9 : 208-225. 

  12. You, M. D., Y. B. Liu, T. J. Zhou, and J. Y. Gai. 1995. Effects of leaf shape on seed yield and its components in soybeans. Soybean Genet. News. 22 : 66-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