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숙아를 출산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19 no.1, 2013년, pp.39 - 48  

황현숙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김희순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  유일영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  신현숙 (경희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미숙아를 출산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어머니와 아동 특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 관련성 확인을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서울소재 Y대학병원에서 미숙아로 태어나 신생아집중치료실 치료를 받고 퇴원한 교정연령 4개월 이상 12개월 이하 영아 어머니 36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와 아동의 일반적 특성, 아동의 발달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K-ASQ,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측정을 위해 Abdin (1990)이 개발한 PSI와 우울정도 측정을 위해 Beck (1967)의 우울척도 BDI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관계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미숙아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최고 175점 중 평균 $74.639{\pm}17.570$으로 양육스트레스가 있는 수준이었다. 어머니에게 사생활 여유(t=2.684, p<.05)가 있을 경우 총 양육스트레스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주거상태가 자택(t=-2.228, p<.05)일 경우와 지역사회로부터 자녀양육에 대한 정보지원을 받은 경우(t=2.855, p<.05) 양육스트레스 하부 영역 중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로 인한 양육스트레스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어머니 우울정도가 높을수록 총 양육스트레스가 높았으며(r=.569, p<.01), 양육스트레스 하부 영역 중 부모자녀의 역기능적 상호작용과 부모 스트레스(r=.590, p<.01),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로 인한 양육스트레스(r=.442, p<.01) 사이에 각각 높은상관성을 보였다. 결론 미숙아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중재를 위해 어머니 사생활 여유를 마련하고 지역사회로 부터 정보지원을 받을 수 있는 사회적 지지체계가 요구되며, 어머니 우울감소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발달상태 평가에 대한 부모 교육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and stress related characteristics of mothers and infants. Methods: The methodology was a cross sectional survey study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6 mother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bidin (1990)이 개발한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PSI)를 Kim & Park (2009)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이용하였다. 본 도구는 부모-자녀 체계의 역기능적 측면이나 부모에게 스트레스를 가져오는 요인을 밝히고자 개발한 부모용 자가 보고식 질문지이다. PSI는 3가지 하위척도로 구성되는데, 부모가 자녀양육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그 근원에 따라 부모의 스트레스 12문항, 부모와 자녀의 역기능적인 상호작용 12문항,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 11문항의 총 3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 본 연구는 미숙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어머니와 아동 특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파악해 미숙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감소하기 위한 근거자료 확보를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미숙아를 출산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실태를 파악하고 아동과 어머니의 특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 관련성을 확인하는 자기 보고 설문지법에 의한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숙아를 양육하면서 경험하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정도와 양육스트레스와 관련된 선행변인을 확인함으로써 양육스트레스 고위험군 특성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현재 국내에서 수행된 양육스트레스 관련연구는 주로 정상 영유아 어머니 또는 영아기 이후의 아동을 대상으로 분석한 반면 자녀 양육에 있어 상당한 어려움과 부담을 지닌 미숙아 양육스트레스 관련요인 분석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미약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숙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아동의 일반적, 발달적 특성과 미숙아 어머니의 인구, 사회, 심리적 특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를 분석해 미숙아를 양육하면서 경험하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고위험군 특성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는 고위험군 어머니를 조기에 사정하고 중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미숙아의 성장발달을 돕고 미숙아 어머니의 건강증진과 모아상호작용 촉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숙아 출생의 주된 요인 중 하나에는 무엇이 있는가? 마지막 월경일로부터 재태 주령 37주 미만의 영아를 미숙아라고하며, 현대 여성의 적극적 사회 활동으로 인한 임신과 분만 적령기를 넘긴 결혼의 증가, 결혼을 하더라도 경제적 여건이나 자기개발 등의 이유로 임신을 미뤄 산모나이의 고령화 추세는 미숙아 출생의 주된 요인 중 하나이며 이러한 현상의 지속은 앞으로도 미숙아의 출생률이 계속 증가할 것을 예측하게 한다. 2011년 전체 출생아의 6.
미숙아란? 마지막 월경일로부터 재태 주령 37주 미만의 영아를 미숙아라고하며, 현대 여성의 적극적 사회 활동으로 인한 임신과 분만 적령기를 넘긴 결혼의 증가, 결혼을 하더라도 경제적 여건이나 자기개발 등의 이유로 임신을 미뤄 산모나이의 고령화 추세는 미숙아 출생의 주된 요인 중 하나이며 이러한 현상의 지속은 앞으로도 미숙아의 출생률이 계속 증가할 것을 예측하게 한다. 2011년 전체 출생아의 6.
미숙아의 출생률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마지막 월경일로부터 재태 주령 37주 미만의 영아를 미숙아라고하며, 현대 여성의 적극적 사회 활동으로 인한 임신과 분만 적령기를 넘긴 결혼의 증가, 결혼을 하더라도 경제적 여건이나 자기개발 등의 이유로 임신을 미뤄 산모나이의 고령화 추세는 미숙아 출생의 주된 요인 중 하나이며 이러한 현상의 지속은 앞으로도 미숙아의 출생률이 계속 증가할 것을 예측하게 한다. 2011년 전체 출생아의 6.0% (28,097명)가 37주 미만 미숙아로 10년 전(23,797명)에 비해 2%P가량 증가했으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증가 경향을 보인다고 발표한 2012년 통계청 출생통계보고는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한다(Statistics of birth data,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Charlotte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2. Ahn, Y. M. (2004). The Effects of the systemic follow up health care program on the health promotion and the risk reduction in premature infants and their mot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1129-1142. 

  3. Beck, A. T. (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NY: Harper & Row Publisher INC. 

  4. Chon, K. K., & Kim, K. H. (2003). Life stress and coping styles of korean housewives. Journal of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ealth, 8, 1-39. 

  5. Crnic, K. A., Greenberg, M. T., Ragozin, A. S., Robinson, N. M., & Basham, R. B. (1983). Effects of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mothers and preterm and fullterm infants. Child Development, 54, 209-217. 

  6. Han, H. M., Yum, T. H., Shin, Y. W., Kim, K. H., Yoon, D. H., and Chung, K. J. (1986). A standardization study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in Korea.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5, 487-502. 

  7. Hopper, A. (2000). Sources of stress for parents of a sick neonate: A literature review. Pediatric Nursing, 12(4), 29-32. 

  8. Kim, J. S., & Shin, H. S. (2010). Effects of a discharge education program using on-line community for parents of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6, 344-351. http://dx.doi. org/10.4094/jkachn.2010.16.4.344 

  9. Kim, M. Y., & Park, D. Y. (2009). Parenting stress, depression and verbal abuse of infant's mot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5, 375-382. http://dx.doi.org/10.4094/jkachn.2009.15.4.375 

  10. Kim, S. J., & Jeong, G. H. (1995). Mothers' perception of their normal and high-risk newborn during the early postpartum period.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 5-15. 

  11. Kim, S. Y., and Kwon, M. K. (2005). A comparative study on infant's temperament & parenting stress by premature & full-term infant's mother. Joural of Academic Society of Parent-Child Health, 8, 123-136. 

  12. Korean Society of Neonatology. (2008). Manual of Neonatal Care (2nd ed). Seoul: Kwangmun. 

  13. Lederman, R. P., Weigarten, C. G. & Lederman, E. (1981). Postpartum self-evaluation questionnaire, Measures of maternal adaptation. Birth Defect, 12, 201-231. 

  14. Lee, E. S. (1992). Maternal role attainment of primiparous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omen Health Nursing, 2, 5-20. 

  15. Lee, K. H. (1982). The study of mother's nursing need and perceived her role during puerperium perio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2, 67-79. 

  16. Mercer, R. T. (1981). Theoretical framework for study factors that impact on the maternal role. Nursing Research, 30, 73-77. 

  17. Peter, H. G., Dawn, M. E., Michael, J. O., and Monica, C. (2012).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preterm infants during early infancy. Early Human Development, 88, 45-49. 

  18. Quitter, A. I., Giueckauf, R. I., & Jackson, D. N. (1990). Chronic parenting stress: Moderating versus mediating eorts of social suppor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 329-336. 

  19. Statistics of birth data. (2011, Feburuary 27). Statistic Korea. Retrieved August 23, 2012, from http://www.kostat.go.kr#National. 

  20. Walker, L. O., Crain, H., & ompson, E. (1986). Maternal role attainment and identity in the postpartum period: stability and change. Nursing Research, 35, 68-7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