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숙아 부모를 위한 교육 관련 국내 연구논문의 통합적 고찰
Integrative Review on Caring Education Papers for Parents with a Premature Infant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19 no.2, 2013년, pp.120 - 129  

임미해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  오진아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지속적인 의료기술의 발달로 미숙아의 치료, 양육 방법이 변화되어지고 있으며,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교육매체 역시 다양화 되어지는 시점에서 미숙아 부모를 위한 미숙아 돌봄 교육과 관련된 국내 연구 논문을 통합적으로 고찰하여 그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각각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향후 교육방법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는 Whittemore와 Knafle (2005)이 제시한 통합적 고찰(integrative review) 방법으로 연구목적규정, 문헌검색, 데이터평가, 데이터 분석의 과정에 따라 체계적으로 탐색하고 논의하여 그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엄격한 선정기준과 제외기준을 적용하여 4개의 국내 논문데이터베이스에서 1990년부터 2012년 10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논문 중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는 16편으로 확정하였다. 결과 통합적 고찰결과 미숙아 부모를 위한 미숙아 돌봄 교육의 구성요소로는 '교육자로서의 간호사와 학습자로서의 부모', '교육 내용과 교육 효과', 그리고 교육 매체, 시기, 장소를 포함한 '교육 환경'으로 분류되었다. 결론 미숙아 돌봄 교육을 위하여 부모와 가족교육을 전담하는 간호사 역할의 인정과 기관과 정부의 지속적인 관리와 지원과 함께 다학제적인 접근으로 각 양육자에 따른 맞춤형 교육이 되어야할 것이다. 향후 미숙아 돌봄 교육에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교육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와 효율적인 교육매체의 개발과 효과적인 교육환경에서 미숙아 돌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Parents with a premature infant are usually confronted with difficulties in caring for their babies and need education on appropriate car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escribe the components of caring education for parents with a premature infant based on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고찰 결과 밝혀진 내용들은 앞으로 미숙아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자들은 미숙아 부모를 대상으로 미숙아 돌봄 교육을 시행하고 그결과를 보고한 모든 국내 연구문헌을 찾아서 통합적 고찰(integrative review) 방법으로 체계적인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미숙아 부모를 대상으로 미숙아 돌봄과 관련된 교육을 시행한 국내 연구논문을 통합적 고찰 방법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시행된 바 없는 통합적 문헌고찰의 방법을 이용하여 미숙아 부모를 대상으로 미숙아 돌봄 교육을 시행한 국내 연구논문 16편을 분석하고 그 구성요소를 확인하고 논의한 것이다. 각 연구논문의 의미 있는 결과를 통합한 결과 부모의 미숙아 돌봄 교육은 인적요소, 학습요소, 환경요소로 구분되는 일반적인 교육의 구성요소와 마찬가지로 3가지 구성요소로 분류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보고된 미숙아 부모를 위한 미숙아 돌봄 교육 관련 연구를 고찰하여 그 의미 있는 결과를 통합함으로써 미숙아 돌봄 교육의 구성요소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각 구성 요소에서 밝혀진 내용을 분석하고 논의함으로써 부모를 포함하여 미숙아를 돌보는 양육자들을 위한 향후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지침으로 삼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보고된 미숙아 부모를 위한 미숙아 돌봄 교육 관련 연구를 고찰하여 그 의미 있는 결과를 통합함으로써 미숙아 돌봄 교육의 구성요소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각 구성 요소에서 밝혀진 내용을 분석하고 논의함으로써 부모를 포함하여 미숙아를 돌보는 양육자들을 위한 향후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지침으로 삼고자 하였다.
  • 일반적으로 교육의 구성요소로는 인적 요소, 학습요소, 환경요소로 구분할 수 있는데(De Gagne & Oh, 2012), 본 연구에서도 교육자와 학습자의 인적요소, 교육내용과 교육효과를 포함하는 학습요소, 그리고 교육 환경요소 등으로 분석되어 유사한 결과임이 확인되었다. 이에 연구결과 밝혀진 각각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논의하면서 추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지속적인 의료기술의 발달로 미숙아의 치료, 양육 방법이 변화되어지고 있으며,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교육매체 역시 다양화 되어지는 시점에서 미숙아 부모를 위한 미숙아 돌봄 교육과 관련된 국내 연구 논문을 통합적으로 고찰하여 그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각각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향후 교육방법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숙아의 조기퇴원이 활성화가 가능해진 배경은? 미숙아 생존을 위한 치료와 간호는 주로 복잡하고 역동적인 병원 환경에서 이루어지지만(Anderson & Warren, 2011), 최근에는 가정에 서도 산소치료와 심전도 모니터링 등이 가능해지고 있으며, 병원 운영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재원일수 단축으로 미숙아의 조기퇴원이 활성화되고 있다(Lee, Lee, & Shin, 2009). 이러한 미숙아의 생존률 증가와 조기퇴원의 양상은 가정에서 영아를 돌보는 상황이 증가됨을 의미한다. 그러나 미숙아는 생명유지와 관련된 문제와 더불어 뇌성마비, 발달 지연, 감각인지장애, 그리고 행동장애 등과 같은 신경학적인 문제에 직면하기 때문에(Fanaroff & Martin, 2002; Yoon, 2007), 신생아집중치료 실에서 퇴원하여 가정에서 영아를 돌보아야 하는 부모는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미숙아 생존을 위한 치료를 위해 가정에서 할 수 있는 치료는? 미숙아 생존을 위한 치료와 간호는 주로 복잡하고 역동적인 병원 환경에서 이루어지지만(Anderson & Warren, 2011), 최근에는 가정에 서도 산소치료와 심전도 모니터링 등이 가능해지고 있으며, 병원 운영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재원일수 단축으로 미숙아의 조기퇴원이 활성화되고 있다(Lee, Lee, & Shin, 2009). 이러한 미숙아의 생존률 증가와 조기퇴원의 양상은 가정에서 영아를 돌보는 상황이 증가됨을 의미한다.
신생아사망률의 가장 큰 원인은? 신생아사망률의 가장 큰 원인은 조산으로 인한 미숙(prematurity)이지만(Anderson & Warren, 2011), 신생아 집중치료기술의 발달로 과거 생존이 어렵다고 생각했던 출생 시 체중 1,500 g 미만의 저출생체중아의 생존율이 76.6% 이상으로 향상되고 24주 미만의 극소미숙아들이 소생함으로써 미숙아의 생존한계를 극복하고 있다(Lee,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derson, J. M., & Warren, J. B. (2011). Using simulation to enhance the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clinical skills in neonatology. Seminars in Perinatology, 35, 59-67. http://dx.doi.org/10.1053/j.semperi.2011.01.004 

  2. Bowling, A. (2002). Research methods in health: Investigating health and health services (2nd edn). Berkshire, UK: Open University Press. 

  3. Choi, Y. Y. (2008). Management of premature and low birth weight infant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1(8), 745-754. http://dx.doi.org/10.5124/jkma.2008.51.8.745 

  4. Chung, S. H., Choi, Y. S., & Bae, C. W. (2011). Changes in the neonatal and infant mortality rate and the causes of death in Korea. The Korean Pediatrics Society, 54(11), 443-455. http://dx.doi.org/10.3345/kjp.2011. 54.11.443 

  5. De Gagne, J. C., & Oh, J. (2012). Health promotion education in a virtual world: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81-93.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1.081 

  6. Fanaroff, A. A., & Martin, R. J. (2002). Neonatal perinatal medicine disease of the fetus and infant (7th ed.). St. Louis: Mosby. 

  7. Han, K. J. (2001). Development of a home-based nursing intervention, mothering program for low-birth-weight Infa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8(1), 5-24. 

  8. Hong, K. C. (2004). Issues and directions on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media.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7(1), 47-77. 

  9. Jang, Y. S. (2005). Effects of a maternal role promotion program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on maternal role strain,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maternal identity.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1(4), 472-480. 

  10. Jung, K. H. (1999). Effect of planned nursing intervention on the stress, the maternal role strain, and the maternal role performance of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5(1), 70-83. 

  11. Kim, J. S. (2012).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edia utilization by professors in college classes: Focused on the grounded theor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3), 497-529. 

  12. Kim, J. S., & Shin, H. S. (2010). Effect of a discharge education program using on-line community for parents of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6(4), 344-351. 

  13. Kwon, H. K., & Kwon, M. K. (2007). Effect of discharge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on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parenting str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3(1), 58-65. 

  14. Kwon, Y. D., Sung, Y. H., Kwon, I. G., & Hwang, M. S. (2008).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clinical nurses with expanded rol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4(3), 99-115. 

  15. Lee, C. H., Sung, Y. H., Yi, Y. H., Cho, Y. A., & Kwon, I. G. (2007). The role analysis of intensive care unit nurse and critical care advanced practice nurse. Clinical Nursing Research, 13(3), 93-108. 

  16. Lee, H. J., Lee, K. O., & Shin, M. K. (2009). Analysis of maternal child health services in Korea: Perspective of the premature infa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5(1), 81-87. 

  17. Lee, I. H. (2009). Construction a website for premature infant; Based on the survey of previous homepag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5(2), 210-218. 

  18. Lee, J. M., Oh, S. J., Kim, K. A., Lee,. E. J., Lee, J. Y., Hwang, M. S., et al. (2010). Effects of a home-based discharge program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on oxygen therapy at h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6(2), 144-155. 

  19. Lee, M. S., Kim, E. R., Jin, H. S., Shim, J. W., Kim, M. H., Lim, J. W., et al. (2010). A multicenter study of preterm birth weight and gestational age-specific neonatal survival rate and causes of death.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21(4), 369-376. 

  20. Lee, N. Y., & Kim, Y. H. (2008).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Learning program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1), 152-160. 

  21. Oh, J. (2007). A structural model on the quality of life of grandmothers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3(2), 201-211. 

  22. Oh, J., Kang, J., & De Gagne, J. C. (2012). Learning concepts of cinenurducation : An integrativew review. Nurse Education Today, 32(8), 914-919. http://dx.doi.org/10.1016/j.nedt.2012.03.021 

  23. Oh, J., Oh, Y. A., & Nam, Y. H. (2005). The paternal attachment to neonate in one hospital.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8(2), 137-146. 

  24. Park, H. S., & Rhee, C. W. (2007). Post-discharge adjustment of families with pre-term infa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4, 151-175. 

  25. Sung, Y. H., Lim, N. Y., Park, K, O., Jung, J. H., Kwon, I. G., Kim, U. S., et al. (2009). Job analysis for role identification of clinical nurses with expanded role: Clinical nurse with education and clinical nurse with coordina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2), 139-155. 

  26. Wall, S. (2006). Living with grey: Role understandings between clinical nurse educators and advanced practice nurses. Nursing Leadership, 19(4), 57-71. http://dx.doi.org/10.12927/cinl.18602 

  27. Watson, A. (2010). Understanding neurodevelopmental outcomes of prematurity. Advances in Neonatal Care, 10(4), 188-193. http://dx.doi.org/10.1097/ANC.0b013e3181e9414b 

  28. Whittemore, R., & Knafl, K. (2005). The integrative review: Updated methodolog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2(5), 546-551.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5.03621.x 

  29. Willis, V. (2008). Parenting preemies: A unique program for family support and education after NICU discharge. Advances in Neonatal Care, 8(4), 221-230. http://dx.doi.org/10.1097/01.ANC.0000333710.83517.19 

  30. Yoon, H. S. (2007). Post discharge care of prematurity.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50(1), 14-19. http://dx.doi.org/10.3345/kjp.2007.50.1.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