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시설 아동의 건강관리향상을 위한 생태학적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n Ecological Model to Improve Health Care Management for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19 no.1, 2013년, pp.59 - 68  

박은숙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임여진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조은지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보육시설 내 아동건강관리 현황 및 생태학적 모형의 체계에 따른 아동건강관리 장애요인을 확인하고 보육시설 아동건강관리 향상을 위한 생태학적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방법 포커스 그룹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서울특별시 S구 소재 보육시설 중 재원아동 70명 이상의 국공립, 법인 및 민간 어린이집의 원장, 보육교사, 보육아동 부모, 3개 집단 총 22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한 후 잠재적 내용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보육시설 내 아동건강관리 현황으로는 '발달상태확인', '건강행위훈련' 등 12개 범주가 확인되었다. 생태학적 체계에 따른 보육시설 내 아동건강관리 장애요인으로는 질병관리에 대한 지식부족, 갑작스런 사고에 대한 미숙한 대처, 아동건강관리 전문인력의 부재, 유용한 건강관리 매뉴얼의 부족, 발달 및 건강에 대한 보육시설-부모 간 의견차이, 자녀건강관리에 대한 부모의 과도한 위임, 건강관리와 관련된 보육시설평가인증 항목의 부족 등 총25개 범주가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시된 보육시설 아동건강관리 향상을 위한 생태학적 모형은 보육아동을 위한 건강관리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체계의 요인을 고려한 프로그램 및 정책 개발 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current health care management and barriers in health care management according to ecological systems, and to develop an ecological model for enhancing health care in child care centers.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directors an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육시설 원장, 보육교사, 보육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보육시설 내 아동건강관리 현황을 파악하고, 아동 건강관리의 장애요인을 확인하며 보육시설 아동의 건강관리향상을 위한 생태학적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 개발된 보육시설 아동건강관리 향상을 위한 생태학적 모델을 통해 보육교사의 아동건강관리(질병관리 및 사고대처 포함) 지식향상, 아동건강관리 전문인력 배치, 발달연령별 체계적 건강관리매뉴얼 개발, 환아를 위한 돌봄 인프라 개발, 보육시설-부모 간 건강관리 정보공유 활성화, 자녀건강관리에 대한 상호협조 및 일관성 증진, 그리고 보육시설-부모 간 자녀의 발달 및 건강문제에 대한 정확한 정보 공유가 아동건강관리 향상을 위한 전략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아동건강 관련 평가인증 세부항목 개발 및 인증대상 확대, 건강관련 체계적 계속교육의 상설, 등원제한아동을 위한 지역사회 임시 위탁시설 마련, 주치의제도 활성화 방안 마련, 전문적 건강관리교육을 위한 보건의료 단체와의 협력 증진, 보육시간 운영의 다양화 정책 마련, 지역사회 내 보건의료교육기관과의 연계 활성화 방안 마련, 건강관련 보육예산 확대, 체계적 건강관리를 포함하는 양질의 보육기관 증설 전략도 아울러 포함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 아동건강관리 향상을 위한 모형을 개발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보육시설 아동을 중심으로 미시체계인 가족과 보육시설, 중간체계인 부모와 보육시설간의 연계, 외체계인 지역사회 보건의료시설, 보육시설아동 건강관리 규정, 지침 및 설비기준, 거시체계인 아동보육 및 건강관련 법적 제도, 사회문화적 가치 등을 고려하여 보육시설 원장, 보육교사, 보육시설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시행하고 이를 통해 보육시설 내 아동건강관리 현황, 아동건강관리에 대한 장애요인을 확인하며 보육시설 아동의 건강관리 향상을 위한 생태학적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적인 차원에서 영유아 및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영유아 및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관리는 생애 주기 중 초기의 건강한 출발을 확보하고 평생건강의 기틀이 된다는 점에서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고 있다(Hwang, 2008). 특히 낮은 출산율을 보이고 있는 국내 실정을 고려했을 때 차세대 건강한 인적 자본을 확보하기 위한 영유아기 아동의 건강관리는 그 중요성이 더 부각되고 있고 이러한 기조는 우리나라 현행 복지 정책의 기본방향인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ealth Plan 2010)에도 부합되는 것이다(Eun et al., 2007).
취학 전 아동을 보육시설에 위탁하는 요구가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우리 사회는 가족구조의 변화 및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 보육료 지원 등 정부의 적극적인 보육지원정책 증가 등으로 취학 전까지 보육시설에 자녀 양육을 위탁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국내 5세 이하 영유아 중 41.
2009년 기준 보육시설의 보육을 받는 아동은 어느 정도인가? 최근 우리 사회는 가족구조의 변화 및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 보육료 지원 등 정부의 적극적인 보육지원정책 증가 등으로 취학 전까지 보육시설에 자녀 양육을 위탁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국내 5세 이하 영유아 중 41.3%의 아동이 보육시설의 보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며(Statistics Korea, 2009), 향후 보육수요는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kon, A., Farrer, J., & Bernzweig, J. (2004). Child care health consultants' roles and responsibilities: Focus group findings. Pediatric Nursing, 30, 315-321. 

  2.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and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2002). Caring for out children-national health and safety performance standards: guidelines for out-of-home child care. 2nd ed. Elk Grove Village, IL, USA. 

  3. Bang, K. S. (2005). Effect of community based child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child care teachers.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8, 23-36. 

  4. Benjamin, S. E., Tate, D. F., Bangdiwala, S. I., Neelon, B, H., Ammerman, A. S., Dodds, J. M., et al. (2008). Preparing child care health consultants to address childhood overweigh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web to in-person training. Maternal and Child Health Journal, 12, 662-669. http://dx.doi.org/10.1007/s10995-007-0277-1. 

  5.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6. Choi, N. Y., Jeon, M. Y., Seo, H. M., Seok, J. W., Kim, M. S., & Jeong, H. C.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ombined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6, 314-323. 

  7. Crowley, A. A. (2001). Child care health consultation: An ecological model. Journal for Specialists in Pediatric Nursing, 6, 170-180. 

  8. Crowley, A. A., & Kulikowich, J. M. (2009). Impact of training on child care health consultant knowledge and practice, Pediatric Nursing, 35, 93-100. 

  9. Crowley, A. A., & Sabatelli, R. M. (2008). Collaborative childcare health consultation: A conceptual model. Journal for Specialists in Pediatric Nursing, 13, 74-88. 

  10. Dellert, J. C., Gasalberti, D., Sternas, K., Lucarelli, P., & Hall, J. (2006). Outcomes of child care health consultation services for child care providers in New Jersey: A pilot study. Pediatric Nursing, 32, 530-565. 

  11. Eun, B. L., Kim, S. W., Kim, Y. K., Kim, J. W., Moon, J. S., Park, S. K., et al. (2007). Introduction of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for infant and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 Child Neurology Society, 15, 142-147. 

  12. Gaines, S. K., Wold, J. L., Bean, M. R., Brannon, C. G., & Leary, J. M. (2004). Partnership to build sustainable public health nurse child care health support, Family Community Health, 28, 346-354. 

  13. Gupta, R. S., Shuman, S., Taveras, E. M., Kulldorff, M., & Finkelstein, J. A. (2005). Opportunities for health promotion education in child care. Pediatrics, 116, 499-505. http://dx.doi.org/10.1542/peds.2005-0467 

  14. Han, K. J., & Kim, J. S. (2007). Parent's needs for center-based child care health program.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3, 43-50. 

  15. Han, K. J., Bang, K. S., Kwon, M. K., Kim, J. S., Choi, M. Y., & Huh, B. Y. (2010). Development of visiting nurse's service model in child day-care cent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14, 57-73. 

  16. Han, K. J., Kim, J. S., & Choi, M. Y. (2009). Assessment of health status in children and healthcare needs in the day care cent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13, 220-233. 

  17. Hwang, N. M. (2008). Future directions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policy for healthy start in life.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7, 5-19. 

  18. Kim, H. J., & Kim, C. N. (2001). Review of literatures on focus group method in qualitative study.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5, 1-21. 

  19. Kim, H. S., Ra, J. S., Lee, H. J., & Choi, E. K. (2008). Health management status of day 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4, 295-304. 

  20. Kim, H. S., Lee, C. Y., Lee, T. H., & Ham, O. K. (2006). Health education and health care in daycare centers for preschool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3, 109-123. 

  21. Kim, I. O., & Kang, R. H. (2005). A survey on the health examination of child 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1, 308-315. 

  22. Kim, J. S. (2006). Health status of children in the day care centers.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10, 13-24. 

  23. Kim, J. S. (2010). Development and effect of a web-based child health care program for the sta at child day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0, 213-224. http://dx.doi.org/10.4040/jkan.2010.40.2.213. 

  24. Kim, J. S., & Han, K. J. (2006). Health problems and health services in child day care center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2, 25-33. 

  25. Kim, S. J., Yang, S. O., Lee, S. H., Lee, J. E., Kim, S. H., & Kang, K. A. (201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hild health care protocol for child day care center teac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7, 74-83. 

  26. Lee, S. M., & Jo, M. S. (2010). Early child care teachers' treatment method on emergency situation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7(4), 55-80. 

  27. Morse, J. M., & Field, F. A. (1995).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health professional. 2nd ed. SAGE Publications. 

  28. Oh, K. S., Sim, M. Y., & Choi, E. K. (2009). Effect of an education program on child health and safety for child care teac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5, 5-14. 

  29. Park, J. Y., & Chung, M. J. (2009). A study of child care teachers' recognition of infants' and preschoolers' mental health.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4, 237-260. 

  30. Statistics Korea. (2009). National survey on child care services. Daejeon: Statistics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