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학적 모델을 적용한 학교 기반 흡연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iveness of School-based Smoking Prevention Program on Ecological Model in Adolescent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3 no.3, 2012년, pp.327 - 337  

최연희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하영선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박민아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an adolescent school -based smoking prevention program. Methods: The study was done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399 non-smoking high school students in Kyongbuk province. The subj...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흡연예방 교육 프로그램이나 금연을 위한 프로그램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특정 이론을 선정하는 지침이나 이론의 적용에 대한 지침은 없으며, 학교 전체를 기반으로 한 조직 구성원과 학교 환경의 상호체계를 활용한 생태학적 모델을 적용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생태학적 모델을 적용한 학교 기반 흡연예방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청소년에게 적용한 후 그 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생태학적 모델을 적용한 학교기반 흡연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 사후 유사 실험연구이다(Figure 1).
  • 본 연구는 생태학적 모델을 적용한 학교기반 흡연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기반 흡연예방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흡연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결과 생태학적 모델을 적용한 학교기반 흡연예방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흡연 지식, 흡연예방 프로그램 지식, 흡연 태도, 흡연 예방 기술이 유의하게 높아졌다.
  • 지역사회 요인 중 흡연예방 캠페인은 2011년 9월 17일 학교주변의 금오산 잔디광장에서 실시되었다. 흡연예방 및 금연 캠페인에 참여함으로서 흡연예방 및 금연의지를 공고히 하고자 하였으며, 흡연예방 및 금연에 대한 지역주민 대상 홍보 활동을 통하여 흡연예방 및 금연분위기를 조성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이 직접 제작한 A1크기의 홍보물 35점을 전시하였으며, A4 1/2크기의 흡연예방 홍보물을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배부하였다(Table 1).

가설 설정

  • 가설 1. 생태학적 모델을 적용한 학교기반 흡연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흡연 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3. 생태학적 모델을 적용한 학교기반 흡연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흡연 태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4. 생태학적 모델을 적용한 학교기반 흡연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흡연예방 기술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2. 생태학적 모델을 적용한 학교기반 흡연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흡연예방 프로그램 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학적 모델이란 무엇인가? 생태학적 모델은 행동의 환경적 원인에 관심을 갖고 환경적 개입을 파악하는 것이다. 건강행동 변화에 대한 환경적, 정책적 맥락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건강행동의 모든 책임을 개인에게 전가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건강행동에 대한 개인, 개인 간, 조직, 지역사회로의 접근차원을 구분하여 중재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McLeroy, Bibeau, Steckler, & Glanz, 1988).
행동변화가 달성되기 위한 가장 최상의 조건은 무엇인가? 건강행동 변화에 대한 환경적, 정책적 맥락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건강행동의 모든 책임을 개인에게 전가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건강행동에 대한 개인, 개인 간, 조직, 지역사회로의 접근차원을 구분하여 중재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McLeroy, Bibeau, Steckler, & Glanz, 1988). 행동변화가 달성되기 위한 가장 최상의 조건은 환경과 정책이 건강한 선택을 지원하고 건강한 선택을 지지하는 사회적 규범과 지지가 강력할 때 개인이 긍정적 선택을 하도록 동기 유발된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생태학적 모델의 영향을 받는다.
생태학적 모델을 적용한 학교기반 흡연예방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흡연 지식, 흡연예방 프로그램 지식, 흡연 태도, 흡연 예방 기술이 유의하게 높아졌는데 이 점이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연구결과 생태학적 모델을 적용한 학교기반 흡연예방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흡연 지식, 흡연예방 프로그램 지식, 흡연 태도, 흡연 예방 기술이 유의하게 높아졌다. 이는 학교기반 흡연예방 프로그램이 학교 현장에서 청소년의 흡연예방을 위한 방안으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학교기반 흡연예방 프로그램이 비흡연 청소년들의 흡연예방 행위를 지속하는 데 효과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현재 비흡연 청소년을 위한 여러 가지 예방 방법이 혼용되고 있는 현실에서 학교기반 흡연예방 프로그램은 학교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비흡연 청소년의 흡연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학교기반 흡연예방 프로그램의 적용을 학교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e, J. Y., & Choi, S. H. (2009). Prevalence of substance abuse among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8 (1), 21-30. 

  2. Byeon, J. O., & Cho, Y. T. (2010). School smoking rate as a social factor affecting the adolescent smoking in Korea: Multilevel analysi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 (4), 7-16. 

  3. Cho, G. G. (2002). The influence of the smoking-cessation program on the smoking of high school students - oriented to vocational-high school students of Su-won area.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12, 147-156. 

  4. Choi, Y. M., & Kang H. S. (2004). An experiment to test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on prevention of smok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 Nursing, 11, 335-343. 

  5.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 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2), 175-191. 

  6. Flay, B. R. (2009). School-based smoking prevention programs with the promise of long-term effcts. Tobacco Induced Diseases. Tobacco Induced Diseases, 5, 1-18. http://dx.doi. org/10.1186/1617-9625-5-6 

  7. Glynn. T. J. (1989). Essential elements of school-based smoking prevention programs. Journal of School Health, 59 (5), 181-188. 

  8. Hur, H. K., Kim, G. Y., Park, S. M., & Shin, Y. H. (2003). Effects of health promotion education program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self efficacy in sexuality, drinking, and smoking among college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 (2), 19-33. 

  9. Jo, I. K. (2009). Women's health issues from the 4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7) - Focusing on quality of life, smoking, drinking, nutrition and exercise -.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Women's Health, 10, 115-152. 

  10. Jo, S. I., Park, S. J., Lee, H. J., & Kim, Y. M. (2008). Prediction for smoking prevalence and smoking attributable death according to tobacco control policy (LF9200807091113). Seoul: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11. Kang, S. Y., & Kim, S. N. (2005). School-based educational programs for anti-tobacco use at Busan middle and high School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2 (4), 91-105. 

  12. Kim, H. D., Lee, S. E., Kim, C. S., & Lee, K. G. (2008). The study of difference in physical fitness, bone mineral density and the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according to smoking habits in premenoposal women. Journal of Sports and Leisure Studies, 33, 928-932. 

  13. Kim, H. K. (2010). Development of health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health behavior change: Application of social ecological models to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 (4), 177-188. 

  14. Kim, J. H., Lee, H. W., & Kim, K. W. (1999). Dietary Intakes, serum lipids and hematological indices in female adolescent smokers. Korean Journal Community Nutrition, 4 (2), 149-156. 

  15. Kim, S. K. (2009). Cigarette smoking and diabetes. Korean Clinical Diabetes, 10 (2), 73-75. 

  16. Kim, S. K., & Jeong, G. C. (2006). The effect of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college freshmen.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13, 1-24. 

  17. Kim, S. Y., & Chung, Y. S. (2003). The effects of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o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 (2), 81-94. 

  18. Ko, J. J. (1992). The influence of knowledge of smoking and attitude of smoking on smoking behavior.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0 (2), 37-49. 

  1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2). 7th youth health behavior research online (ISSN 2005-2456). Seoul: Author. 

  20. Lee, C. S., Kim, S. J., & Kweon, Y. R. (2009). The effect of smoking and drinking prevention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8, 105-115. 

  21. McLeroy, K. R., Bibeau, D., Steckler, A., & Glanz, K. (1988).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health promotion programs. Health Education Quarterly, 15, 351-377. 

  22. Park, S. W., Lee, J. Y., & Park, J. H. (2004).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a smoking prevention program fo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1 (1), 153-170. 

  23. Seo, M. K. (2011). Women's smoking behavior: Factors and policy options. Health-Welfare Policy Forum, 172, 59-67. 

  24. Shin, S. R., Lee, S. W., & Kim, S. K. (2006). The effect of school based smoking prevention program for college freshme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8 (2), 202-212. 

  25. Sug, H. H., Ho, J. J., & Kim, W. J. (2004). Effects of a well-designed program for smoking prevention applicated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1 (1), 171-182. 

  26. Thomas, R. E., & Perera, R. (2006, April 19). School-based programmes for preventing smoking.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3, Article CD001293. Retrieved April 18, 2008, from http://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 14651858.CD001293.pub2/pdf 

  27. Waltz, C. W., & Bausell, R. B. (1981). Nursing research: Design, statistics and computer analysis. Philadelphia, PA: F.A. Davis. 

  28. Wiehe, S. E., Garrison, M. M., Christakis, D. A., Ebel, B. E., & Rivara, F. P. (2005). A systematic review of school-based smoking prevention trials with long-term follow-up.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36, 162-1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