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자기반 매체에서 느끼는 사회적 현존감: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사례
Perceived Social Presence in the Text-Based Media: Mobile Communication Cas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1, 2013년, pp.164 - 174  

이해경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이혜정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이정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과 함께 카카오톡, 페이스북, 문자메시지와 같은 문자기반 매체의 활용도가 증가하여 대인간의 주요 의사소통 매체로서 자리 잡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자기반 매체들에서 사회적 현존감이 서로 다르게 인지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각 매체별로 인지되는 사회적 현존감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설문을 구성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사용자는 자신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매체가 사회적 현존감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매체별로는 카카오톡, 페이스북, 문자메시지 순으로 사회적 현존감이 높게 인식되고 있었고, 각 매체별 사회적 현존감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가 사회성이 높고, 20대 이하이며, 학생일수록 다른 그룹들보다 사회적 현존감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현존감이 실제 사용에 있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찾아낸 본 연구에 후속으로는 어떠한 매체적 특성이 사회적 현존감의 차이를 불러일으키는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advent of smart phone, a variety of text-based media are developed and used as popular communication tools even in mobile phone environment. This study explores differences in terms of users' perceived social presence level across different text-based media, specifically KakaoTalk, Facebo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스마트폰에서 사용되는 문자기반 매체(카카오톡, 페이스북, 문자메시지)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개별 매체에 대한 사회적 현존감 연구나 영상, 음성, 문자 등 서로 상이한 매체간의 사회적 현존감 비교는 상당한 연구가 있었으나, 스마트폰에서 사용되는 문자기반 매체들 간의 사회적 현존감을 다룬 연구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문자기반 매체의 사회적 현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매체적 개인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 그러나 이는 영상, 음성, 문자 등 신호체계가 서로 다른 매체간의 비교였으며, 동일한 신호를 기반으로 하는 매체간의 비교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카카오톡과 페이스북 등 문자기반 매체간의 비교를 통해 이들 매체 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 연구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에서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카카오톡, 페이스북과 기존의 문자메시지를 개별적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보았으며, 의사소통시 상대방과 함께 있다고 느끼는 정도를 나타내는 사회적 현존감을 매체의 속성으로 선정하여, 각 매체별 사회적 현존감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사용자 특성에 따라 사회적 현존감을 다르게 인식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개인의 사회성 수준 및 인구통계학적(연령, 직업) 특성에 따라 매체의 사회적 현존감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사소통시 상대방과 함께 있다고 느끼는 정도가 카카오톡이 가장 높다고 할 수있는 이유는? 둘째, 스마트폰 문자기반 매체 사용자는 카카오톡, 페이스북, 문자메시지 순서로 사회적 현존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카카오톡의 사회적 현존감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카카오톡의 무료 통신, 그룹 통신을 통한 즉각적인 피드백과 다양한 형태의 멀티 미디어 정보 제공 등과 같은 특징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속성은 카카오톡이 면대면으로 직접 대화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가장 많이 전달하는 것으로 상대방을 따뜻하고(warm), 인간적이며(personal), 예민하고(sensitive), 사교적(sociable)으로 느낀 정도가 다른 두 매체보다 높다고 할 수 있다[13]. 아울러서 상대방이 메시지를 읽었는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점도 사회적 현존감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폰은 어떤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가? 스마트폰은 기존에 가지고 있던 통화의 기능뿐만 아니라 사람 간 소통의 매개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영상, 음성, 문자 등 다양한 대인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음성, 문자 등 다양한 부분에 대한 선행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이를 살펴보면 대인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모바일 이용 행위를 채널 선택이라는 관점으로 접근하여 어떤 상황에 문자를 보내고 전화를 하는지에 대한 탐색적 연구가 있었으며[4], 문자메시지를 휴대폰을 통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메시지 교류와 전달이 가능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라고 보고 미디어의 선택이 사용자의 긍정적 태도와 관련된다는 연구가 진행되었다[5], 또 김예란(2008)은 영상통화를 하나의 매체로 구분하여 음성이동성과는 다른 ‘영상이동성 인터페이스’와 관련이 있다고 보았는데[6] 이것은 모바일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멀티미디어 매체로서의 기능으로 구분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어떤 점에서 기존의 휴대폰과 차이를 보이는가? 스마트폰은 2004년 Research In Motion(RIM)이 출시한 ‘블랙베리’가 미국 대도시 사무직을 중심으로 보급되기 시작했고, 국내에는 2009년 하반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스마트폰 출시 경쟁으로 급속하게 보급되었다[2]. 스마트폰은 네트워크 접속성에 있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대폭 뛰어넘어 사용자가 필요한 서비스와 정보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휴대폰과 차이를 보인다. 또한, 최근 급속히 확대되고 있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시장에 의해 사용자의 스마트폰 활용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F. Biocca, "The cyborg's dilemma: embodiment in virtual environments," in Cognitive Technology, 1997. 'Humanizing the Information Age'. Proceedings.,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p.12-26, 1997. 

  2. 권기덕, 임태윤, 최우석, 박성배, 오동현, CEO Information: 스마트폰이 열어가는 미래, 삼성경제연구소, 2010. 

  3. 김수연, 이상훈, 황현석, "스마트폰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제10권, 제1호, pp.29-39, 2011. 

  4. 김주환, 진보래, "모바일 미디어에서의 채널 선택",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회 2005년 봄철정기학술 대회, pp.113-118, 2005. 

  5. 김유정, "미디어 선택과 이용에 따른 이용자의 미 디어에 대한 태도 분석", 한국방송학보, 제16권, 제 3호, pp.105-135, 2002. 

  6. 김예란, "영상통화의 감각적, 정서적, 사회적 수용 양식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2 권, 제2호, pp.96-124, 2008. 

  7. 김은미, IT와 개인 의사소통 체계의 변화 - 유선전화, 휴대전화, 이메일을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5. 

  8. 나은영, "모바일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모바일 커 뮤니케이션의 매체적 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5권, 제4호, pp.189-228, 2001. 

  9. 배진한, "모바일의 충족과 대인커뮤니케이션 매체 로서의 모바일의 적합성 인식: 세대 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5권, 제4호, pp.160-189, 2001. 

  10. 이수영, "모바일 이용에 관한 연구, 음성통화와 문자서비스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7권, 제5호, pp.87-114, 2003. 

  11. 김헌, 김진형, "스마트폰 메신저에서 감성적 커뮤 니케이션을 위한 GUI 연구", 디자인지식저널, 제 18권, 제1호, pp.142-155, 2011. 

  12. 임재해, "페이스북 공동체의 소통 기능과 정치적 변혁성", 한국민속학회, 제55권, 제1호, pp.145-188, 2012. 

  13. J. Short, E. Williams, and B. Christie, The Social Psychology of Telecommunications, John Wiley and Sons Ltd, 1976. 

  14. 이은주,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트위터", 언론정보연구, 제48권, 제1호, pp.29-58, 2011. 

  15. M. Lombard and T. Ditton, "At the Heart of It All: The Concept of Presence,"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3, No.2, 1997. 

  16. 황하성, "사회적 현존감(Social Presence)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7권, 제2호, pp.529-561, 2007. 

  17. 황하성, 이옥기, "사용자 특성에 따른 모바일의 매체풍요도 인식 및 이용의 차이", 한국언론학보, 제 53권, 제2호, pp.300-324, 2009. 

  18. F. Biocca, C. Harms, and J. K. Burgoon, "Toward a More Robust Theory and Measure of Social Presence: Review and Suggested Criteria," Presence: Teleoperators & Virtual Environments, Vol.12, No.5, pp.456-480, 2003. 

  19. 최승영, 장우진, "로커티브 미디어의 증강현실과 사회적 현존감에 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8호, pp.88-101, 2011. 

  20. J. B. Walther, "Interpersonal Effects in Computer-Mediated Interaction A Relational Perspective," Communication Research, Vol.19, No.1, pp.52-90, 1992. 

  21. R. L. Daft and R. H. Lengel, "Organizational Information Requirements, Media Richness and Structural Design," Management Science, Vol.32, No.5, pp.554-571, 1986. 

  22. R. Rice and G. Love, "Electronic Emotion: Socioemotional Content in a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Network," Communication Research, Vol.14, No.1, pp.85-108, 1987. 

  23. J. B. Walther and J. K. Burgoon, "Relational Communication in Computer-Mediated Interac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19, No.1, pp.50-88, 1992. 

  24. 박선희, "인터페이스 감각양식이 사회적 현존감 및 온라인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4호, pp.398-419, 2010. 

  25. J. M. Cheek and A. H. Buss, "Shyness and sociabil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1, No.2, pp.330-339, 1981. 

  26. A. Keenan and A. Shiri, "Sociability and social interaction on social networking websites," Library Review, Vol.58, No.6, pp.438-450, 2009. 

  27. P. Hills, "Happiness, introversion-extraversion and happy introver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0, No.4, pp.595-608, 2001. 

  28. D. F. Spake and C. M. Megehee, "Consumer sociability and service provider expertise influence on service relationship success,"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Vol.24, No.4, pp.314-324, 2010. 

  29. G. S. Russ, R. L. Daft, and R. H. Lengel, "Media Selection and Managerial Characteristics i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s,"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Vol.4, No.2, pp.151-175, 1990. 

  30. 배진한, "이용자의 내향성-외향성에 따른 대인매체 이용의 차이", 언론과학연구, 제5권, 제3호, pp.303-336, 2005. 

  31. Q. Gao, "Understanding factors affecting perceived sociability of social softwar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6, No.6, pp.1846-1861, 2010. 

  32. 강수진, 김성진, 이상호, "통신서비스 소비자의 스마트폰 메신저 이용 패턴연구" 한국전략마케팅학회 학술대회, pp.598-631, 2011. 

  33. K. Kreijns, "Determining sociability, social space, and social presence in (a)synchronous collaborative groups," Cyberpsychology & Behavior: The Impact Of The Internet, Multimedia And Virtual Reality On Behavior And Society, Vol.7, No.2, pp.155-172, 2004. 

  34. H. J. So and T. A. Brush, "Student perceptions of collaborative learning, social presence and satisfaction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Relationships and critical factors," Computers & Education, Vol.51, No.1, pp.318-336, 2008. 

  35. http://www.socialbakers.com/facebook 

  36. 박나래, 최현석, 이중정, "스마트폰 사용자의 테크 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 제9권, 제2호, pp.179-186,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