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잣나무 채종원에서 구과 착과수에 따른 구과 및 종자특성
Cone and Seed Characteristics among Different Cone Abundance Classes in a Seed Orchard of Pinus koraiensi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6 no.1, 2013년, pp.1 - 8  

김인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허성두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잣나무의 구과 착과량에 따른 구과 및 종자특성의 변화 양상을 구명함으로써 잣나무 채종원의 효율적 관리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7년 충주 소재 잣나무 채종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전체 조사목 중 96.3%가 착과되었으며 본 당 구과수는 평균 27.4개였다. 본 당 구과 착과수에 따라 8개의 계급으로 나누어 분석을 했는데, 구과 착과수가 많아질수록 구과길이, 구과폭, 구과무게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과 착과수가 많아질수록 임성인편수, 종자생산능력, 충실종자율, 종자무게, 종자효율은 감소하고 둘째해 고사배주율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종자결실이 풍년으로 구과가 다량 착과되는 해에는 평년에 비해 종자의 균일성 및 품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특히, 잣나무는 구과와 종자의 크기가 크고 무거울수록 포지와 조림지에서의 생장이 좋다는 보고가 있는 점을 감안할 때, 결실 풍년으로 인해 종자의 평균적인 크기와 무게가 감소되는 경우 향후 조림지에서의 유묘생장도 저조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결실이 풍년인 해에는 착과량을 인위적으로 적정수준으로 조절하거나 종자 정선 시 평년 수준의 종자크기 또는 무게를 가진 것들을 선별하여 공급하는 방안 등 다각적인 대처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e abundance and cone/seed characteristics to improve seed quality and seed orchard management of Pinus koraiensi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P. koraiensis seed orchards at Chungju in 2007. That year was a rich year of cone harvest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8), 풍년의 과다착과는 종자품질 저하, 병충해 발생 증가, 종자채취 및 관리 비용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채종원에서 인위적으로 개화결실량을 조절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잣나무의 구과 착과량에 따른 구과 및 종자특성의 변화 양상을 구명함으로써 잣나무 채종원의 효율적 관리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잣나무의 특성은? 잣나무는 우리나라 고유수종으로 2년에 거쳐서 결실하며(Lee, 1993) 결실주기는 2~3년으로 알려져 있는데, 유구과(conelet)의 착과수가 많아지면 모수의 수체 내 양분 소모가 커서 다음해에 쭉정이 수가 많아지는 경향이 있으며(Chon et al., 1984), 착과수는 모수의 흉고직경과 수관면적이 크고 주간의 분지수가 많을수록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어(Chon and Noh, 1983) 착과량은 수체의 영양상태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착과량이 많아지면 일반적으로 종자크기와 종자무게가 감소하게 되는데(Saki and Harada, 2001), 종자크기가 묘목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는 수종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잣나무의 경우 종자의 무게와 두께가 클수록 유묘의 생장량이 높았으며(Chon, 1976), 구과와 종자의 크기가 크고 무거울수록 포지와 조림지에서의 생장이 좋은 경향이었다(Han and Yi, 1996).
결실 풍년으로 인해 유묘생장이 저조할 경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특히, 잣나무는 구과와 종자의 크기가 크고 무거울수록 포지와 조림지에서의 생장이 좋다는 보고가 있는 점을 감안할 때, 결실 풍년으로 인해 종자의 평균적인 크기와 무게가 감소되는 경우 향후 조림지에서의 유묘생장도 저조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결실이 풍년인 해에는 착과량을 인위적으로 적정수준으로 조절하거나 종자 정선 시 평년 수준의 종자크기 또는 무게를 가진 것들을 선별하여 공급하는 방안 등 다각적인 대처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잣나무의 착과수의 특성은? 잣나무는 우리나라 고유수종으로 2년에 거쳐서 결실하며(Lee, 1993) 결실주기는 2~3년으로 알려져 있는데, 유구과(conelet)의 착과수가 많아지면 모수의 수체 내 양분 소모가 커서 다음해에 쭉정이 수가 많아지는 경향이 있으며(Chon et al., 1984), 착과수는 모수의 흉고직경과 수관면적이 크고 주간의 분지수가 많을수록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어(Chon and Noh, 1983) 착과량은 수체의 영양상태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착과량이 많아지면 일반적으로 종자크기와 종자무게가 감소하게 되는데(Saki and Harada, 2001), 종자크기가 묘목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는 수종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잣나무의 경우 종자의 무게와 두께가 클수록 유묘의 생장량이 높았으며(Chon, 1976), 구과와 종자의 크기가 크고 무거울수록 포지와 조림지에서의 생장이 좋은 경향이었다(Han and Yi,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ae, Y.A., J.O. Guh, H.S. Suh and Y.M. Lee. 1987. Basic Biometry. Hyangmoon Ltd., Seoul, Korea. pp. 18-34 (in Korean). 

  2. Chong, H.P. and S.K. Chon. 1979a. Cone production of mature tree in Korean white pine (Pinus koraiensis). Proceedings of 20th Conference of Korean Forest Society, Seoul, Korea. p. 51 (in Korean). 

  3. Chong, H.P. and S.K. Chon. 1979b. Cone drop rate of mature tree in Korean white pine (Pinus koraiensis). Proceedings of 20th Conference of Korean Forest Society, Seoul, Korea. pp. 51-52 (in Korean). 

  4. Chon, S.K. 1976. Effects of seed size and weight on growth of first-year seedling in Pinus koraiensis. J. of Korean For. Soc. 31:48-52 (in Korean). 

  5. Chon, S.K. and Y.H. Noh. 1983. Effects of tree form on number of cone formation in Korean white pine (Pinus koraiensis S. et Z.). J. of Korean For. Soc. 62:19-23 (in Korean). 

  6. Chon, S.K., H.P. Chung and J.K. Hong. 1984. Variation of the number of empty seeds per cone in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J. of Korean For. Soc. 65:24-30 (in Korean). 

  7. Chung, S.B., B.M. Song and G.H. Kwon. 2006. Application of sprinkler system for control of cone insects on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seed orchard. Korean J. Plant Res. 19:93-96 (in Korean). 

  8. Han, S.S. and Y.M. Kim. 1988.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rates in strobili of Pinus koraiensis S. et Z. J. of Korean For. Soc. 77:92-99 (in Korean) 

  9. Han, S.U. and J.S. Yi. 1996. Age-age correlation for height growth of open-pollinated progenies of Pinus koraiensis in relation to their cone and seed characteristics. Korean J. of Breeding 28:63-68 (in Korean). 

  10. Kim, I.S., J.H. Kim, J.T. Kang and B.S. Lee. 2008. Clonal variation in female flowering of Larix leptolepis. Korean J. Plant Res. 21:1-4 (in Korean). 

  11. Kim, J.H., K.W. Jang, J.T. Kang, W.W. Kim and Y.J. Kim. 2006. Seed production and seed orchard management by stem pruning.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Research Report 06-18, Seoul, Korea. p. 97 (in Korean). 

  12. Kwon, Y.R., M.W. Seo, K.M. Lee, Y.Y. Kim, K.J. Cho and E.S. Hwang. 2011. Seed production of three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seed orchards evaluated by cone analysis. Proceedings of 2011 Joint Conference of Korean Forest Science Societies, Gyeongju, Korea. pp. 1038-1039 (in Korean). 

  13. Lee, K.J., J.S. Lee, J.J. Lee and S.K. Lee. 1984. Estimation of seed production efficiency in seed orchards by measurement of pollen dispersal, cone survival and cone analysis. Res. Rep. Inst. For. Gen. 20:116-125 (in Korean). 

  14. Lee, K.J. 1993. Tree Phys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p. 267-311 (in Korean). 

  15. Sakai, S. and Y. Harada. 2001. Sink-limitation and the size-number trade-off of organs: production of organs using a fixed amount of reserves. Evolution 55:467-476. 

  16. Sedgley, M. and A.R. Griffin. 1989. Sexual Reproduction of Tree Crops. Academic Press Inc. San Diego, USA. p. 378. 

  17. Westwood, M.N. 1978. Temperate Zone Pomology. Freeman, W. H. & Company, SanFrancisco, USA. p. 428. 

  18. USDA Forest Service. 1977. Cone Analysis of Southern Pines -A Guidebook-. General Technical Report SE-13. p. 2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