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봉(강원, 양양) 식물자원의 분포와 특성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Plants Resources in Mt. Jo-bong (Yangyang-gun, Gangwon-do)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6 no.1, 2013년, pp.119 - 142  

한준수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  천경식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경아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  옥길환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  정희진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  유기억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원도 양양군 조봉지역에 대한 식물자원을 2011년 4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총 11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총 92과 296속 434종 6아종 49변종 11품종으로 총 500분류군이었다. 조사된 식물 중 한국특산식물은 13분류군, 희귀식물은 14분류군, 그리고 멸종위기야생식물은 II급의 한계령풀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 1분류군, IV등급 11분류군, III등급 21분류군, II등급 12분류군, 그리고 I등급 30분류군으로 총 7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32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귀화율은 6.4%, 도시화지수는 10%로 산출되었다. 식물의 용도는 식용이 193분류군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약용, 목초용, 관상용의 순이었으며, 용도를 알지 못하는 종류도 14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plants resources in Mt. Jo-bong (Yangyang-gun, Gangwon-do) from April, 2011 to October, 2012.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500 taxa; 92 families, 296 genera, 434 species, 6 subspecies, 49 varieties, and 11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양양군 주변산지와 백두대간에 가까운 인제군과의 경계 지역에 대한 연구만 수행되었을 뿐, 아직 조봉에 대한 직접적인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봉 일대에 생육하는 식물자원을 조사하여 식물의 분포 및 특징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자원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봉의 지리적 특징은? 조봉(1,182 m)은 행정구역상 강원도 양양군 서면에 위치하고, 지리적으로는 북위 37° 55′ 19.7″ ∼ 37° 59′ 10. 9″, 동경 128° 30′ 25.3″ ∼ 128° 35′ 28.5″에 해당되는 지역으로 정족산에서 남쪽으로 이어지는 능선에 있으며 양양군과 홍천군의 경계지점에 위치한 백두대간의 응복산과 연결된다. 양양군 서면은 산지가 전체 면적의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총면적 267.
양양군의 지리적 특징은? 3 ㎢로 대부분이 산악지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의 약 74%가 해발 1,000 ∼ 1,360 m에 위치하고, 시가지나 취락지역은 대부분 해발 100 m 이하에 형성되어 있다 (Yangyang-gun, 2012). 양양군은 태백산맥 끝자락의 급경사 지역에 위치하고 동해와 인접하는 해안이 있어 해양성 기후에 가까운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연평균 기온이 12℃ 내외로 영호남지방과 비슷하고, 연교차는 34℃이하로 북위 35°부근의 남해안 지방처럼 위도에 비하여 겨울이 따뜻하고 여름은 시원한 편이다(Yangyang-gun, 2010).
설악산 대청봉에 관한 선행연구로는 주로 어떤 것들에 대한 연구였는가? 6 ㎢의 규모로 군 면적의 43%를 점유하고 있는 곳으로(Yangyang-gun, 2010), 설악산 대청봉에서 남쪽으로 이어지는 능선을 따라 점봉산, 단목령, 북암령, 구룡령, 응복산 등 해발 800 m 이상인 지역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오대산까지의 백두대간 구간을 포함하고 있다. 이 지역에 관한 연구로는 인제군 경계에 위치한 점봉산에 대한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Lee and Oh, 1984; Lee et al., 1984; 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Chang, C.S., H.S. Lee, T.Y. Park and H. Kim. 2005. Reconsideration of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in Korea based on the IUCN red list categories. Korean J. Ecol. 28(5):305-320 (in Korean). 

  2. Chung, T.H. 1956. Korean Flora II. Shinjisa, Seoul, Korea. pp. 1-1025 (in Korean). 

  3. Chung, T.H. 1957. Korean Flora I. Shinjisa, Seoul, Korea. pp. 1-507 (in Korean). 

  4. Gangwon-do. 2010. Inhabitation and Distribution of Wild Animal and Plant in Gangwon-do. Gangwon-do, Korea. pp. 1-215 (in Korean). 

  5. Gwon, J.H., H.J. Kwon and H.K. Song. 2010. A study on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condition of Leontice microrhyncha population. J. Korean Env. Res. Tech. 13(3):84-93 (in Korean). 

  6. Han, J.W. and S.H. Kang. 2009.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nd characteristics of plant resources in Yangyang-gun, Gangwon-do. J. Korean Env. Res. Tech. 12(6):18-35 (in Korean). 

  7. Jeon, J.I., C.S. Chang, H. Kim and U.C. Kang. 1997. Flora of Mt. Jum-bong. Bull. of Seoul Nat'l Univ. Arboretum. 17:31-57 (in Korean). 

  8. Kim, N.C. 1997. A Study on the Seeding Timing of Native Woody Plants for the Slope Revegetation Work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5(1):73-81 (in Korean). 

  9. Kim, N.C. 1998. A study on the ecological restoration strategies for the disturbed landscapes.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1):28-44 (in Korean). 

  10. Koh, K.S., I.G. Kang, M.H. Suh, J.H. Kim, K.D. Kim, J.H. Kil, H.I. Rhu, D.S. Kong, E.B. Lee and E.S. Chun. 1995. Survey for 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pp. 1-215 (in Korean). 

  11. Korean Fern Society. 2005. Fern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Korea. pp. 1-399 (in Korean). 

  12.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332 (in Korean). 

  13.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534 (in Korean). 

  14. Lee, J.H., H.J. Kwon, G.S. Jeon, N.C. Kim, G.S. Park and H.K. Song. 2008. Native Plants Selection for Ecological Replantation in Roadside Cutting-slope of the Baekdu Range. 

  15. Lee, K.S. and S. Kim. 1997. Vegetation of Inje?Yangyang area. 2nd Nature-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pp. 1-36 (in Korean). 

  16. Lee, N.J. and I.K. Shin. 2003. Vegetation of Inje?Yangyang area-Complimentary region. 2nd Nature-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pp. 1-23 (in Korean). 

  17. Lee, S.H., M.H. Yeon and J.K. Shim. 2011. Habitat and Distribution Feature of Endangered Species Leontice microrhyncha S. Moore. Kor. J. Env. Eco. 25(6):819-827 (in Korean). 

  18. Lee, T.B. 1976. Bulletin of the Kwanak Arboretum No.I. Kwanak Arboretum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pp. 1-137 (in Korean). 

  19.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Sang).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901 (in Korean). 

  20.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Ha).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914 (in Korean). 

  21. Lee, T.B., C.S. Chang and C.D. You. 1984. Vegetation of Mt. Jumbong, Report of Total Academic Investigation of Mt. Jumbong of Gangwon-do. Korean Journal of Nature Conservation. pp. 49-58 (in Korean). 

  22. Lee, W.T. 1993. The present condition and particularity of the botanical resources in Korea. The Botanical Society of Korea. '93 Symposium. Strategies for the Exploration Development & Application of Botanical Resources. pp. 9-21 (in Korean). 

  23. Lee, W.T. 1996a.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1688 (in Korean). 

  24. Lee, W.T. 1996b.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624 (in Korean). 

  25. Lee, W.T., Y.S. Choung and W.K. Paik. 1991. Ecological Studies on the Upper-basin of the North Han River, 1. The Vegetation of Jindong Valley. The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30:27-57 (in Korean). 

  26.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87-101 (in Korean). 

  27. Lee, Y.N. 2006a. New Flora of Korea (I). Gyohak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975 (in Korean). 

  28. Lee, Y.N. 2006b. New Flora of Korea (II). Gyohak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885 (in Korean). 

  29. Lee, Y.N. and Y.C. Oh. 1984. Plant Investigation of Mt. Jumbong, Report of Total Academic Investigation of Mt. Jumbong of Gangwon-do. Korean Journal of Nature Conservation. pp. 37-48 (in Korean). 

  30. Ministry of Environment. 1993. The flora of the Jindong area of Mt. Jumbong. '92 The Report of Detailed Investigation about Natural Ecosystem.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pp. 11-55 (in Korean). 

  31.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A Guide to the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pp. 114-155 (in Korean). 

  32. Numata, M. 1975. Naturalized Plants. Dai Nippon printing Co. Tokyo, Japan. pp. 1-160 (in Japanese). 

  33. Oh, B.U., D.G. Jo, K.S. Kim and C.G. Jan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205 (in Korean). 

  34. Oh, B.U., D.G. Jo, S.C. Ko, H.I. Im, W.K. Paik, G.Y. Chung, C.Y. Yoon, K.O. Yoo, C.G. Jang and S.H. Kang. 2009. Distribution Map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VI. Central Province(Gangwon-do).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Daejeon & Pocheon, Korea. pp. 1-793 (in Korean). 

  35. Park, B.K., I.S. Lee and E.B. Lee. 1984. Vegetation and Soil of Mt. Jumbong, Report of Total Academic Investigation of Mt. Jumbong of Gangwon-do. Korean Journal of Nature Conservation. pp. 59-67 (in Korean). 

  36. Yangyang-gun. 2010. Yangyang White Book. Yangyang. Korea. pp. 1-794 (in Korean). 

  37. Yangyang-gun. 2012. http://www.yangyang.go.kr/ (Accessed 2012. 10. 25). 

  38. Yim, Y.J. and E.S. Jeon.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 Botany 23(3-4):69-83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