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화용언어 능력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Cognitive-pragmatic Language Ability Assessment Protocol for Traumatic Brain Injury(CAPTBI): Reliability and Valid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2, 2013년, pp.370 - 377  

이미숙 (연세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김향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교실 및 재활의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외상성 뇌손상(TBI)은 외부적 충격에 의해 뇌가 손상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주의력, 기억력, 추론력, 집행기능, 화용언어 등이 전반적으로 저하된다. 본 연구에서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화용언어 능력 평가도구(CAPTBI)를 개발한 후, 그 신뢰도 및 타당도를 구축하고, 정상군과 환자군 간 변별에 유용한 인지-화용언어의 하위 영역들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정상군 226명, TBI 환자군 62명으로 평균 연령은 각각 43.95(${\pm}11.92$), 46.37(${\pm}11.87$)세, 남녀 비율은 각각 110:116, 48:14였다. CAPTBI는 내적일관성 신뢰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높았고, 내적 구성타당도와 공인타당도가 입증되었다. 또한, 두 집단은 CAPTBI 총점 및 9개 하위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CAPTBI가 집단 간 변별에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두 집단 간 변별에 기여하는 하위 영역은 조직화 능력, 기억력, 집행기능, 지남력, 문제해결력, 화용언어, 추론력, 주의력, 시지각력 순으로 높았다. CAPTBI의 판별기능 적중률은 95.5%로 전체 집단 사례 중 정상군의 97.3%, 환자군의 88.7%를 정확히 판별하였다. 이에 따라, CAPTBI는 TBI 환자의 인지-화용언어 능력 평가도구로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고, 정상군과 환자군 간 변별에 유용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aumatic brain injury(TBI) is a brain damage caused by an external physical force. TBI patients have disturbances of functioning including attention, memory, reasoning,, executive function, and pragmatic languag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ognitive-pragmatic language ability assess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두 집단의 수행력을 토대로 CAPTBI의 어느 하위 영역이 집단 간 변별에 기여하는지 알아보았다. CAPTBI의 판별기능 적중률은 95.
  • 이에, 본 연구에서는 TBI 환자의 인지-화용언어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을 개발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개발된 평가 문항을 정상군 및 환자군에게 적용함으로써 대상군 간 변별에 유용한 인지-화용언어의 하위 영역들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TBI 환자의 인지-화용언어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을 개발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개발된 평가 문항을 정상군 및 환자군에게 적용함으로써 대상군 간 변별에 유용한 인지-화용언어의 하위 영역들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도 TBI 환자를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평가가 필수적인가? 특히, 경도 TBI(mild traumatic brain injury: mTBI) 환자의 의사소통 능력은 매우 변이적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여러 인지 능력과 함께 어휘ㆍ의미적 접근, 복잡한 청각적 이해력, 화용언어 등 인지-의사소통 능력을 전반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외상성 뇌손상이란 무엇인가?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 이하 TBI)은 외부적 충격에 의해 뇌가 손상되는 것을 의미하며, 흔히 의식(consciousness) 상태의 저하 또는 변화를 초래한다[1].
TBI 환자의 화용언어 능력은 어떠한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가? 또한, 지남력 (orientation), 조직화 능력(organization), 추론력 (reasoning), 문제해결력(problem solving), 집행기능 (executive function) 등에서도 현저히 낮은 수행력을 보인다[5]. TBI 환자의 화용언어 능력은 인지적, 언어적, 심리사회적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평가 시주의를 요한다[6]. 이는 특히 일상생활에서의 의사소통능력을 직접적으로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오늘날 더욱 중시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 E. Murdoch and D. G. Theodoros, Introduction: Epidemiology, neuropathophysiology and medical aspects of traumatic brain injury, In Murdoch BE & Theodoros DG (Eds.), Traumatic brain injury: associated speech, language, and swallowing disorders (pp. 1-23). San Diego, CA: Singular Thomson Learning, 2001. 

  2. S. R. Borgaro, "Cognitive and affective sequelae in complicated and uncomplicated mild traumatic brain injury," Brain Injury, Vol.17, No.3, pp.189-198, 2003. 

  3. M. R. T. Kennedy, "Intervention for executive functions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a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and clinical recommendations," Neuropsychological Rehabilitation(iFirst), pp.1-43, 2008. 

  4. M. L. Kimbarow, Traumatic brain injury. In Kimbarow ML (Ed.), Cognitive Communication Disorders (pp.219-233), San Diego, CA: Plural Publishing, 2011. 

  5. B. M. Whelan, B. E. Murdoch, and N. Bellamy, "Delineating communication impairments associated with mild traumatic brain injury: a case report," Journal of Head Trauma Rehabilitation, Vol.22, No.3, pp.192-197, 2007. 

  6. 이미숙, 김향희, "외상성 뇌손상 및 우반구 손상 환자의 인지-의사소통 능력 평가도구에 관한 문헌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4, pp.253-262, 2011. 

  7. L. L. Hartley, Cognitive-communicative abilities following brain injury: a functional approach. San Diego, CA: Singular Publishing Group, 1995. 

  8. P. S. Myers, "Toward a definition of RHD syndrome," Aphasiology, Vol.15, pp.913-918, 2001. 

  9. L. S. Turkstra, C. Coelho, and M. Ylvisaker, "The use of standardized tests for individuals with cognitive-communication disorders," Seminars in Speech an Language, Vol.26, No.4, pp.216-212, 2005. 

  10. 강연욱, "K-MMSE의 노인 규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일반), Vol.25, No.2, pp.1-12, 2006. 

  11. H. Kim and D. L. Na, "Normative data on the Korean version of the Western Aphasia Battery," Journal of Clinical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Vol.26, No.8, pp.1011-1020, 2004. 

  12. R. M. Crum, "Population-based norms for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by age and educational level,"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269, No.18, pp.2386-2391, 1993. 

  13. L. Himanen, "Longitudinal cognitive changes in traumatic brain injury : a 30-year follow-up study," Neurology, Vol.66, pp.187-192, 2006. 

  14. 이미숙, 김향희, "노년층의 인지-화용언어 능력 평가: 평가도구 및 내용타당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5, pp.280-292, 2012. 

  15. 박미선, 최진영, "한국노인을 위해 수정된 Trail Making Test(TMT)의 규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임상), Vol.22, No.1, pp.247-259, 2003. 

  16. 염태호, 한국판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 (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K-WAIS), 서울: 한국가이던스, 1992. 

  17. A. I. Drake, "Factors predicting return to work following mild traumatic brain injury: a discriminant analysis," Journal of Head Trauma Rehabilitation, Vol.15, No.5, pp.1103-1112, 2000. 

  18. S. R. Borgaro and G. P. Prigatano, "Early cognitive and affective sequelae of traumatic brain injury: a study using the BNI screen for higher cerebral functions," Barrow Quarterly, Vol.19, No.3, pp.1-4, 2003. 

  19. C. Till, "Postrecovery cognitive decline in adul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9, No.12, pp.25-34, 2008. 

  20. M. M. Hoskison, "Persistent working memory dysfunction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evidence for a time-dependent mechanism," Neuroscience, Vol.159, pp.483-491, 2009. 

  21. A. F. Arnsten, "Catecholamine regulation of the prefrontal cortex,"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Vol.11, pp.151-162, 1997. 

  22. D. T. Stuss, Self-awareness, and the frontal lobes: a neuropsychological perspective, In Strauss J, Goethals GR (Eds.), The self: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NY: Springer- Verlag, 1991. 

  23. T. W. McAllister, "Differential working memory load effects after mild traumatic brain injury," Neuroimage, Vol.14, pp.1004-1012, 2001. 

  24. F. G. Yang, "Figurative language processing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in adults: a preliminary study," Neuropsychologia, Vol.48, No.7, pp1923-1929, 2010. 

  25. J. T. L. Wilson, "Head injury and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 Vol.74, p.841, 2003. 

  26. K. McKenna, "The incidence of visual perceptual impairment in patients with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Brain Injury, Vol.20, pp.507-518,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